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극지방과 적도의 온도차이는 왜 일어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극지방은 적도와 달리 태양 에너지를 많이 받지 못하는 위치입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햇빛이 노란 선상 안쪽으로 들어오는데, 적도 부분에서는 햇빛을 그대로 받지만, 극지방에서는 햇빛을 비스듬하게 받습니다. 또한, 극지방에서의 햇빛은 대기층을 두껍게 뚫고 들어오며, 적도에의 햇빛은 상대적으로 얇게 뚫고 들어오기 때문에 적도에서 햇빛이 더 강하죠. 그래서 온도차이가 나는 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3
0
0
화석이 생기는 원리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뼈가 땅에 묻히고 잘 썩지 않기 때문에 화석이 될 수 있습니다. 뼈가 안썩는 이유는 뼈의 성분과 관련있습니다. 뼈가 땅에 묻히고 수분이 빠져나가는데 이때 주된 성분은 칼슘성분입니다. 이 칼슘성분을 분해할 수 있는 미생물은 거의 없기 때문에 분해가 일어나지않고 그대로 보존되는것이지요.그래서 땅에 묻힌 뼈가 퇴적물들과 함께 퇴적되고 압력이 가해지며 화석이 되는것이죠.
학문 /
생물·생명
22.11.03
0
0
허리케인 에 날라갔을때 떨어질때 낙하산 피면 못살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허리케인에의해 날아갈 정도의 바람이면 굉장히 강한 바람입니다. 또한, 허리케인 중심부와 조금 멀리 떨어지면서 바람이 우리를 날리지 못하는 정도라고 해도 아주 강한 바람이기 때문에 낙하산을 펴면 더욱 위험한 상황에 놓일 수 있습니다. 낙하산은 바람이나 공기의 저항을 그대로 받기 때문에 바람에 더 빠르게 날려가 다른 물체나 땅에 충돌할 수 있기 때문이죠.
학문 /
토목공학
22.11.03
0
0
냄새도 퍼지는 시간이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냄새는 분자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분자가 무겁거나 하면 천천히 날아갑니다. 또한, 습할 경우 느리게 확산되며, 온도가 낮을 경우 느리게 확산됩니다.온도가 높으면 기체 분자들이 활발하기 때문에 확산 정도가 빠르며, 습한 경우에는 물 분자가 많기 때문에 기체 분자가 확산하는데 있어 저항역할을 하여 느리게 확산되는 이유입니다.
학문 /
화학
22.11.03
0
0
공이 회전을 하면 더 빠른속도로 날아갈수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속도를 따지면 회전이나 무회전 둘다 빠른 속도가 될 수 있습니다. 얼마나 강한 정도로 차냐의 차이입니다. 그리고 회전하는 공은 조금 비스듬하게 차므로 같은 힘을 주었을 때에는 무회전 킥이 더 빠르게 날아갑니다. 하지만 따져야할 것이 하나 더 있습니다. 공기저항이죠. 무회전 킥의 경우 공기저항과 미세 난류의 영향을 받아 불규칙한 움직임으로 날아갑니다. 하지만 회전 킥은 공기를 감싸면 날아가기 때문에 공기저항을 규칙적으로 받습니다. 물론, 상황에 따라 조건을 정확하게 따져봐야 어느 것이 더 빨리 날아가는지 알 수 있을 듯 합니다.
학문 /
물리
22.11.03
0
0
수식에서 x를 구하는 공식으로 바꿀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가능합니다. 일단 좌변의 분모의 식을 오른쪽으로 이항하고 17.40으로 나누어주면,100/17.40=1+exp(2.8891)*exp(1.1686*ln(x-0.9))입니다.또, 1을 좌변으로 이항하고 exp(2.8891)로 나누어 식을 정리하면,(100/17.40-1)/exp(2.8891)=exp(1.1686*ln(x-0.9))입니다.log의 성질에 의해 nlog(a)=log(a^n) 이고 exp(ln(a))=a 임을 이용하여 정리하면,(100/17.40-1)/exp(2.8891)=(x-0.9)^(1.1686)입니다.또한 ^(1.1686)을 근호로 사용하여 정리하면,[(100/17.40-1)/exp(2.8891)]^(1/1.1686)+0.9=x 가 됩니다.따라서 약 x=1.22 입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11.03
0
0
무선 이어폰 노이즈캔슬링 기능의 원리를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노이즈 캔슬링 기술은 파동의 간섭 중 상쇄를 이용한 것입니다. 소리는 공기를 진동시키는 파동이고 외부의 소음은 전부 파동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 파동을 이어폰이 감지하여 반대로 진동을 시켜 상쇄시켜주는 것입니다. 이러한 원리가 적용된 이어폰이 노이즈 캔슬링입니다.<참고><파동에 간섭>파동이란 에너지의 흐름이고, 특정한 주파수나 파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흔히 기타줄을 튕기는것도 파동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고, 빛이나 소리도 파동입니다.우리는 어릴적 줄넘기를 가지고 막 흔들면서 웨이브를 준적이 있을겁니다. 그런데 이 웨이브를 만약 반대편에서 같은 흔들림을 주면 더욱 증폭됩니다. 하지만 반대편에서 반대의 흔들림을 주면 웨이브는 상쇄되고 말것입니다. 이렇게 증폭되고 상쇄되는것을 두 파동의 간섭 현상이라고 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1.03
0
0
매운 것을 먹으면 왜 배가 아픈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매운것을 느끼는 것은 통각으로 느끼기 때문입니다. 매운것은 일종의 통증입니다. 그래서 혀가 따끔거리고 매운 것을 삼키면 속이 아픈 것이죠.
학문 /
화학
22.11.03
0
0
다이아몬드도 채굴을 통해 발견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다이아몬드는 채굴을 통해 발견이 가능하며 순수한 다이아몬드일수록 좋습니다. 하지만 다이아몬드의 값어치는 제련이 대부분 차지하므로 다이아몬드를 채굴했다고 해서 비싸거나 하지 않습니다. 제련을 아주 잘해야 예쁘고 아름다운 보석이 되기 때문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3
0
0
지구의 자전을 왜 사람들은 못느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는 아주 큰 구이고, 중력이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지구의 중력과 지면의 수직항력을 구심력 삼아 지구를 따라 원운동 하고 있습니다. 이 때 중력(만유인력)에 의해 원심력을 느낄 수 없기 때문에(만유인력은 우리가 원운동 할 때 필요한 구심력 보다 크기 때문에) 지구가 도는 것을 체감하기 힘든 것이죠.또한, 지구는 아주 큰 구이고 우리는 지구 안에서 작은 존재로 지구가 구형임을 못느끼고 평평하다고 생각합니다.그리고 지구 자전에 의한 원운동은 등속 원운동입니다. 사람에 비해 지구가 굉장히 크기 때문에 사람의 입장에서는 거의 등속 직선운동(우리가 볼때 지면이 평평해 보이는 이유와 같음)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등속 운동을 할 경우 우리가 움직이는지 멈춰있는지 알기 어렵기 때문에 지구가 움직이는 것을 느끼기 어렵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3
5.0
1명 평가
0
0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