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구름의 색이 눈에 희게 보이는건 어떤이유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하얀 구름은 수증기와 물 분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또한 물 분자의 크기가 다양한 크기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다양한 크기의 입자가 존재하면 특정 파장의 빛만 산란 되지 않고 모든 파장 영역대의 빛이 산란할 수 있습니다. 빨간색 빛, 노란색 빛, 초록색 빛, 파란색 빛 등 모든 빛이 구름내에 존재하는 물 분자로부터 산란이 가능하죠. 모든 색의 빛이 산란되고 빛의 합성으로 인해 하얀색 빛으로 우리눈에 들어오게 되어 구름이 하얗게 보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8
0
0
자석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자기장(자석)을 갖는 방법은 2가지가 있습니다. 전류, 스핀이 있는데 이에 대한 개념 설명을 먼저 드리겠습니다.전류란 전하량(전기적 +, - 극)을 가진 물질이 움직이게 되면 이를 전류라고 합니다. 즉, 시간당 이동한 전하량입니다. 전류가 흐르게 되면 흐르는 전류 주변으로 자기장이 생깁니다. 이러한 현상을 패러데이라는 과학자가 발견하였습니다.스핀이란 자연을 이루는 기본적인 입자, 전자, 광자(빛), 양성자(쿼크 3개), 중성자(쿼크 3개) 등이 가지고 있는 물리량으로 자기장에 반응(상호작용)하며 스핀 간의 상호작용도 합니다. 또한, 스핀이 자기장을 만들기도 하죠. 스핀은 질량, 전하량 처럼 물질이 가지고 있는 물리량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28
0
0
사과의 갈변은 왜 일어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과일의 껍질을 벗겨낼 경우 폴리페놀산화 효소가 분비되면서 폴리페놀과 산소의 반응을 촉진하고, 폴리페놀 성분들을 퀴논 같은 물질로 산화시킵니다. 이렇게 생긴 퀴논은 활성도가 커서 빠르게 산화되는데, 이 때 갈색 물질을 생성합니다. 이를 갈변이라고하죠. 참고로 갈변된 부분을 잘라내고 먹는것이 좋습니다. 갈변된 부분을 먹을시 체내에서 활성산소가 생성됩니다. 활성산소는 피부 노화를 촉진하므로 좋지 않습니다.갈변하는 과일은 사과, 복숭아, 배, 바나나 등이 있습니다.갈변을 막는 방법은 반가운말똥구리님께서 말씀하신것처럼 설탕물을 바르거나 소금물을 바르면 됩니다. 소금물의 염소이온이 갈변을 억제해주며, 설탕물은 과일 표면을 코팅하여 산소와의 접촉을 막아 갈변을 막아줍니다.
학문 /
화학
22.10.28
0
0
평행우주 혹은 다중우주에 대해서 들어보셨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평행우주, 다중우주와 같은 개념은 양자역학을 고려하여 생겨난 개념입니다. 평행우주, 다중우주는 아직 증거가 없으며 앞으로도 있을지는 의문입니다. 그래서 하나의 가설입니다. 먼저, 모든 물질은 입자성과 파동성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를 물질의 이중성이라고 하죠. 그리고 원자, 전자 단위의 물질은 양자역학을 따릅니다. 양자역학에서는 물질의 상태가 결정되어있는 것이 아닌 확률적으로 존재한다고 봅니다. 잘 와닿지 않으실거 같아 예시를 들자면, 포장된 선물을 받았는데, 그안에는 어떠한 것이 들어있을지 모릅니다. 연필, 지우개, 장난감, 스마트폰 등 여러가지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태가 결정되지 않은 중첩된 상태입니다. 그리고 우리가 상자를 뜯어보았는데 스마트폰이 들어있었다면 이러한 행위를 관측이라고 합니다. 즉, 관측하기전에는 중첩된 상태가 되는 것이죠. 우리의 우주는 빅뱅 이론에 의하면 한점에서 폭발하여 생겨났습니다. 또한, 우리는 우리의 우주 안에서만 살고 있으며, 다른 우주를 관측하거나 할 수 없습니다. 다중우주에 따르면, 우리는 여러 중첩상태중 하나일 뿐입니다. 다른 상태(다른 우주)는 우리와 다른 모습을 하고 있거나 다른 행동을 하고 있는 것이죠. 물론, 이러한 것을 보이기는 어렵습니다. 양자역학는 여러 중첩 상태 중, 상태끼리는 서로 독립적이기 때문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7
0
0
어제 제주도 일원에서 나타난 유성우가 쏟아지는 듯한 현상의 원인은?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기온이 떨어지고, 추워지며 상공에 있는 구름 내에 수증기가 얼어 작은 얼음 결정이 존재합니다. 그리고 제주 앞 바다에는 어선, 오징어 배, 한치 배 등 여러 종류의 배가 많고 불빛이 굉장히 밝습니다. 이러한 불빛이 상공에 있는 얼음결정에 반사되어 마치 유성우나 별 빛 처럼 반사되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마치 빛이 기둥모양이라 빛기둥이라는 명칭을가지고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7
0
0
원자력 발전을 유럽에서 왜 친환경 발전이라고 말을 바꾼 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단순히 원자력 발전만 본다면 오염, 생물 다양성 보전 등에 위반돼 보이지만, 원자력 폐기 시설 등을 설치하여 기준을 맞출 수 있습니다. 그리고 엄격하게 심사하고 판단한 결과 친환경 에너지라고 분류합니다. 하지만, 원자력 발전은 방사선 물질을 다루기 때문에 방사선 폐기물은 언제나 유해합니다. 이를 적절하게 처리해야 안전한 에너지로 사용됩니다. 하지만, 이를 환경에 노출시키고, 사람들에게 노출시킨다면 당연히 유해하며 병을 유발하며, 환경 생태계에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2.10.27
0
0
바닷물의 염도 관련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바닷물에는 Na+이온, Cl-이온 등 염분(소금)이 다수 존재하고, 또 다양한 이온과 미네랄 등의 성분도 있기 때문에 바닷물이 짜며 독특한 맛을 냅니다.바닷물의 염분 농도는 지역적으로는 비슷하나 전 세계 부분부분마다 다른 농도의 염분을 가질 수 있습니다. 바닷물의 농도가 짙은 바다인 사해가 대표적인 예가 되겠습니다. 바다의 염분은 바다 속 암석이나 광물로부터 발생합니다. 바다 속 암석, 광물에 함유된 나트륨이 바닷물에 용해되며 바다의 염분 농도가 올라가는 것이죠.빙하가 녹아 해수에 들어오거나 사람이 바다에서 소금을 채취하는 것으로 염분은 낮아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는 줄어드는 비율과 광물로부터 생성되는 염분의 양을 따져봐야알듯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7
0
0
구름의 생성과 소멸은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구름이 생기는 원리는 공기가 상승하는 기류(저기압)를 만나 상승하면서 부피가 커지고 온도가 떨어집니다. 때문에 공기중 수증기가 물이되면서 구름이 형성됩니다. 그런데, 구름이 형성될 때 지형, 기압, 수증기량, 수증기량의 분포도 등 아주 다양한 변수에 의해 모양이 결정되기 때문에 각기 다른 모양의 구름이 형성됩니다.이러한 구름이 비가되어 내리거나, 고기압(하강기류)을 만나 지상으로 내려오면 생성과정과 반대로 소멸과정을 거칠 수 있습니다. 아니면 바람에 흩날려 흩어지며 소멸할 수도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7
0
0
관성의법칙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관성은 움직이려는 물체는 계속 움직이려고하고, 멈춰있는 물체는 계속 멈춰있으려는 성질입니다. 이러한 관성이 생기는 이유는 물체를 움직이거나 속력을 변화시키거나 멈추게하는데에는 힘이 필요하기 때문이죠. 우리가 움직이기위해서는 걸어야합니다. 걸을 때 힘이 발생하죠. 달리다가 멈추려면 제동을 걸어주어야합니다. 이 때에도 힘이필요하죠.마치 달리는 버스에 질문자님께서 서있는데, 갑자기 버스가 급정거하면 질문자님께서는 앞으로 넘어지려고 할 것입니다. 왜냐하면, 질문자님은 버스와 같이 일정한 속도로 달리고 있는데, 버스는 브레이크라는 마찰힘을 받아 멈추지만, 질문자님께서는 멈추기위한 힘을 받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앞으로 쏠리면서 무언가 부딪힘으로써 힘을 받아 멈추게 되는 것입니다.관성이 없다는 것은 물체가 움직이는데 있어 어떤 다른 법칙을 따르기 때문에 상상하기 나름대로 움직일 수 있습니다. 가령 우리의 의지대로 움직일 수 없으며 무작위의 운동을 하게 될 수 있습니다.
학문 /
물리
22.10.27
0
0
갯벌이 생기는 원리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조수간만의 차(썰물, 밀물)는 달과 태양의 중력(만유인력)으로인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지구는 태양 주위를 공전하고 달은 지구 주위를 공전합니다. 그리고 지구는 자전을 하고 있죠. 그래서 지구가 자전하면서 우리나라가 달과 가까워지거나 태양과 가까운 위치에 놓일때가 있습니다. 이때 만유인력이 작용해 해수면이 상승하고, 태양이나 달과 가장 멀어지는 시기에 해수면이 하강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조수간만의 차가 나타나죠. 바다와 호수에 작용하므로 물결이 이는걸 볼 수 있으며, 밀물과 썰물이 발생함을 알 수 있습니다.그래서 물이 빠지는 시기에 갯벌이 형성되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7
0
0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