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물리

Mister Jasonheo
Mister Jasonheo

관성의법칙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려주세요

관성은 왜 생기는 걸까요?? 관성의 힘을 무시할수는 없는건가요??

만약 관성이 없다면 이 세상은 어떻게 돌아갈지 너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굉장한호돌이84
    굉장한호돌이84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가 거의 일정한 속도로 돌고있을 때 우리가 자전 이나 공전힘을 느끼지 못하는 이유가 바로 관성때문입니다.

    즉, 물리세계에서 모든 힘에대해 관성이 존재하여 현재의 법칙들이 적용된다해도 무리가 아닙니다.
    모든 물리 법칙이 무너질 것으로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관성은 움직이려는 물체는 계속 움직이려고하고, 멈춰있는 물체는 계속 멈춰있으려는 성질입니다. 이러한 관성이 생기는 이유는 물체를 움직이거나 속력을 변화시키거나 멈추게하는데에는 힘이 필요하기 때문이죠. 우리가 움직이기위해서는 걸어야합니다. 걸을 때 힘이 발생하죠. 달리다가 멈추려면 제동을 걸어주어야합니다. 이 때에도 힘이필요하죠.

    마치 달리는 버스에 질문자님께서 서있는데, 갑자기 버스가 급정거하면 질문자님께서는 앞으로 넘어지려고 할 것입니다. 왜냐하면, 질문자님은 버스와 같이 일정한 속도로 달리고 있는데, 버스는 브레이크라는 마찰힘을 받아 멈추지만, 질문자님께서는 멈추기위한 힘을 받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앞으로 쏠리면서 무언가 부딪힘으로써 힘을 받아 멈추게 되는 것입니다.

    관성이 없다는 것은 물체가 움직이는데 있어 어떤 다른 법칙을 따르기 때문에 상상하기 나름대로 움직일 수 있습니다. 가령 우리의 의지대로 움직일 수 없으며 무작위의 운동을 하게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지경향 과학전문가입니다.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지 않는한 물체는 자기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려고 하는 성질입니다. 정지해있던 물체는 그대로 정지하려고하고 운동하는 물체는 계속 운동하려는 성질입니다.

  • 관성은 물리의 기본이자 물체가 운동상태를 계속 유지하려는 성질입니다.

    가만히 있는 물체는 계속 가만히 있으려고하고

    운동하는 물체는 계속 운동하려고 하는 것이 관성입니다.

    관성이 없다면 가만히 있는 물체는 움직일것이고 움직이는 물체는 가속되거나 멈추는 모순적인 상황이 생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