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전력과 전기에너지를 구하는 식은 왜 이렇게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물리학에서 일은 힘을 가한 방향으로 이동한거리가 있을 때, 힘과 이동거리를 곱하여 일의 양으로 정의합니다. 전기에너지도 똑같습니다. 전기장(전기력)이 전하에게 힘을 가해 힘을 가한 방향으로 이동한 거리가 있을 때 에너지가 생깁니다. 즉, 전기력과 이동거리의 곱입니다.물리에서는 전압은 단위 전하량에 가해지는 전기에너지입니다. 그리고 전류는 시간당 이동한 전하량이므로 시간x전류는 총 전하량이 되죠. 그래서 전압x전류x시간은 전압x총 전하량으로 에너지가이 되는 것이죠.
학문 /
전기·전자
22.10.25
0
0
‘아지랑이’는 정확히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우리가 살아가는데 있어 중요하지만 보이지 않는 공기가 있기 때문입니다. 공기는 기체 분자들이 가득 모여있습니다. 빛이 이 공기를 지나 우리 눈에 들어오기까지, 빛과 공기의 상호작용, 산란, 굴절 등이 일어나게됩니다. 그래서 완벽히 직진하여 우리눈에 들어오지 못하죠. 그래서 아지랑이가 생기거나 아른아른하게보이며, 반짝거리기도하는 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5
0
0
태풍의 눈이 고요한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태풍의 눈은 맑은 날씨입니다. 태풍의 저기압에 의해 바람이 들어오며 중심 부근에서는 상승기류가 형성되는데, 이 상승기류가 반경을 가지고 생겨납니다. 그래서 상승기류는 태풍의 중심에 바람이 불어 들어가지 못하게 벽 역할을 해주는것이죠. 이런 이유로 태풍의 눈은 고요하며 맑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5
0
0
비행기는 어떻게 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비행을 하는데 크게 두 가지 원리가 있습니다. 첫째, 양력을 얻는 원리가 있으며 둘째론 작용-반작용이 있습니다.양력을 얻는 원리는 압력차에 의한 힘에 의한 것입니다. 비행체의 날개에서 주로 얻게되는데, 날개의 윗부분은 곡면으로, 아랫부분은 평평한 면으로 하여 윗부분에서 공기의 흐름, 유속을 빠르게 해줌으로써 압력을 낮추는 것입니다. 그러면 날개의 아랫부분에서 윗부분으로 힘을 받게되어 뜰 수 있습니다.작용-반작용은 프로펠러에서 공기들을 지면으로 밀어내는 힘으로 비행체가 뜨는것을 의미합니다. 프로펠러를 회전시켜 공기를 지면으로 수직하게 튕겨내면서 비행체가 뜨는것이죠. 예시로 드론, 헬리콥터가 있죠.
학문 /
기계공학
22.10.25
0
0
유리잔 두 개가 끼였을때 분리하는 방법에 숨은 과학원리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온도에 따른 압력 변화를 이해하시면 됩니다.온도가 뜨거워지면 기체는 활발한 운동을 합니다. 또한 차가워지면 기체는 활발하지 않고 잠잠하죠.즉, 온도가 높아 활발할 경우에는 사방으로 튀기 때문에 압력이 커져 부피가 늘어납니다. 반대로 온도가 낮을 경우 잠잠하기 때문에 압력이 낮아져 부피가 줄어들게 되죠.
학문 /
전기·전자
22.10.25
0
0
달이 지구에서 멀어지고 있다고 하는데 지구에는 어떤영향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달이 지구로부터 멀어지고 있습니다. 만약 달이 멀어질 경우에는 지구의 자전이 더뎌지고 하루가 길어질 수 있으며, 조수간만의 차가 약해져 밀물 썰물의 영향이 줄어들 것입니다. 하지만 여전히 태양에 의한 조수간만의 차는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밤에 달이 없어 캄캄한 밤을 맞이해야합니다.지구와 달이 조금씩 멀어지는 이유는 서로를 이끄는 만유인력(중력)에 의한 에너지를 조금씩 손실하기 때문입니다.여기서 만유인력에 대한 이해가 조금 필요합니다. 만유인력이란것은 질량을 가진 두 물체는 서로 끌어당기는 힘입니다. 지구도 질량체이고 달도 질량체 입니다. 두 질량체 사이에 만유인력이 작용해 서로를 끌어당기고 있죠. 그런데, 달이 지구로 떨어지지 않는 이유는 달이 지구 주위를 공전(회전운동, 각운동량을 가짐)을 하기 때문에 중력과 원심력이 평형을 이루고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이러한 관계 속에서는 전체적인 총 에너지와 각운동량(회전량)이 보존됩니다.그런데, 지구는 자전하고 있으며, 지구에는 바다와 호수와 같은 물이 70%정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 때 달과 지구 사이의 관계에서 달이 공전하며 지구에 만유인력을 행사하는데, 바다와 호수와 같은 액체의 물질의 모양이 변화합니다. 이러한 변화는 지구 내에서 조수 간만의 차로 나타나며 수위의 변화, 파도 등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지구 자전에 있어 마치 마찰력과 같은 영향을 미칩니다. 즉, 지구의 자전을 더디게 하죠. 그러면 지구와 달의 총 각운동량(회전량)은 일정한데, 지구의 자전이 더뎌지면서 달의 회전량이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지구와 달 사이 만유인력과 달의 회전 운동으로 인한 원심력이 평형을 이루던게 깨지게 되는 것이죠. 달의 회전 운동량의 증가로 원심력이 커지면서 달이 조금씩 멀어지고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5
0
0
불의 색깔별로 온도가 어떻게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붉은색 계열의 빛에서 푸른색 계열의 빛으로 변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빛의 색도 연속적이고 온도의 색도 연속적이라 대략적인 영역별로 구분을 해보겠습니다.빨강, 주황색 : 600~800℃노란색 : 800~1300℃백색 : 1300~1500℃파란 : 1500℃~이렇게 색깔을 띠는 이유는 불에 의해 공기가 뜨거워지면서 방출되는 빛의 파장이 온도에 따라 다르기 때문입니다.
학문 /
화학
22.10.25
0
0
뜨거운 물을 얼리면 기포가 없이 얼음이 생기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뜨거운 물을 얼리면 기포가 없이 얼음이 생성될 수 있습니다.물을 끓이게 되면 물에 함유된 기체를 없앨 수 있습니다. 기체는 높은 온도의 액체에서 잘 녹지 않으며 낮은 온도의 액체에서 잘 녹습니다. 탄산 음료를 시원하게 먹는 이유도 이 때문이죠. 그래서 집에서 얼음의 기포를 없애고 싶다면 물을 끓인 뒤 뜨거운 물이나 미지근한 물을 얼리시면 기포를 없앨 수 있습니다.뜨거운물이 더 빨리 언다라는 것은 음펨바 효과입니다.아직 음펨바 효과인 찬물과 뜨거운 물 중 어느 것이 더 빨리 어느냐에 대해 완벽히 풀리지는 않았습니다. 찬물이 뜨거운 물보다 빨리 어는 것이 상식적이고 어느 정도 맞는 이야기지만, 뜨거운 물이 찬물 보다 빨리 어는 것을 관측한 사실도 있기 때문이죠. 또한, 이 관측 사실에 대해 실험조건이나 환경등에 영향을 받아 뜨거운물이 찬물보다 빨리 얼었다라는 반박도 있습니다. 그래서 현재로썬 다양한 변수에 의한 조건과 환경에 따라 뜨거운물이 빨리얼수도 있고 찬물이 빨리 얼수도 있다라고 밖에 대답을 못드리겠습니다...
학문 /
화학
22.10.25
0
0
오징어가 뿜는 먹물은 어떤 성분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오징어의 먹물의 성분은 멜라닌 색소입니다. 사람의 머리카락도 멜라닌에 의해 검은 색을 띨 수 있죠. 먹물을 만들어주는 멜라닌은 단백질이 합성되어 만들어져 먹물 주머니에 보관하게 됩니다. 그리고 위협을 받거나 위기 상황이 오면 먹물주머니에 있는 먹물을 분사해 위기를 모면하죠,
학문 /
생물·생명
22.10.25
0
0
밥을 먹고나면 왜 잠이 올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밥을 먹으면 음식물이 위장에 차게되고, 늘어난 위장으로 인해 혈류를 압박하게됩니다. 압박된 혈류로 인해 뇌로 가는 혈액양이 줄어들며 산소공급이 저하되기 때문에 잠이 오는 것이죠. 이러한 현상이 식곤증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25
0
0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