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소행성이 지구에 충돌하기 전에 막는 방법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최근에 나사에서는 소행성 충돌 실험을 성공시켰습니다. 이러한 성공 사례는 미래에 다가올 소행성에 대해서도 충돌을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이 되며, 로켓에 핵무기나 폭탄을 싣고 충돌도 가능하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이러한 폭발에 의한 충돌은 소행성을 잘게 분해할 수 있으며 궤도를 변화시킬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으로 막을 수 있다고 판단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2
0
0
오랜기간 비가 오지 않아도 어떻게 산 속의 약수는 마르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산속의 땅, 토양속에는 생물과 수분함유가 많습니다. 생물에서 배출되는 수분과 토양이 있던 수분이 조금씩 흘러 계곡이나 골짜기에 모여 약수를 만들어낼 수 있죠. 또한, 산에 물웅덩이가 있거나 분지등이 있을 경우 고여있는 물이 흐르며 정화돼 약수가 될 수도 있죠. 하지만, 너무 긴 가뭄이 지속될 경우 물이 말라 더이상 약수가 안나올수도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2
0
0
바다의 수온이 계속 올라가게 되면 어떤 문제가 생기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수온이 상승하면 물의 부피가 팽창해 바다의 해수면이 상승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일부 지역에서는 적조 녹조가 증가하게되면서 해수내의 생태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따뜻한 해수에 사는 물고기의 출몰이 빈번해질 수 있으며, 차가운 곳에서 서식하는 물고기의 수가 줄어들 수도 있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2
0
0
지구는 왜 공전을 하는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과 지구사이의 중력을 구심력으로 궤도운동을 하기 때문입니다. 즉, 돌고 있지 않았으면 이미 생성당시부터 태양에게 끌려들어가 지구가 형성되지 못하였을 것입니다. 그래서 생성초기에 태양에 끌려들어가지 않고 궤도운동(원운동)을 하며 살아남은 질량체가 행성이되고 지구가 된 것이죠.중력은 만유인력으로 질량과 질량을 가진 물체끼리 끌어당기는 힘입니다. 즉, 태양계의 99%의 질량을 가진 태양은 지구를 포함한 행성을 끌어당기고 있습니다. 그리고 행성들이 빨려들어가지 않는 이유는 궤도운동을 하기 때문이죠. 원심력과 중력이 평형을 이루고 있다라고 이해하시는게 편할 것입니다.지구의 공전속력은 약 29.8km/s 정도 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2
0
0
중3 과학 이 문제에서 질문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운동과정에서 마찰이 없을 때에는 역학적에너지(운동에너지+퍼텐셜에너지(위치에너지))는 보존됩니다. 그런데, 문제 상황에서는 마찰에너지가 존재하므로 역학적에너지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즉, 감소된 에너지만큼 마찰에너지로 손실 된 것이죠.지면에서 역학적에너지=운동에너지는 100J5m높이에서 역학적에너지=1+2*5*9.8=99J이므로 손실된 에너지는 1J로 마찰에너지로 손실되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22
0
0
잠수함은 어떻게 탐지할 수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초음파탐지기를 이용하여 잠수함을 탐지할 수 있습니다.초음파를 쏴 초음파가 반사되어오는 성질을 이용하여, 반사되는 시간 간격을 측정함으로써 물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초음파를 쏘다가 변화가 급격한 부분을 찾아 잠수함의 존재를 의심할 수 있죠.
학문 /
전기·전자
22.10.22
0
0
이집트의 피라미드는 어떻게 만들어 졌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피라미드를 쌓아 올리는 방법은 모래, 흙을 쌓아 경사로를 만들어 경사로를 통해 피라미드를 이루는 거대한 돌을 수레나 굴림을 이용해 운반하여 쌓아 올리는 건축 방식을 사용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0.22
0
0
높이의 따라 물건을 떨어지는 속도는 똑같은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물건에 따라 다르겠지만 보통 높이가 더 높은 물체가 더 빠릅니다. 물체는 떨어지는동안 중력이라는 힘을 받으며 떨어지기 때문에 가속하여 속력이 증가합니다. 그래서 높이서 떨어진 물체가 대부분 빠르게 떨어지죠.그런데, 떨어지는 동안 공기저항도 받기 때문에 저항을 많이 받는 물체의 경우(깃털, 종이 등)는 4층이나 20층에서 떨어지면 거의 동일한 속력이 될 수 있습니다. 이는 종단속력에 의한 것인데, 공기마찰은 속력에 비례하고 어느정도 빨라지면 공기저항과 중력이 평형을 이뤄 등속 운동을 하기 때문이죠.
학문 /
토목공학
22.10.22
0
0
몸이 정전기를 잘 타는 체질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몸이 건조한 타입일 경우 잘통할 수 있습니다. 수분은 정전기를 흘려보내 없앨 수 있는 역할을 해주는데 몸이 건조하면 정전기가 잘 분포하게 되죠. 또는 단순히 몸에 정전기가 많이 분포할 때가 있는데, 이 때에는 정전기가 잘 통할 수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22
0
0
물 한 컵을 끓이는데 전기포트와 전자렌지 중 어느 쪽이 더 전기요금이 많이 나올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전자레인지가 더 많이 나올듯합니다. 전기포트는 물을 끓이는 용도이며 소비전력이 1500W정도이며, 전자레인지는 음식을 데우는 용도로 700-1000W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금방 끓일 수 있는 전기포트가 조금 덜 나갈것으로 판단되네요.
학문 /
전기·전자
22.10.22
0
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