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GPS는 실내에서는 감지가 안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gps는 전파를 이용해 송수신 하므로 터널이나 지하 공간, 지하철 등에서는 정확한 위치 제공을 못 받을 수 있습니다. 이유는 터널이나 지하는 두꺼운 두께의 지반이나 산이 있기 때문에 전파가 지나감에 있어 장애물 역할을 하며, 두께가 있어 전파가 전달되지 못합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0.20
0
0
블루투스랑 전자파의 관계?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블루투스에서 나오는 전자파(빛)의 주파수는 2.4GHz 정도입니다.휴대폰에서 나오는 전자파(빛)는 가시광선, 무선 주파수(RF: radio frequency ~3THz) 등이 나올 수 있습니다. 가시광선의 경우 일상생활, 자연에서 나오는 빛들이 전부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포함하고있어 우리가 볼 수 있으며, 이러한 빛은 휴대폰보다 더욱 많은 방출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도 우리는 병에 걸리거나 하지않고 무사히 잘 지내고 있죠. 휴대폰의 무선 주파수(1~30kHz)에 대해서는 마이크로파보다 긴 파장의 빛이며 에너지가 낮은 빛입니다. 이 빛에 대해 흰쥐에게 실험한 결과 이상 증상을 발견하지 못하였습니다.블루투스의 주파수는 가시광선이나 적외선보다 작으며 낮은 에너지의 빛입니다. 즉, 스마트폰처럼 우리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진 않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20
0
0
단풍잎 색깔이 다른 이유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봄부터 여름까지 엽록소가 만들어지면서 초록 잎을 유지하였지만 가을이 되면서 이 엽록소가 더 이상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이유는 떨켜층에 의해 나뭇잎에 수분이 부족해지고 영양분이 쌓여 산성을 띠게 되면서 엽록소가 분해됩니다. 엽록소가 분해되며 노란, 주황, 빨강, 핑크 등으로 색이 바뀌어 단풍이 지는 것이죠.또한 색이 다른 이유는 색소의 종류와 함유량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붉은색은 엽록소가 분해되며 안토시아닌을 생성하며 띠게되고, 노란색은 크산토필, 카로티노이드가 생성되면서, 갈색은 크산토필, 타닌이 생성되면서 띠게되는 색입니다.엽록소가 분해되는 이유는 겨울 동안 나무는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고 나무 내에 있는 수분을 최소화(수분이 얼면 부피가 증가해 손상을 입기때문에)하는 작업을 시작합니다. 그 중 에너지 소모를 줄이기 위해 잎과 나뭇가지 사이에 떨켜층을 형성하여 나뭇잎에 수분 공급을 중단시키고 나뭇잎으로부터 에너지(양분) 공급을 중단 받아 나뭇잎의 농도가 올라 산화되면서 엽록소가 분해돼 단풍이 들게하며 이후에 낙엽이 되어 떨어지게 만듭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0
0
0
휴대폰 걸음수 측정방법이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스마트폰에 사용될 수 있는 센서의 종류는 중력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중력센서는 중력을 측정하여 스마트폰의 방향을 인식하는 역할을 하며, 가속도 센서는 가속도를 측정하여 핸드폰의 이동속도, 충격 등을 감지하며, 자이로센서는 스마트폰의 회전상태와 기울기 등을 인식합니다. 걸음 수를 세는 것은 특정 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아닌 이러한 센서들을 조합하여 계산합니다. 직접 걸어야 걸음수가 측정되는것은 gps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20
0
0
비가 안오는 가뭄에도 계곡물은 왜 마르지 않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가뭄이 지속되면 계곡도 마를 수 있습니다. 또한 비가 한동안 안와 마르는 계곡도 존재하죠. 그런데, 물이 계속 흐르는 계곡의 경우 산에서 만들어지는 수분이나 비가 내려 흡수돼있던 수분이 모아져 계곡쪽으로 흘러내리기 때문입니다. 또한 산 정상이나 중간 중간에 물웅덩이가 있을 경우 모아진 웅덩이 물에 의해 계곡이 흐를 수 있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0
0
0
아날로그 시계는 왜? 12시에 시작으로 오른쪽으로 돌아가게 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시계를 처음 만든 사람은 북반구에 살고 있었으며, 태양이 이동하는 방향을 본 따 시계의 방향을 정하였다고 합니다. 그 뒤로 관습적으로 거의 모든 시계가 오른쪽으로 돌아가게끔 제작하였죠.
학문 /
전기·전자
22.10.20
0
0
세계 최초로 에스컬레이트를 발명한 나라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최초의 에스컬레이터는 1900년 찰스 시버거에 의해 필라델피아 짐벨 가게에 설치되었습니다. 개발은 엘리베이터를 개발한 오티스 엘리베이터 회사이며 미국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0
0
0
충전기중 c핀 충전기는 왜 방향이 바뀌어도 충전이 되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c타입은 위아래 구분없이 사용이 가능하게 만들어졌습니다. 하지만 정품이 아닌 제품을 사용하거나 하면 한쪽 방향으로만 충전이 되는 경우도 있죠.
학문 /
전기·전자
22.10.20
0
0
자동차 앞유리창은 왜 일반유리창과같이 안깨지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차량 앞 유리에 강화유리나 방탄유리를 설치한 경우 일반유리처럼 깨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강화 유리는 유리를 열 처리한 후 유리 표면에 찬 공기를 불어 급냉시킨 유리입니다. 강도가 강하며, 깨질 경우 금만 가고 파편이 튀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차량에 주로 사용되고 있죠.방탄유리는 두 유리판 사이에 신축이 강한 필름을 붙여 외부의 강한 충격에도 유리의 파편이 튀지 않고 깨지기만 하는 유리입니다. 총알이 유리 판을 뚫기 위해서는 유리 파편을 튀게하여 통과를 해야하는데 방탄유리의 경우 파편이 튀지않아 총알이 뚫지 못하는 이유죠.
학문 /
기계공학
22.10.20
0
0
안에서는 보이고 밖에서는 안보이는 유리창의 원리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코팅된 필름이 매직미러의 원리입니다. 매직미러 외부(차량 외부)에서는 빛이 일부 반사되고 일부는 통과하며 일부는 흡수됩니다. 매직미러 안(차량 안)에서는 매직미러 외부에서 통과해 나온 빛을 보게 되는데, 이 때문에 외부 상황을 안에서도 볼 수 있고 매직미러를 투명한 유리처럼 느낌니다. 반면에 매직미러 외부(차량 밖)에서는 매직미러에서 반사된 빛을 강하게 보는데 이 때문에 거울처럼 보이는 것이죠.
학문 /
토목공학
22.10.20
0
0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