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머리카락 곱슬거림은 어떤 과학이 숨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기후, 온도, 일사량 등 환경에 의해 적응과 진화과정을 거쳐 곱슬머리가 됐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곱슬머리는 바람이나 공기가 잘 통하게하여 열을 식히는데 유리한 머리카락입니다. 그래서 더운 열대지방에서의 사람들의 머리가 곱슬머리죠.
학문 /
화학
22.10.19
0
0
육각수란 어떤 형태의 물이며 우리의 건강에 어떤 영향을 주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육각수는 물(액체)이 얼음이 되기전의 상태나 얼음이 녹으며 육각수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는 상태변화과정의 자연스러운 과정입니다. 왜냐하면 얼음은 물 분자의 육각구조로 정렬된 상태이기 때문이죠. 그래서 상태가변화하면 육각구조가 있는 물이 생성될 수 있습니다.하지만 이러한 육각수가 물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보다 건강이나 사람몸에 더 좋다는 연구결과나 과학적결과는 없습니다. 육각수도 단순히 물일 뿐이죠. 육각수가 건강에 좋다는것은 하나의 상업성으로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학문 /
화학
22.10.19
0
0
석유의 매장이 많은 나라는 지리학적 특징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하의 금속탄화물과 물이 많았거나 과거에 식물이나 동물등이 많이 살았다면 현재 석유가 많이 나올 수 있는 지역이 되겠습니다.석유의 만들어지는 과정은 무기성인설, 유기성일설 두 가지의 설이 있습니다.무기성인설 의 경우 지하의 금속탄화물과 물이 고온 고압 환경에 놓여 반응해 탄화수소(석유)가 되었다는 이야기가 있으며, 탄화수소, 물, 황 등이 섞이면서 고온 고압으로 반응하여 탄화수소가 발생했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유기성인설 의 경우 지하에 매몰된 유기물(동물, 식물, 공룡 등)이 지열과 지압을 받아, 토양의 촉매 작용으로 탄화수소로 변성했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여기서 등장하는 탄화수소가 석유를 의미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9
0
0
아이와 별을 관측하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별을 보기 좋은 곳은 도심지에서 떨어진 빛이없는 어두운 곳이 좋으며 맑은날 가셔서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또한, 더욱 많은 별이나 행성등을 보시고프시다면 가까운 천문대에 가서서 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9
0
0
승화, "액체를 거치지 않고 바로 기체로" 왜 액체 상태를 거치지 않는다고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과학을 잘 하시는분이시네요! 잘 모르실때에는 그렇게 접근하는게 맞고 자꾸생각해보는 점이 본받을만합니다.먼저 상태에 대해 정의해보면 고체 상태는 규칙적인 배열로 결합해 있는 상태입니다.액체 상태는 원자들이 어느정도 붙어있으며 큰 운동에느지를 가지고 있지않아 서로 떨어지지 못하고 붙어다니는 상태입니다. 기체 상태는 서로에게서 떨어질만한 운동에너지을 가지고 있어 자유로운 상태입니다.이제 본론으로 돌아오면, 드라이아이스는 -78도 이하로 굉장히 차가운 상태에 이산화탄소의 고체 상태입니다. 그런데 상온에 놓이게되면서 드라이아이스가 녹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녹게되면서 상온에서의 1기압의 약한압력과 높은 열에너지를 전달받게됩니다. 그러면 고체의 결합에서 끊기자 마자 이산화탄소간 뭉쳐 액체처럼 행동할 겨를도 없이 기체로 자유롭게 떠도는 것이죠. 그래서 승화가 일어나는 것입니다. 이산화탄소가 액체가 되는것을 보고프다면 5기압이상의 높은 압력을 가해 자유로워지는것을 억제하고 서서히 온도를 높이면 액체가 됩니다. 더 궁금한 사항은 댓글 남겨주시기바랍니다.
학문 /
화학
22.10.19
0
0
물이 얼음이 될 때 부피가 왜 증가하는가?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대부분의 물질은 액체에서 고체로 되면서 부피가 줄어듭니다. 하지만, 물의 경우는 특별합니다. 물이 얼음이 되면서 부피가 커집니다. 혹시, 페트병에 물을 넣어 얼린경험이 있으시다면 바로 알아채실겁니다. 페트병에 물이 얼어있으면 빵빵하게 돼버리는데, 얼음이 물보다 부피가 크기 때문이죠. 물 분자는 액체 상태에서 자유롭게 있다가 어는점이 되면서 배열을 이룹니다. 이 때 6각 배열로 정렬하면서 얼음(고체)이 되는데, 6각 배열은 기존 물 분자 6개가 있던 공간보다 큰 공간을 차지합니다. 또한 6각 구조 내부로는 물 분자가 위치하지 않게 되죠. 이러한 원리로 얼음이 되면서 부피가 커진거죠. 그리고 물의 질량은 여전히 얼음의 질량과 동일합니다. 즉, 물의 밀도가 얼음의 밀도보다 크기 때문에 얼음이 물 위에 뜨는것이죠.
학문 /
화학
22.10.19
0
0
지구에 중력이 없어진다면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중력이 없다는 것은 곧 질량이 없다는 의미와 같아집니다. 중력은 만유인력으로 질량과 질량사이에 끌어당기는 힘입니다.즉, 지구의 중력이 사라진다면 지구를 이루고 있는 물질들의 질량이 0이고, 물리학에서 질량이 0인 입자는 빛의 속도로 움직입니다. 따라서 지구가 빛의 속도로 퍼져 사라지게 되죠. 그래서 모든것이 날아가 흩어져 버릴 것입니다.달이나 화성도 질량을 가진 위성, 행성입니다. 이들도 다른 질량을 가진 물질을 끌어당기며 만유인력(중력)을 행사하고 있죠. 또한 우리 주변의 물체나 사람도 질량을 가지고 있어 중력이 있습니다. 다만 그 힘이 매우 작기 때문에 느낄 수가 없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9
0
0
태양계에도 왜행성이존재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왜행성은 태양계를 돌고 있는 작은 행성을 의미합니다. 왜행성은 태양을 중심으로 궤도 운동을 하고 있으며, 구형에 가까운 모양을 하고 있고, 다른 행성의 위성이 아닌 행성입니다. 또한 강한 중력을 행사하지 못해 위성을 갖지 않고 있죠.이러한 왜행성은 명왕성, 에리스, 세레스 등이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9
0
0
닭이나 오리는 날지 못하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대부분 오리는 날 수 있지만 집오리는 닭과 같이 날기 어렵습니다.닭이나 집오리가 가축으로 길러지면서 후천적으로 날개가 퇴화되어 날지 못한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물론 가축이 되기전에 날 수 있었는지 날지 못하였는지는 확실히 알지 못하겠지만, 퇴화된 날개를 가진 종끼리 교배가 되며 날지 못하게끔 퇴화되었습니다. 가축으로 길러지며 위험에 대해 도망갈 일이 없으며, 날아다니는 일도 없기 때문이죠.
학문 /
생물·생명
22.10.19
0
0
드라이아이스의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드라이아이스는 이산화탄소가 고체상태로 존재하는것입니다. 마치 물이 얼어있는 상태와 같습니다. 드라이아이스는 이산화탄소가 고체가 되는점인 영하 78도 이하의 온도로 존재합니다. 즉, 만지면 굉장히 차가운 드라이아이스에 피부에 있는 열을 빼앗겨 동상을 입게되죠. 그런데, 이로인한 흉터는 피부조직을 파괴하므로 마치 화상과 같은 통증과 상처를 남기기 때문에 화상이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드라이아이스가 물에 들어가면 물의 열을 빼앗아 고체상태에서 기체로 승화가 일어납니다. 그래서 고체 이산화탄소가 기체 이산화탄소가 되면서 기체가 발생되죠. 이산화탄소 기체가 바로 연기인 것이죠.
학문 /
화학
22.10.19
0
0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