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컴퓨터 모니터의 사생활 보호 필름의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사생활 보호필름은 미세한 빛의 가림막을 사용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불투명한 부분과 투명한 부분을 교차로 배열하여 사생활 보호 필름을 제작합니다. 그러면 빛이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의 모니터에서 나올 때 불투명한 부분과 불투명한 부분 사이를 통과하여 나오기 때문에 거의 직진하게끔 만들어줍니다. 그래서 옆부분에서 보면 화면이 어둡게 보이는 것이죠.
학문 /
기계공학
22.10.18
0
0
중국의 강력한 외교 무기 중 하나가 희토류라는데, 희토류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희토류는 화학적 성질이 유사한 스칸듐(Sc), 이트륨(Y), 란터넘족 15개의 원소 등 총 17개의 원소를 모두 포괄하는 광물을 의미합니다.희토류는 광섬유, 디스플레이, 철강 등에 필요한 재료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또한 희토류는 전지, 2차전지, 발전기에 사용되는 영구자석의 원료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발전기, 전지의 경우에는 전자기 유도 현상을 통해 전기를 얻습니다.전자기 유도 현상이란 코일(도선)이 있고, 코일 주변에 자석(또는 전자석)이 움직이거나 자기력이 변화하고 있을 때 코일(도선)에 유도 전류가 흐르는 현상을 말합니다.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학문 /
화학공학
22.10.18
0
0
남극빙하가 다 녹으면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극자방 눈과 얼음이 다 녹게 될 때, 해수면이 80cm이상 높아질 수 있다는 예측이 있습니다.현재는 온난화가 나날이 진행되고 있으며 남극과 북극의 눈과 얼음이 계속해서 녹고 있습니다. 북극의 경우 대륙이 없고 빙하로 이루어져있습니다. 남극은 대륙 위에 눈과 얼음이 뒤덮고 있죠. 북극의 빙하가 녹게 될 경우 해수면의 상승은 없다고 보시는게 맞습니다. 왜냐하면 물 위에 얼음이 둥둥 떠있다가 얼음이 녹아도 수위가 안 올라가는 이유와 같습니다. 물은 얼음이 되면서 부피가 커지는데, 그 부피가 커지는 만큼 수면 위로 뜨기 때문이죠. 하지만 남극의 경우는 다릅니다. 남극은 대륙이며 대륙위에 눈과 얼음이 뒤덮고 있죠. 이 눈과 얼음이 녹으면서 바다로 유입되면 해수면의 상승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구 전체 면적의 70퍼 정도가 바다이며 일부 남극의 얼음이 전부 녹지 않는 이상 해수위의 상승은 미미합니다.눈과 얼음이 녹아 바다로 유입되고 태양 에너지를 받아 수온이 상승하게 되면 해수위가 상승하는 또 다른 조건입니다. 바닷물에 열이 가해지면 운동성이 활발해져 부피가 팽창하기 때문이죠.그러나, 온난화로 인해 영구동토층이 녹아 온난화를 가속시킬 위험도 있습니다.영구동토층은 보통 북극의 고위도에 위치하며, 1년 내내 얼어 붙어 있는 퇴적물, 토양, 기반암 등을 의미합니다. 영구동토층의 면적은 지구 육지 표면적의 14%이며 약 2100만 km² 입니다. 이 영구동토층은 탄소, 메탄 가스를 포함하고 있으며 녹게되면 탄소와 메탄가스가 대기로 나올 수 있습니다. 즉, 지구온난화를 가속하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시한폭탄이라는 표현을 하고있죠. 온난화로 지구가 따뜻해지면서 영구동토층이 녹을 수 있는데, 영구동토층이 녹으면서 온실가스인 탄소, 메탄가스가 대기로 흘러나오니 온난화가 더욱 가속화될 수 있습니다.그리고 결국 다 녹게 된다면 80cm의 해수면 상승이 예상되며 해안가에 침수가 일어날 수 있고 육지의 면적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8
0
0
바닥에 거울을 하늘로 향하게 한 뒤 거울을 보면 이론 상 우주를 관측 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가능합니다. 거울은 빛을 반사해주기 때문에 우주에서 날아온 빛 또한 반사해줍니다. 그리고 실제로 이 원리를 사용합니다. 전파망원경, 수신 안테나 등의 경우 원반 모양을 하고 있어 빛을 모아주는 거울 역할을 합니다. 빛을 모아 빛의 세기를 높여 관측을 용이하게 하죠.눈으로 관측할 때에도 거울을 땅에두고 하늘을 보며 별이나 달 등을 보실 수 있습니다. 물론 고개를 들어 하늘을 바라보셔도 되구요.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8
0
0
맑은 산소를 마시면 과학적으로 머리가 맑아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어느정도 효과가 있습니다.산소 농도가 올라가면 피곤함은 산소의 부족으로부터 올 수있기 때문에 피곤함이 덜오고 정신이 맑아지긴 합니다.하지만 단점도 있습니다. 산소발생기만 믿고 환기를 등한시하거나 할 경우 방안 공기의 질이 안좋아질 수 있습니다. 냄새나 이산화탄소도 계속해서 나오기 때문이죠. 그래서 환기를 주기적으로 하면서 사용하시거나 공기청정기를 두시는게 더 좋을 수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18
0
0
저녁 노을은 매우 붉습니다. 왜 그럴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노을은 해질 무렵, 태양이 지평선에 놓일 때 태양 빛이 지구의 두꺼운 대기층을 뚫고 우리눈에 들어온 빛을 보게됩니다. 이때 짧은 파장 영역대의 빛은 우리눈에 도달하기전에 산란되어 흩어져 버리고, 파장이 긴 빛들 빨강, 주황, 노랑 등의 빛은 산란되지않고 두꺼운 대기층을 뚫고 우리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노을이 노랗고 붉게 보이는것이죠. 이 때 대기에 먼지, 수증기량 등 대기에 함유하고 있는 성분에 의해 빨강, 주황, 노랑 등의 색 중 산란을 겪는 색이 존재할 수 있으며, 우리 눈에 들어오는 색이 달라 보일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8
0
0
오징어 먹물은 어떻게 만드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오징어의 먹물의 성분은 멜라닌 색소입니다. 사람의 머리카락도 멜라닌에 의해 검은 색을 띨 수 있죠. 먹물을 만들어주는 멜라닌은 단백질이 합성되어 만들어져 먹물 주머니에 보관하게 됩니다. 그리고 위협을 받거나 위기 상황이 오면 먹물주머니에 있는 먹물을 분사해 위기를 모면하죠.
학문 /
생물·생명
22.10.18
0
0
알고리즘에 수학의 명제 개념이 활용되는 원리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코딩의 알고리즘은 논리 정연하게 써야합니다. 예를들어 a는 '입력받는 수'이다. 그리고 f(x)는 3x+40 이다. 만약 a가 2의 배수라면, f(0)을 출력하고,만약 a가 2의 배수가 아니라면, f(a)를 출력한다.라는 간단한 알고리즘 코드를 짰다면, a=3을 입력하면 49가 출력됩니다. 또한, a=2를 입력하면 40이 나오죠. 각각의 명제들의 집합체가 되어 알고리즘 코드가 이루어지는 것이죠.
학문 /
전기·전자
22.10.18
0
0
동굴은 어떻게 만들어 질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동굴은 마그마, 용암 등이 지나가는 길로 형성 될 수 있습니다. 또한 굉장히 긴 시간동안 풍화 침식 작용이 일어나며 깎이고 깎여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 동굴이 형성될 때 마그마나 용암이 지나간 뒤, 지나간 부분이 굳어져 단단하게 만들어 집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8
0
0
써큘레이터가 시원하게 느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써큘레이터는 작은 영역에서 밀도 있는 공기를 강하게 밀어내며 멀리까지 보내죠. 밀도 있고 강한 바람이 날아가며 부피 팽창이 일어납니다. 그러면서 온도가 떨어져 시원하게 느끼는 것이죠. 마치 우리가 입김을 하~ 불면 따뜻하고, 호~ 불면 시원한 것처럼 말이죠. 그리고 서큘레이터의 강한 바람을 불어내는 장점 덕에 공기 순환에도 유리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18
0
0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