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안개가 생기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고기압 지대에서 새벽에 안개가 낄 수 있습니다. 밤부터 새벽까지는 식물의 광합성은 없고 호흡만 일어납니다. 그리고 호흡을 통해 수분 생성되며, 잎의 기공을 통해 나와 잎의 표면에 물이나 수증기의 형태로 존재하게 되죠. 그리고 고기압의 영향으로 수증기가 증발하지 못하고 지표면에 쌓이게 되는데, 기온이 낮은 새벽에 수증기가 쌓이며 포화수증기량을 넘어서 안개를 형성하게 됩니다. 그리고 안개 낀 날의 낮에는 대부분 날씨가 맑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고기압 지대이기 때문이죠.풀숲이 아닌, 저수지가 있는곳이나 해안가, 호숫가에서는 물의 증발로 인해 안개가 발생 가능합니다.다른 경우는 비가 오고 난 뒤 습해진 공기와 풀잎이나 나뭇잎에서 물의 증발이 일어납니다. 증발된 수증기가 산을 오르는 기류를 만나 천천히 올라가게 되면 팽창되고 기온이 떨어지게되죠. 그러면서 수증기는 물로 변하게 되는데 이때 안개가 되는것입니다. 그래서 습한날 산에 보면 작은 안개가 많이 보이는 이유입니다.
학문 /
화학
22.10.18
0
0
바다가 푸르게 보이는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바닷물이 푸른 이유는 파장이 긴 붉은색 계열의 빛은 투과가 잘되고, 파장이 짧은 파란색 계열의 빛이 산란이 잘되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산란은 물 분자와 빛과의 상호작용으로 빛의 경로가 뒤틀리는 현상입니다. 그래서 파란 빛이 물 분자에 산란되어 여기저기 튀다가 수면밖으로 나와 우리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바닷물이 파랗게 보이는 것이죠.또한, 바다의 깊이에 따라 푸른 색이 미묘하게 달라집니다. 바다의 깊이가 깊어질수록 짙은 파란색이 됩니다. 또한, 해수면에나 바다 속 생물의 영향도 받습니다. 해수에는 녹조류, 갈조류, 홍조류 등이 존재하는데, 수심이 얕은 곳에서부터 깊은 곳까지 녹조류, 갈조류, 홍조류 순으로 존재합니다. 이러한 요인에 의해 바다의 색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8
0
0
근친을 하면 왜 병이 생기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근친을 할 경우 열성 유전병의 위험성이 커집니다. 또한 근친을 한 두번 반복한 경우에 비해 반복횟수가 많아져 대를 잇게되면 유전병이 나타나기 시작하죠.실수로 만날일이 없지만, 만약 그럴 경우에는 생물학적으로는 큰 문제는 없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18
0
0
거미도 다른 동물처럼 잠을 자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거미는 추운 겨울이 되기전 월동준비를 위해 나뭇잎이나 나뭇가지, 나무 틈 등을 이용해 거미줄로 밀폐공간을 만듭니다. 그리고 만든 집에서 따뜻하게 지내며 겨울을 납니다.겨울잠을 자는 거미도 있는데, 물거미가 겨울잠을 잡니다. 다른 거미와 마찬가지로 몸 주변으로 거미줄을 둘러싸 외부온도나 물질로부터 보호 받으며 겨울잠을 잡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18
0
0
고추는 가을이 되면 왜? 빨갛게 변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고추속에는 카로티노이드라는 색소 성분이 있습니다. 고추가 처음 날 경우에는 초록고추가 자라나는데, 영양분이 고추 성장에 쓰이며 카로티노이드에는 쓰이지 않습니다. 그러다 고추가 어느정도 큰 시기인 가을부터 영양분이 성장에 안쓰이고 카로티노이드에 사용되기 시작하면서 빨갛게 익어가는 것이죠.
학문 /
생물·생명
22.10.18
0
0
드라이아이스 원리가 어떻게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드라이아이스는 이산화탄소가 고체상태로 존재하는것입니다. 마치 물이 얼어있는 상태와 같습니다. 실험장비나 냉각 장치를 사용하여 이산화탄소를 압축하고 냉각시켜 드라이아이스를 만듭니다. 드라이아이스는 이산화탄소가 고체가 되는점인 영하 78이하의 온도로 존재합니다. 즉, 만지면 굉장히 차가운 드라이아이스에 피부에 있는 열을 빼앗겨 동상을 입게되죠. 그런데, 이로인한 흉터는 피부조직을 파괴하므로 마치 화상과 같은 통증과 상처를 남기기 때문에 화상이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학문 /
화학
22.10.18
0
0
옆사람이 하품을 하면 나도 하품이 나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하품은 체내에 산소가 부족해지면 산소를 얻으려 많은 공기를 마시기 위해 하품을 하는것입니다. 주변에서 하품을 하면 주변사람들 또한 산소가 부족한 상태이고, 주변 사람들의 하품으로 인해 더욱 산소가 부족해져 하품이 연쇄적으로 전파될 수 있습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0.18
0
0
손톱과 발톱은 어떤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손톱과 발톱은 죽은 세포가 밀려나며 자랍니다. 구성성분은 케라틴이라는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칼슘과 같은 무기질도 함유하고 있습니다.손톱은 한달에 평균 3mm정도, 발톱은 평균 1mm정도 자라납니다. 손톱이 자라는 속도는 발톱이 자라는 속도보다 빠르죠. 이렇게 손톱과 발톱의 자라는 속도차이가 나는 이유는 손가락, 발가락의 사용 정도에 따라 다르다고합니다. 보통 발가락보다 손가락을 더 많이 사용하므로 손톱이 빨리 자라나는 이유입니다.
학문 /
화학
22.10.18
0
0
우주에서는 대기권 없는데 전파가 전달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대부분의 파동은 매질을 이용하여 진동하지만 빛(전자기파)은 진공에서도 스스로 진동하며 잘 나아갑니다. 전자기파(빛)은 전기장과 자기장의 진동입니다. 전기장의 변화가 자기장을 만들고 자기장의 변화가 전기장을 만들며 진동하며 전파해나갑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8
0
0
김서림 방지 안경닦이, 렌즈 실제로 효과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김서림 안경닦이는 어느정도 과학적인 원리가 있습니다.김서림 안경닦이에는 화학물질성분이 들어있는데 이 물질이 안경표면에 묻으면서 물의 표면장력을 약화시키며, 또 화학성분이 물과 친하지 않기 때문에 김서림 및 물의 고임을 방지합니다. 참고로 최근 미국의 한 대학에서 김서림 방지에 사용되는 성분이 독성물질을 함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결과도 있습니다. 그러니 당장 사용하는 것은 좋지 않으며 조금 더 연구 결과를 지켜보는 것이 나을 듯 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18
0
0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