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달리는 기차에서 점프를 할경우 그 자리인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관성의 법칙 때문입니다. 기차와 같은 속력으로 달리고 있어 점프를 해도 제자리입니다.기차는 거의 일정한 속력(등속력)으로 운행을 합니다. 그러면 기차안에 타있는 사람들도 기차를 따라 기차와 같은 속력으로 움직이고 있습니다. 그래서 기차 내부에서 기차를 보면 움직이지 않아 보여도, 외부에서 기차를 보면 빠른속력으로 움직이고 있죠. 또한 기차에 탄사람들도 빠르게 움직입니다.이 상황에서 점프를 하여도 여전히 기차와 같은 속력이기 때문에 제자리 인것입니다.만약 점프할 당시에 기차가 순간적으로 정지하면 앞으로 날아가버리죠. (이러한 이유로 사고가 나는 것입니다.)
학문 /
물리
22.10.18
0
0
주행 중 앞자리에서 물건을 떨어뜨리면 뒷자리로 다시 들어오는 현상은?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공기 순환에 의한 현상입니다.달리는 차량의 앞좌석과 뒷좌석의 창문을 열면 차량내부로 공기가 들어와 순환하여 나가는 흐름을 만들어 냅니다. 각 창문의 일부분은 들어오는 공기가 형성되며 일부분은 나가는 공기의 흐름이 형성됩니다. 그래서 앞좌석에서 물건을 냅두게되면 형성된 공기 흐름을 타고 뒷자석으로 물건이 떨어지죠.참고로 고속도로에서 모든 좌석의 창문을 열면 공기의 흐름이 저항역할을해 연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만약 환기를 하시고자하면 한쪽 방향의 앞 뒤 창문을 여시는게 좋습니다.
학문 /
화학
22.10.18
0
0
충분한 질소가 생명체의 존재 가능성의 필요 조건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모든 생명체(동물, 식물, 박테리아, 세균 등)는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단백질로 구성 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단백질(아미노산)은 질소로 이루어져있으며, DNA 또한 질소로 이루어져있습니다. 즉, 질소가 충분한 양이 있어야 생명체를 이루는 DNA, 아미노산 등이 만들어 질 확률이 높으며 박테리아, 세균 등도 만들어질 확률이 높기 때문에 충분한 양의 질소를 필요조건으로 꼽는 이유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18
0
0
파도는 어떤 원리로 생겨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파도는 조수간만의 차, 바람에 의해 발생합니다.조수간만의 차는 태양, 달의 만유인력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지구는 태양주위를 공전하고 달은 지구 주위를 공전합니다. 그리고 지구는 자전을 하고 있죠. 그래서 지구가 자전하면서 우리나라가 달과 가까워지거나 태양과 가까운 위치에 놓일때가 있습니다. 이때 만유인력이 작용해 해수면이 상승하고, 태양이나 달과 가장 멀어지는 시기에 해수면이 하강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조수간만의 차가 나타나죠. 바다와 호수에 작용하므로 물결이 이는걸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넓고 깊은 바다에 비해 호수는 좁고 얕으므로 파도가 크게 일렁이지 않습니다. 만약 큰 태풍이나 바람이 분다면 바다나 호수에도 파도가 칠 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8
0
0
얼음은 왜 사이즈가 작을수록 녹는 속도가 빠를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사이즈가 작아지면 냉기를 보존하는 효과가 많이 떨어집니다. 사이즈가 크면 얼음 결정간 냉기를 유지해주어 냉기가 더 오래 유지되죠.그래서 사이즈가 작은 얼음이 더 빨리 녹아 사라지게됩니다.
학문 /
화학
22.10.18
0
0
밤에 불을 끄고 핸드폰을 시청할 경우에 모드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블루라이트 차단 기능이라 눈에 피로와 자극이 덜 가므로 신경을 덜 자극해 조금 더 시력보호에 효과가 있습니다. 하지만, 불을 끄고 밝은 화면을 보는 것은 여전히 시력에 좋지 않습니다. 또한 가까이서보거나 하면 수정체에 변형을 줄 수 있어 시력이 나빠질 수 있습니다.그래서 두뼘 반 정도의 거리 이상의 간격을 유지하시고 보시다가 눈의 피로를 중간 중간 풀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18
0
0
비가 올려고하면 왜 지렁이는 밖으로 나올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렁이는 보통 흙, 토양 밑에서 양분을 먹으며 살아갑니다. 그런데 비가오게되면 흙과 토양이 젖게 되어 지렁이가 숨을 쉬지 못하게 되죠. 그래서 지렁이는 비가 오거나 습함을 감지하면 땅 밖으로 나오는 것입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0.18
0
0
무중력상태 우주에서나 경험이 가능하다고 들었는데 실생활에서는 적용불가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무중력은 중력이 없거나 느끼지 못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우리는 지구에 있기 때문에 항상 중력을 느끼며, 발이 땅에 붙어있어 무중력이 아닙니다.그런데, 낙하를 하거나 잠시 떠 있는 경우는 무중력 상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하지만 지구에서 체험할 수 있는 시간은 매우 짧죠. 보통은 비행기를 타고 어느 정도 올라간 뒤 비행기가 낙하하면서 비행기 내부를 무중력 상태로 만들 수 있습니다. 이는 비용이 조금 많이 드는 경험입니다. 만약 비용을 적게하여 길게 낙하하고자 번지점프를 하여 무중력을 체험할 순 있죠. 하지만 주변 환경과 바람, 공기의 저항이 느껴져서 무중력을 체험해도 이것이 무중력인가라는 생각이 들수도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8
0
0
뱃속에서는 숨을 어떻게 쉬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생명의 탄생은 정말 놀랍도록 신기하죠.태아는 탯줄을 통해 엄마에게서부터 혈액을 공급받아 혈액에 포함된 산소로 숨을 쉽니다. 태아의 몸속에서 엄마에게서부터 공급받은 피가 순환하는데, 태아의 좌심방과 우심방 사이에 난원공이라는 구멍을 통해 순환이 이루어집니다. 그리고 태어나면서 곧바로 난원공이 닫히며, 더이상 탯줄을 통해서가 아닌 입으로 숨을 쉬게 되죠.
학문 /
생물·생명
22.10.18
0
0
블루투스는 선이 없이 어떻게 작동이 되는지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블루투스는 2402~2480MHz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총 79개의 채널을 만들어 냅니다. 그리고 이러한 고주파를 저전력 전파로 발생시켜 블루투스 연결이 가능하게 합니다. 이 때 79개의 채널을 1초당 1600번 전송하는데, 패턴을 다르게 하여 전송하기 때문에 다른 주파수와 간섭을 최소화 하여 블루투스 연결을 하게 되는 것이죠.
학문 /
전기·전자
22.10.18
0
0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