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젖지 않는 물은 어떻게 젖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젖지 않은 물은 물이라 불리지만 사실 물이 아닙니다. 불소 계열의 화합물로 플루오르화 케톤(CF3CF2(O)CF(CF3)2 이라고 불립니다. 이는, 물리적,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한 상태이기 때문에 다른 물질과 반응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물건이나 손을 넣어도 젖지 않는 것이죠. 또한, 플루오르화 케톤은 청정소화약제로 쓰이며 불을 끄는 용도로 사용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4
0
0
산소는 살면서 반드시 필요한데요. 산소의 농도가 또 다르면 신체에 영향을 준다는데 왜그럴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공기중 산소의 농도는 곧 우리가 숨을 들이 마실 때 마시는 산소의 양을 의미합니다. 농도가 작으면 한 호흡에 들어오는 산소의 양이 굉장히 적으며, 농도가 짙으면 한 호흡에 들어오는 산소의 양이 많은 것이죠. 그래서 산소 농도도 우리의 생명 활동하는데 있어 중요한 요소입니다. 극단적인 경우를 예시로 들면 금성에는 대기가 있지만 산소의 농도는 거의 0%입니다. 그래서 아무리 숨을 들이마셔도 산소를 마실 수 없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14
0
0
달뜨는시간이 매일 다른데 어디서 알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참고사이트 알려드리겠습니다. 이곳에서 보시면 됩니다.https://d5.co.kr/월출 월몰 시간도 조회 가능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4
0
0
구름 안에 있는 수증기는 포화 상태가 얼마나 되어야 떨어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구름 속 수증기는 뭉쳐져 있지 않고 안개처럼 흩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이 구름은 밀도가 작아 조금의 바람이나 상승기류에 의해 계속 둥둥 떠있을 수 있는 것이죠. 그리고 구름 속 수증기량이 많을 경우에 수증기가 조금씩 뭉쳐 물방울이되면서 비가되어 떨어지는 것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4
0
0
워치에 심박수 측정은 어떻게 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스마트 워치의 혈압 측정 원리는 맥박이 뛸 때 팔목이 스마트 워치에 미세한 진동을 가함을 이용해 맥박수를 측정하는 원리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14
0
0
태아의 성별은 언제 결정지어 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수정되고 착상 후 임신이 되면서 태아가 자라나는데 여자의 경우 임신 11주, 남자의 경우 임신 13~14주 경 생식기의 발달이 완료됩니다. 이 때 부터 초음파를 통해 성별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초음파로 정확하게 보기 위해서는 임신 20주 이후 부터 남녀 성별 분간이 가능하다고 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14
0
0
높은 곳에서 떨어뜨린 물체가 무거우면 더 빨리 떨어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공기저항을 무시하지 않고, 물체의 모양이 같을 경우에는 무거운 물체가 더 빨리 떨어집니다.진공 상태일 경우에는 똑같이 떨어지겠지만, 공기 저항을 고려했을 때에는 가벼운것이 공기저항에 더 잘 반응하고 무거운 것은 공기저항을 무시할 수 있기 때문에, 무거운 것이 더 먼저 떨어집니다.공기는 작은 입자 알갱이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무거운 물체는 작은 입자 알갱이가 부딪혀도 잘 움직이지 않으며, 가벼운 물체의 경우에는 작은 입자 알갱이가 부딪히면 무거운 물체보다 잘 움직이기 때문입니다. 이것이 저항으로 작용해 가벼운 물체가 저항에 더 잘 반응하여 낙하 속도가 줄어드는 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물리
22.10.14
0
0
태풍이 오면 창문에 신문지를 붙여서 파손을 방지하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창문에 신문지를 덧대는 이유는 창문이 파손될 경우 파편이 튀는것을 막아주며, 창문의 진동을 어느정도 잡아주기 때문에 창문이 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4
0
0
ai나 로봇이 인간을 대체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현재도 공존하고 있는 것처럼 공존이 가능합니다. 미래에는 우리 생활에 ai 로봇이 더 많이 존재할 수도 있겠지만, 급격하게 변하는것이 아닌 서서히 변화하기 때문에 우리도 서서히 적응하여 공존할 수 있습니다. 공부를 하는 것은 지식이 되고 훗날에는 창의력으로 발전할 수 있는 점도 있습니다. 또한 원하시는 공부에 대해서는 로봇이 있든 없든 계속해서 하시면 되는 것입니다. 공부는 하고싶으면 하시는것이고, 하고싶지 않으면 하고싶은 것을 파시면 되는 것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10.14
0
0
건물 자동문에 접근했을 때 어떻게 문이 열리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자동문 위에 보시면 센서가 달려있는데, 적외선 센서가 내장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마치 소변기와 같은 원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적외선 센서는 적외선을 감지해 반응하여 전류를 흘려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우리 사람에게서는 체온에 의해 적외선이 방출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적외선 센서에 가까이 다가가거나 멀어지는 변화를 주면(회로내 미분기를 사용), 이를 감지해 센서가 작동하는 것이죠. 그래서 전류를 흘려보내 문이 열리게끔 스위치를 켠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14
0
0
316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