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기분이 안좋을때 억지로라도 웃으면 정말 엔돌핀이 나오나요.화학적으로 맞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맞습니다. 우리가 웃을 때 웃는 표정을 지으며 웃게되면 뇌에 혈류량이 증가 됩니다. 그래서 뇌에서 엔돌핀이 생성되 기분이 좋아지죠. 억지 웃음을 지을 때도 마찬가지로 뇌에 혈류량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그래서 억지웃음도 엔돌핀이 생성되는 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14
0
0
사람의 눈은 고양이나 기타 다른 동물에 비해 빛의 밝기 차이에 반응을 잘 못하는데 어떤 이유 때문인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야행성 동물들의 경우 사람과 달리 동공이 새로로 길기 때문에 빛의 양을 조절하는데 유리합니다. 그래서 빛의 밝기 차이가 나면 동공을 조절해 눈으로 빛이 들어오는 정도를 조정하죠.하지만 사람의 경우는 동공이 동그랗기 때문에 빛의 양을 조절하는데 있어 동물보다는 느립니다. 그래서 눈부심이나 어두운곳에 들어가면 바로 볼 수 없는 것이죠.잔상효과는 시각 세포 중 원추세포의 자극에의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강한 빛을 보거나 색깔이 있는 물체를 오래 볼때에 시각 세포들이 자극을 받게 됩니다. 이 때 원추세포가 자극을 받아 신경이 길게 남아 있기 때문에 눈을 감거나 다른곳을 보아도 잔상이 남아 있는것입니다. 물체에서 눈을 떼어도 우리 눈에 있는 원추세포가 뇌로 신호를 계속해서 보내고 있기 때문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14
0
0
풍력발전은 친환경발전입니다. 바람이 많이 부는 곳에서 많이쓰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바람이 많이 불면 불수록, 세면 셀수록 풍력발전기에서 전기의 생산량이 증가합니다.바람의 세기에 따라 천천히 돌기도 빨리 돌기도 합니다. 단점으로는 소음이 크다는 점과, 새를 죽일 수 있다는 점이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14
0
0
인간은 왜 몸에 나쁜 걸 좋아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달콤한 맛, 자극적인 맛은 기분을 좋게하고 더욱 많은 자극을 필요로합니다. 또한, 당분의 경우는 뇌의 혈액순환을 돕기 때문에 좋기도 하며, 뇌에 혈액순환이 잘되지않을 때 당이 먹고 싶기도하여 먹게 됩니다. 또한 스트레스를 받을 때에도 당이 땡기기 때문에 먹게 되는 거죠. 설탕이나 나트륨등은 적당히 먹으면 효능을 발휘합니다. 하지만 많이 섭취하면 좋지 않죠. 그래서 사람들은 절제하게 되죠. 또한, 절제를 하면 욕구가 생기기 때문에 또 먹게 되는 것입니다. 마약의 경우는 다릅니다. 마약은 중독을 일으켜 계속해서 더 많은 마약양을 필요로합니다. 그래서 위험한 것이죠.
학문 /
생물·생명
22.10.14
0
0
8585테스트 해당 조건에대한 근거와 관련 근거가 기술된 참고문헌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고온 다습한 열악한 환경에서도 1000시간이나 가동되는 제품이므로 그만큼 신뢰성을 주기 때문에 테스트를 진행한 것입니다.참고 문헌은 아니지만 이 사이트에서 설명하고 있습니다.https://wpo-altertechnology.com/temperature-humidity-test/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10.14
0
0
첨성대는 천문을 관측하는 곳이라는데 어떤식으로 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첨성대의 입구로 들어가 사다리를 타고 정상에 오른 뒤 별을 관측할 수 있는 관측기구를 설치하여 별을 관측하였습니다. 천문대 자체가 관측기구는 아니며 관측소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4
0
0
물고기는 바닷물과 민물 두 종류로 나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바닷물과 민물은 환경이 다릅니다. 바닷물에는 염분이 가득하며, 민물은 염분이 없습니다. 바닷물에 살고 있는 물고기들은 염분이 있는 환경에 적응하였기 때문에 물고기의 몸에서 삼투현상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하지만 민물에 가게되면 물고기 몸 내의 농도가 높아 삼투현상이 일어나 물이 유입돼 죽을 수 있습니다. 민물고기의 경우는 반대로 바다로 가게되면 삼투현상에 의해 몸내의 농도가 낮아 바다로 물이 빠져나가 말라 죽을 수 있습니다.반면에 연어, 황어, 송어 바다에 살다 강으로 알을 낳으러 가고, 뱀장어의 경우는 강에 살다 바다에 알을 낳으러 갑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14
0
0
콘택트 렌즈 착용으로 인한 충혈이 지속되면?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의료쪽 분야에 질문을 하시면 더욱 좋은 답변을 들으실 수 있을 것같습니다.콘택트 렌즈를 착용하는 방법이 문제일 수도 있으며, 안구 건조증이 유발되는 경우일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정확한 원인을 알고자하시면 안과에 가시는게 제일 확실합니다. 일단, 충혈은 좋지 않은 증상이니 착용을 최대한 줄이시길 바랍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14
0
0
비산 방지필름은 어떠한 원리로 파편이 튀는 것을 방지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필름을 사용하면 가능합니다. 비산 방지 필름의 경우 강화 유리를 이용해 액정을 보호하며, 이것이 충격을 받아 깨져 파편이 튈 경우를 대비해 고투명 강성 PET 필름을 표면에 부착하였습니다. 고투명 강성 PET 필름을 부착해도 투명성에 의해 액정을 보는데 지장없으며, 강한 PET 필름으로 질긴 성질에 의해 파편이 튀는걸 방지할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10.14
0
0
타임머신의 가능성은 이론적입니까, 실재적입니까?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물리학에서 상대성 이론을 따르면 미래로의 시간 여행이 가능하며, 과거는 불가능합니다.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빛의 속력과 비슷한 속력으로 여행을 다녀오거나, 중력이 강한 행성을 다녀오게 되면 지구에 있는 사람들보다 시간이 느리게 흘러 마치 미래로 이동한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하지만 이러한 일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광속까지 얻는 추진력(에너지)이 필요하고, 광속에 비슷한 속력으로 이동하는 동안 외부와 충돌없이 안전하게 운행해야합니다. 그리고 중력이 강한 행성에 가기 위해서는 가는데 까지 필요한 연료와, 강한 중력을 견딜 수 있는 육체가 필요하죠. 그래서 영화에서는 쉽게 가능하지만 현실에선 거의 불가능하시다고 보면 됩니다.참고로 나사에서는 광속에 가까운 속력을 낼 수 있는 추진체를 개발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를 이용하면 정말 상대성 이론을 체험하며 미래로 시간 여행도 가능한 일일지도 모릅니다.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14
0
0
316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