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병원에 있는 x-ray MRI CT 원리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X-ray는 진동수가 높은 빛으로 에너지가 높은 빛입니다. X-ray의 특징은 우리의 살은 잘 투과하지만 뼈는 투과하지 못하기 때문에 뼈사진을 찍을 수 있는것입니다.MRI는 자기장을 발생시켜 인체 내부를 관측하는 장비입니다. 사람의 70%는 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물은 수소와 산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여기서 산소 원자의 원자핵은 스핀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스핀은 외부 자기장에 대해 반응 하고, 이 반응을 통해 인체 내부의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것입니다.CT는 X-ray와 컴퓨터를 이용해 인체의 특정 부위를 촬영하는 기법입니다. 인체의 특정 부위에 대해 여러 방향에서 X-ray를 쏴주며 투과한 X-ray를 검출기(detector)로 수집하여 흡수된 정도를 파악해 데이터화 시킵니다. 데이터를 컴퓨터에 전송해 계산하여 영상을 만들어 보여주는 원리입니다.기능적으로 제일 좋다고 말씀드릴 수 있는것은 없습니다. 상황에 따라 X-ray, MRI, CT 각각 좋아지는 것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가령, 팔을 부딪혀 금이간 정도인데, MRI나 CT를 촬영한다면 비효율적이죠. 이 경우에는 X-ray가 가장 좋으며, X-ray만으로도 진단이 가능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10.13
0
0
자연에서 알비노는 왜 나타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알비노는 희귀 유전질환입니다. 몸에 색소가 거의 없는 유전적인 질환이죠. 세계에는 70억이상의 인구가 있으며 자손을 낳으며 돌연변이나, 장애우, 유전질환 등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경우는 낮은 확률이고 드물지만 유전학적 통계적으로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13
0
0
나폴레옹 수면법 과학적으로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니요. 오히려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적정 수면 시간은 7~8시간정도입니다. 휴식이 있어야 효율적으로 운동, 일, 일상적인 생활등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사람마다 적정 수면 시간이 조금씩 달라 어떤 사람은 5시간만 자도 괜찮게 생활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사람은 8시간을 자도 피곤한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니 본인에게 맞는 적정 수면 시간을 찾아 주무시는 것이 좋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13
0
0
망원경과 현미경의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비슷한 원리입니다. 둘다 확대의 능력을 가지고 있죠.물체(아주 작은 물질 혹은 행성)에서 나온 빛을 모아 볼록렌즈(상을 확대하는 성질)와 오목렌즈(상을 축소시키는 성질)를 이용하여 볼록 렌즈로상을 확대하며 오목렌즈를 이용해 초점을 맞추는 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3
0
0
레이저 줄자는 원리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레이저 줄자의 원리는 빛의 직진성과 반사되는 성질을 이용한 원리입니다. 빛은 최단거리로 가려는 성질로 직진하며, 빛이 나아가다 다른 물질과 만나면 일부 흡수되지만 일부는 반사됩니다.레이저 줄자의 경우 특정한 파장의 빛을 방출하는데, 이를 벽이나 특정 물체에 쏜 뒤 반사되어 들어오는 빛의 파장을 읽어 레이저 줄자에서 나왔다 반사된 빛임을 특정합니다. 이 때 방출되는 시작 시간을 기기내에서 0초로 기준하고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체크합니다. 예를 들어 0.1초만에 반사되어 돌아왔다 치면은 왕복거리를 빛의 속도로 이동한 시간이 0.1초이기 때문에, 30만km/s(빛의 속력)와 0.1s(왕복 시간)을 곱해 반으로 나누면 레이저 줄자로 부터 물체까지의 거리를 구할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13
0
0
겨울철비가내리다가눈으로바뀌어내리는현상은 왜그럴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구름은 수증기, 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높은 상공에서 수증기가 병합되어 물이 되고 이 물방울들이 모여 빗방울 크기가 되면 떨어집니다. 그런데, 추운 겨울과 같이 기온이 낮을 경우에는 작은 수증기가 얼수 있으며, 얼게되면서 작은 눈이 됩니다. 또, 작은 눈 주변으로 수증기가 달라 붙으며(병합되어) 점점 눈의 크기가 커집니다. 그러다 어느 순간 무거워지게 되면 지면으로 떨어지며 눈이되는 것이죠. 즉, 이미 커져있는 물방울은 비로 보스보슬 내리지만 아직 떨어지지 않은 작은 눈덩이들이 뭉치며 커지는 순간부터 함박눈이 내리는 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13
0
0
계절마다 구름의모양의 차이가나는원인은 왜그럴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구름이 형성될 때 지형, 기압, 수증기량, 수증기량의 분포도, 온도, 바람 등 아주 다양한 변수에 의해 모양이 결정되기 때문에 각기 다른 모양의 구름이 형성됩니다. 하지만 크게 보면 얇은 구름, 두꺼운 구름 등 어느정도 형태가 잡힐 수 있습니다. 이는 지형이나 기류의 조건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입니다.가을의 경우 고기압의 영향을 많이 받게됩니다. 고기압은 하강기류를 만드는데, 공기가 상승기류를 타지 못하고 하강기류를 타면 구름이 잘 형성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가을 하늘은 깨끗하고 구름이 잘 보이지 않는 이유죠.하얀 구름은 수증기와 물 분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또한 물 분자의 크기가 다양한 크기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다양한 크기의 입자가 존재하면 특정 파장의 빛만 산란 되지 않고 모든 파장 영역대의 빛이 산란할 수 있습니다. 빨간색 빛, 노란색 빛, 초록색 빛, 파란색 빛 등 모든 빛이 구름내에 존재하는 물 분자로부터 산란이 가능하죠. 모든 색의 빛이 산란되고 빛의 합성으로 인해 하얀색 빛으로 우리눈에 들어오게 되어 구름이 하얗게 보입니다.먹구름은 비가 내릴 수 있는 구름이고, 일반구름과 달리 수증기, 물의 함량이 높고 물방울의 크기가 큽니다(비내리기 직전, 비가 내리고 있는 상황). 그래서 빛이 먹구름 내에 물방울에 산란하지 못하고 흡수되어 어둡게 보이는 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3
0
0
우주로 날아기기위해 우주인이우주복을 어떻게 만드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복은 우주에서 날아오고 있는 자외선, 방사선, 우주쓰레기 등을 막아줄 수 있어야하며 우주는 진공 상태로 기압이 거의 없기 때문에 사람이 살 수 있는 1기압 조건을 갖춰줘야하며 산소도 충분하게 공급해주어야합니다. 또한, 비상시 용변을 처리할 수 있는 용변 패드도 필요하며, 우주인간 소통할 수 있는 통신기기도 내장될 필요가 있습니다. 이러한 조건들에 부합하게끔 우레탄, 알루미늄, 특수섬유, 폴리에스터, 스판덱스, 기저귀의 고분자 흡수체 등을 재료로하여 우주복을 제작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3
0
0
지구 온난화의 주범이 인간인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과학 기술의 발전과 다양한 소재, 물질의 개발로 인해 온실 기체가 많이 방출되는 것은 사실입니다. 석탄과 석유를 시추하여 연료로 사용하며 온실기체가 나왔으며, 비닐, 플라스틱 등과 같은 물질을 연소하는 과정에서도 온실기체가 많이 방출되었습니다. 이 외에도 다양한 요인들 공장, 나무 베기, 산 깎아내기 등으로 인해 온실기체를 발생시킨 원인이 사람이죠. 사람이 편하게 살고자 지구의 환경을 악화시켰기 때문에 현재는 지구의 환경을 위해 많은 사람들이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3
0
0
감전 경험이 있는데, 전선이 손에서 떨어지질 않더라구요.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 몸의 운동 신경은 미세한 전기 신호를 통해 움직이고 있습니다. 그래서 만약 고전압이나, 전류가 몸에 흐르게 되면 우리의 운동 신경을 자극하며 근육이 수축되고 경련이 일어나게 됩니다. 보통 우리는 물건을 만질 때 손을 이용합니다. 감전의 대부분의 사고도 손에서 시작되죠. 손으로 전류가 흘러 근육의 수축이 일어나며 주먹을 움켜 쥐게 되며 이를 우리의 의지대로 펴기란 거의 불가능하죠. 이러한 이유로 감전사고시 대처가 안되며 피해가 커지는 것이죠. 만져서는 안되겠지만 혹시나 전기와 관련된 부분을 만져야할 일이 발생할 경우에는 손등으로 살짝 건드려보고 전기가 통하는지 확인하는게 감전사고 예방에 좋습니다. 손등으로 건드려 전류가 흐른다면 손을 움켜쥐게 되더라도 손등부분은 쉽게 뗄 수 있기 때문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13
0
0
316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