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젊은몽구스151
젊은몽구스15122.10.13

계절마다 구름의모양의 차이가나는원인은 왜그럴까요

괴ㅣ절마다 하를에떠다니는구름모양의차이는 왜그런현상들일까요

뭉게구름이떠잇는 하늘 구름한점없는가을하늘 이런현상들 흰구름먹구름 이런현상의 원인은?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계절마다 불어오는 기단의 영향이나 태양에너지의 입사각이 달라져, 태양에너지가 도달하는 양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차가운 대륙의 건조한 기단과 북태평양의 온난다습한 기단이 만나 구름을 형성하는데, 계절에 따라 두 기단의 세력이 달라져 구름의 형태도 바뀝니다.


    감사합니다.


  • 계절에 따라 구름이 확연하게 다르다고 단정할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그 계절에 자주 볼 수도 있는 구름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봄철 하늘의 특징은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으로 구름이 많지는 않지만 높은 곳에서 맑게 생성되는 권운과 권층운이 자주 생깁니다. 여름은 북 태평양 기단의 영향으로 고온다습한 날이 많습니다. 따라서 대기가 불안정해져서 적운, 적란운과 같이 적운열의 구름이 많이 발생합니다. 가을철의 구름 특징은 4계절 중 가장 아름다운 구름들이 생성됩니다. 봄 철과 같은 기단의 영향을 받으므로 고기압의 영향을 받고 권층운, 권운 적운, 층적운 등등 여러 구름이 생성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이 형성될 때 지형, 기압, 수증기량, 수증기량의 분포도, 온도, 바람 등 아주 다양한 변수에 의해 모양이 결정되기 때문에 각기 다른 모양의 구름이 형성됩니다. 하지만 크게 보면 얇은 구름, 두꺼운 구름 등 어느정도 형태가 잡힐 수 있습니다. 이는 지형이나 기류의 조건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가을의 경우 고기압의 영향을 많이 받게됩니다. 고기압은 하강기류를 만드는데, 공기가 상승기류를 타지 못하고 하강기류를 타면 구름이 잘 형성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가을 하늘은 깨끗하고 구름이 잘 보이지 않는 이유죠.

    하얀 구름은 수증기와 물 분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또한 물 분자의 크기가 다양한 크기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다양한 크기의 입자가 존재하면 특정 파장의 빛만 산란 되지 않고 모든 파장 영역대의 빛이 산란할 수 있습니다. 빨간색 빛, 노란색 빛, 초록색 빛, 파란색 빛 등 모든 빛이 구름내에 존재하는 물 분자로부터 산란이 가능하죠. 모든 색의 빛이 산란되고 빛의 합성으로 인해 하얀색 빛으로 우리눈에 들어오게 되어 구름이 하얗게 보입니다.

    먹구름은 비가 내릴 수 있는 구름이고, 일반구름과 달리 수증기, 물의 함량이 높고 물방울의 크기가 큽니다(비내리기 직전, 비가 내리고 있는 상황). 그래서 빛이 먹구름 내에 물방울에 산란하지 못하고 흡수되어 어둡게 보이는 것이죠.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구름의 모양을 결정 짓는 환경 요인이 많기 때문입니다.

    주로 구름이 생성되는 장소와 기압, 온도, 수분량 등이 영향을 미치는데,이 값들이 다르니 당연히 구름의 모양도 다르게 됩니다.

    계절마다 온도, 습도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구름의 모양이 다를 수 밖에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