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홀로그램 3D 터치기술은 어디까지 발전하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직은 허공에 터치하는 기술은 개발하지 못했으나, 투명 디스플레이(메타물질 활용한 것도 포함)를 활용하여 마치 허공에 있는 거처럼 표현한 디스플레이를 터치하는 식의 기술은 개발되었습니다.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12
0
0
휘핑크림이 만들어지는 원리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비누거품이나 비눗방울이 생기는 원리와 동일합니다. 휘핑크림은 점성이 있는 액체입니다. 이 액체에 가스(기체)를 주입하여 막 흔들어 주면 기체와 휘핑크림이 섞이게 됩니다. 이때 작은 부분 부분으로 나뉘어진 휘핑크림이 가스를 감싸며 아주 작은 공기 방울을 만들게 되면서 거품이 되는 것이죠.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12
0
0
물속에서 가만히 있으면 뜨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물에 뜨는 이유는 중력에 의해 밀도(부피당 질량)가 큰 물질과 밀도가 작은 물질이 있을 때 밀도가 큰 물질이 가라앉고 밀도가 작은 물질이 뜨게되는 원리입니다.바다에서의 경우에는 염분이나 미네랄, 기타 물질이 물에 녹아있기 때문에 밀도가 1보다 큽니다. 하지만 사람의 경우밀도가 1보다 작습니다. 그래서 사람의 밀도가 바다의 밀도보다 작기 때문에 사람이 바다 위에 뜰 수 있는 것이죠.또한, 강물이나 수영장의 경우 염분이 없지만 다른 물질이 녹아 있기도하여 바닷물보다는 밀도가 낮지만 평균적으로 사람보다 조금 더 큰 밀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사람의 밀도보다 약간 높기 때문에 팔 다리를 젓거나, 공기를 많이 들이마시거나(밀도를 낮추면), 안정된 자세로 요동하지 않으면 쉽게 뜰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물리
22.10.12
0
0
체온계의 온도재는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온도를 측정하는 방법 중에는 온도계를 통해 온도를 측정하는 방법도 있지만 사람이나 물체에서 나오는 빛의 파장을 측정하여 온도를 측정하는 방법인 레이저 온도계(적외선 온도계)도 있습니다. 이는 흑체복사를 이용한 원리입니다.흑체 복사란 간단히 온도에 따른 빛의 파장 분포입니다. 즉, 모든 물체는 온도를 가지고 있고, 그 온도에 따라 방출하는 빛이 있습니다.요새 코로나로 건물에 들어가거나 비행기, 기차를 탈 때 간혹 적외선 온도 측정계를 보실 수 있을 겁니다. 우리의 몸은 36.5도의 온도를 가지고 있으며 적외선을 내뿜고 있습니다. 그래서 적외선 온도 측정계를 통해 우리 몸에서 나오는 적외선 파장을 파악해 온도를 측정해 주는 원리인 것이죠.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12
0
0
소독용에탄올이나 소주같은것을 물에 타서 오픈해놓으면 알콜은 증발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물에 타서 놓으면 알콜이 전부 날아가는 것은 아닙니다. 물과 알코올이 섞이면서 증발되는 정도가 달라집니다. 결론을 말씀드리면 물은 알코올에 영향을 받아 증발되는 정도가 높아지며, 알코올은 물에 영향을 받아 증발되는 정도가 떨어집니다. 이러한 증발은 순수한 물보다 빠른 증발이지만 순수한 알코올의 증발보다는 느립니다. 그리고 알코올과 물의 증발이 동시에 일어나긴 하지만 알코올의 증발 정도가 높아 오랜 시간 두게 되면 거의 물만 남아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100% 물만 남는 경우는 없습니다. 알코올이 조금이라도 섞여 있죠.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12
0
0
꿀의 부패와 관련하여 궁금한 게 있습니다~ 꿀은 벌집에 상온 보관되는데 장기간 상온 보관해도 상하거나 부패하지 않는게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꿀은 썩지 않습니다. 꿀에는 효소가 함유되어 있는데, 이 효소가 부패 방지 역할을 하여 방부제 역할을 합니다. 또한, 세균이 꿀에 달라 붙게 되면 꿀의 당도에 의한 삼투압이 발생해 세균 내에 수분이 빠져나가 세균이 말라버려 증식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꿀이 부패되거나 썩지 않는 것이죠. 또한, 오래된 꿀의 경우 가열하여 녹이게 되면 바로 섭취가 가능합니다.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12
0
0
지구에는 얼마나 많은 종류의 고래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세계적으로 고래는 100종 정도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보이는 고래의 종류는 35종 정도입니다. 네, 고래는 알을 낳지 않고 새끼를 낳아 수유하는 동물로 포유류에 속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2
0
0
현재 과학기술로 바다깊숙히 들어갈수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현재까지 인간이 잠수정을 타고 도달했던 최대 깊이는 10984m(마리아나 해구의 챌린저 해연;)입니다. 이정도 깊이에서의 수압은 무게로치면 11톤 정도가 짓누르는 힘입니다.바다의 최대 깊이는 마라이나 해구의 챌린저 해연으로 11034m입니다. 현재 인류는 바다 깊숙이 탐사는 하였지만 바다의 전부를 살펴보거나 파악한 것은 아닙니다. 강한 압력과 해류에 잠수정이 불안정하고 오래있기 힘들기 때문이죠. 기술이 조금 더 갖춰지면 더욱 많은 탐사가 진행될 것으로 봅니다.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2
0
0
사람이 어떻게 물속에서 뜰수잇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중력에 의해 밀도(부피당 질량)가 큰 물질과 밀도가 작은 물질이 있을 때 밀도가 큰 물질이 가라앉고 밀도가 작은 물질이 뜨게됩니다. 바다는 염분이나 미네랄, 기타 물질이 물에 녹아있기 때문에 밀도가 1보다 큽니다. 하지만 사람의 경우 밀도가 1보다 작습니다. 그래서 사람의 밀도가 바다의 밀도보다 작기 때문에 사람이 바다 위에 뜰 수 있는 것이죠. 또한, 강물의 경우 염분이 없어 밀도가 낮아 사람과 비슷한 밀도인데, 사람의 평균 밀도보다 약간 높기 때문에 팔 다리를 젓거나, 공기를 많이 들이마시면(밀도를 낮추면) 쉽게 뜰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2
0
0
우주는 왜가도가도 끝이안보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팽창하고 있습니다. 또한 현재 관측 가능한 우주의 크기는 지구 중심으로부터 관측 가능한 우주까지의 거리가 465억 광년(빛의 속도로 465억년 이동해야 갈 수 있는 거리)이라고 합니다. 이는 관측 가능한 선 내에서 우주의 크기를 추정한 것으로 실제로는 더 클 수 있습니다. 우주는 굉장히 광활하며 아직 밝혀지지 못한 것이 너무나도 많습니다. 그래서 인류는 호기심을 가지고 우주를 이해하고 밝혀내려고 지속적인 연구를 하고 있죠. 또한 안타깝게도 현재 우주의 끝을 알 수 있는 사람이 단 한사람도 없습니다. 아직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이죠. 언젠가는 밝혀질 것이라 믿습니다.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2
0
0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
3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