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높이의 기준이 되는 "해발" 은 어떻게 정해진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해발고도는 바다의 해수면으로부터의 높이로 정의합니다. 질문자님께서 생각하신 것처럼 해수면은 조수간만의 차에 의해 밀물 썰물이 생겨 어느 지점이 0m인 해수면인지 알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의 경우 간조선과 만조선의 평균을 해수면(0m)으로 기준잡고 해발 고도를 계산하죠. 매번 해수면을 찾을 수 없기 때문에 1914년에 인천 앞바다에서 3년간 평균을 내 해수면을 찾아 이로부터 정확히 26.6871m에 위치한 수준원점을 설치하였습니다. 이를 기준으로 해발고도를 측정하는 것이죠. 수준원점은 현재 인하대학교에 위치하여 관리되고 있습니다. 해수면, 해발고도의 기준은 국가마다 조금씩 상이한 값을 가지고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0
0
0
인간이 생명을 유지한 채로 태양에 얼마나 가까이 갈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에서 태양까지의 거리(1AU)의 95퍼 정도, 즉 0.95AU까지 겨우 갈 수 있습니다. 태양을 마주보고 0.95AU 정도까지 가게되면 우주복의 내부 온도가 50도를 넘게됩니다. 그래서 0.95AU 부근 근처까지 어찌 가겠지만 금방 탈수가 일어나며 생명활동에 지장이 생겨 위험에 처하게 됩니다. 그래서 태양의 95%정도까지 겨우 근접할 수 있다고 판단합니다. 또한, 태양에서는 열만 방출 되는 것이 아닌 우주선(방사선 물질 포함)도 방출 되기 때문에 살아 돌아와도 산것이 아닐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0
0
0
항성의 질량과 중력은 어떻게 측정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로부터 멀리 떨어져있는 별이나 행성의 반경과 질량은 관측을 통해 측정이 가능합니다. 먼저 별, 행성의 반경의 경우는 성능이 좋은 망원경을 통해 관측함으로써 픽셀단위로 길이를 환산하여 측정이 가능합니다. 질량의 경우 주변 행성, 위성의 공전 반경과 공전 주기(공전 속도)를 측정함으로써 항성, 모행성(위성의 공전 중심에 놓인 행성)의 질량을 찾을 수 있습니다. 질량을 측정하고자 하는 항성의 행성 및 행성의 위성이나 이 행성을 기준으로 공전하는 물체를 기준잡아 망원경을 통해 반경을 측정하고, 지속적인 관측을 통해 공전 주기를 찾아 냅니다. 이 때 공전하는 물체의 공전 주기는 이론적으로 공전 반경과 모행성의 질량에 관한 식으로 주어집니다. 즉, 공전 주기를 알고, 공전 반경을 알아냄으로써 미지수인 항성, 행성의 질량을 찾아낼 수 있는 것이죠.또한 항성, 행성의 질량과 반경을 알아내게 되면 중력은 만유인력으로 GMm/r²이 됩니다. 여기서 G는 중력 상수로 알려진값이고, M은 행성의 질량, m은 중력을 받는 물체의 질량, r은 힝성, 행성의 반경이 되겠습니다. 이를 이용해 중력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0
0
0
팩 우유는 어떻게 해서 안상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그러한 팩에든 우유는 살균처리된 멸균 우유 입니다. 멸균 우유의 경우는 일반 우유와 달리 유통기한이 한달 이상 정도 되며 오래두고 먹을 수 있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10
0
0
번개가 치고 천둥 소리가 나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번개는 빛과 소리를 동반하기 때문입니다. 전자가 구름에서 대기로 방전되며 번개가 만들어지는데 이때 방전이 될 때 공기를 팽창 수축시켜 진동을 일으켜 소리가 나며, 전자의 이동으로 인해 공기 중 원자 및 분자의 에너지 상태가 변화되며 빛이 발산되는것이죠.빛의 속력은 대략 30만km/s 이며, 소리의 속력은 대략 330m/s 입니다. 번개가 발생하여 우리가 관측하게 될 때 빛의 속력이 소리의 속력보다 빨라 번쩍임을 먼저 관측하고 우르르 쾅쾅 천둥 소리를 늦게 듣는 이유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0
0
0
새들은 어떻게 길과 방향을 찾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새들은 귀소본능이 강한 동물 중 하나입니다. 그래서 주변 지형이나 모양새로 자신의 집을 기억하며, 자기이 활주한 길을 되돌아가 집을 찾게 되죠. 철새의 경우에는 철새를 연구하시는 분들이 철새별로 이동하는 경로와 지역이 있다는 것을 밝혔습니다. 또한, 철새에게는 지구 자기장을 감지하는 단백질이 존재하는데, 이 단백질이 나침반 역할을 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10
0
0
꿀의 탄소동위원소비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탄소 동위 원소비 분석법으로 아카시아 꿀은 -23.0~-26.1의 범위이며, 유채꿀과 밤 꿀은 -23.0~-28.0등 모든 벌꿀이 -23 이하를 갖습니다. 동위 원소 연대 측정법의 경우 불안정한 원소는 반감기(개수가 반으로 줄어드는 기간)가 존재함을 발견하면서부터 이를 이용하여 연대를 추정하거나 물질의 순수한 양을 찾는 방법을 고안해 낸 것입니다. 벌꿀은 C3식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탄소 동위원소연대 측정법을 통해 순수한 꿀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벌꿀의 경우 -23이하를 갖게 되면 순수한 벌꿀(벌꿀의 순도)이라고 판단하여 드셔도 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10
0
0
쥬라기시대에 한반도에도 공룡이 존재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우리나라에도 공룡의 화석이 발견된 곳이 있습니다. 1973년 경북 의성군 금성면 탑리에서 발견되었는데, 한국 최초의 공룡 화석으로 공룡의 팔꿈치뼈를 발견하였습니다. 그리고 공룡의 이름은 '탑리 한외룡'이라고 명명했죠. 영어 이름은 울트라 사우르스 입니다. 이 공룡의 생존 시기는 쥬라기 이전인 중생대 백악기 전기 입니다. 하지만 쥬라기 시대의 공룡은 발견되지 않았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0
0
0
우박은 어떻게 만들어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구름은 수증기, 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높은 상공에서 수증기가 물이 되고 이 물방울들이 모여 빗방울 크기가 되면 떨어집니다. 그런데 온도가 낮은 상공에서 이 빗방울이 급격히 얼게 될 때가 있는데, 이를 우박이라고 합니다. 드문 현상이기 때문에 이상 기후일 경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눈은 우박과 달리 수증기가 물이되고 작은 물 알갱이가 얼게 됩니다. 이 작은 눈 알갱이는 주변의 수증기나 물이 달라붙어 그 크기가 커져 눈이 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10
0
0
플라스틱은 언제 누가 발명을 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최초의 플라스틱은 1855년 알렉산더 파크스(Alexander Parkes)에 의해 발명되었습니다. 이 분은 코끼리 상아뼈를 대체할 당구공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다 플라스틱을 발명하게 된 것입니다. 당시 알렉산더 파크스가 개발한 플라스틱 뿐이었으며 이후부터 경쟁이 치열해지며 다양한 합성물질이 개발되며 1940년 이후부터 실생활에 등장하기 시작하였으며, 플라스틱이 현재까지 만들어져 왔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공학
22.10.10
0
0
334
335
336
337
338
339
340
341
3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