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비만 오면 아스팔트가 군데 군데 패인곳이 많이 생겨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스팔트에는 비가 들어올 수 없게 코팅처리가 되어있습니다. 그래서 비가 오면 아스팔트 위로 빗물이 전부 흘러내려가죠. 균열이 생겼다면, 공사가 잘 못된듯 합니다. 아스팔트 코팅시 균열이 이미 있었을 것이며, 이 사이로 물이 들어가 균열이 더 크게 일어난 듯 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0.09
0
0
머리카락의 성분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머리카락은 케라틴 단백질로 구성되어있습니다. 단백질은 뜨거운 열기에 노출되면 변형이 일어나게 되는데 단백질끼리 구조가 돌돌 엮이고 꼬이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머리카락이 말리면서 쪼그라들게되죠. 그리고 탄내가 나는 이유는 케라틴 단백질에 황(S) 성분이 포함되어있는데, 이것이 머리카락의 특유한 냄새의 원인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09
0
0
흰토끼의 눈(Red) 색은 왜 유독 그런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토끼 눈에는 멜라닌 색소가 없기 때문에 망막에 있는 혈관이 그대로 비쳐 빨간색을 띱니다.보통 눈에 멜라닌 색소가 있을 경우에는 암갈색, 흑색을 띱니다. 그런데, 토끼눈이 빨간 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망막에 있는 혈관이 비쳐 빨갛게 보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멜라닌 색소가 있는 토끼도 있으며 눈 색을 가지는 토끼가 존재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09
0
0
구름의 색깔에 따라서 빗물의 양도 달라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맞습니다. 구름 색에 따라 비가 올 수 있는 구름을 어느정도 판단할 수 있습니다. 하얀색 구름의 경우는 비가 내릴 확률이 적으며, 회색 구름의 경우 비가올 확률이 높습니다.하얀 구름은 수증기와 물 분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또한 물 분자의 크기가 다양한 크기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다양한 크기의 입자가 존재하면 특정 파장의 빛만 산란 되지 않고 모든 파장 영역대의 빛이 산란할 수 있습니다. 빨간색 빛, 노란색 빛, 초록색 빛, 파란색 빛 등 모든 빛이 구름내에 존재하는 물 분자로부터 산란이 가능하죠. 모든 색의 빛이 산란되고 빛의 합성으로 인해 하얀색 빛으로 우리눈에 들어오게 되어 구름이 하얗게 보입니다.먹구름(회색 구름)은 비가 내릴 수 있는 구름이고, 일반구름과 달리 수증기, 물의 함량이 높고 물방울의 크기가 큽니다(비내리기 직전, 비가 내리고 있는 상황). 그래서 빛이 먹구름 내에 물방울에 산란하지 못하고 흡수되어 어둡게 보이는 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9
0
0
비가 오면 지렁이가 땅 위로 올라오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렁이는 보통 흙, 토양 밑에서 양분을 먹으며 살아갑니다. 그런데 비가오게되면 흙과 토양이 젖게 되어 지렁이가 숨을 쉬지 못하게 되죠. 그래서 지렁이는 비가 오거나 습함을 감지하면 숨을 쉬기 위해 땅 밖으로 나오는 것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09
0
0
계절에 따라 나타나는 구름의 모양과 양이 어떻게 변화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구름이 생기는 원리는 공기가 상승하는 기류를 만나 상승하면서 부피가 커지고 온도가 떨어집니다. 때문에 공기중 수증기가 물이되면서 구름이 형성됩니다. 그런데, 구름이 형성될 때 지형, 기압, 수증기량, 수증기량의 분포도 등 아주 다양한 변수에 의해 모양이 결정되기 때문에 계절에 따라 각기 다른 모양의 구름이 형성됩니다.봄은 고기압의 영향과 양쯔강 기단의 영향을 받아 권층운, 권운이 잘 형성됩니다.여름에는 북태평양 기단의 영향을 받아 적운, 적란운이 형성되며 비가 내릴 수 있습니다.가을에는 봄과 마찬가지로 권층운과 권운이 형성되며 층적운을 자주볼 수 있습니다.겨울에는 시베리아 기단의 영향을 받아 얼음 알갱이로 이루어진 권운, 상층운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9
0
0
적혈구와 폐활량에 상관관계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관계가 있습니다. 적혈구는 산소를 각 근육이나 세포로 운반하여 에너지로 전환하는데 도움을 주기 때문에 폐활량과 관련이 있습니다. 그래서 적혈구 수가 많으면 폐활량이 좋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간혹 운동선수가 산소가 적은 고산지대로 가서 훈련을 하는데, 이로인해 체내의 적혈구수가 늘어나게됩니다. 즉, 폐활량이 길러진 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09
0
0
털 색깔이 다른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털색, 머리카락 색 등이 다른 이유는 유전적 성질 때문입니다. 유전적 성질에 의해 사람(인종)이나 동물마다 털의 색이 다르게 진화해 왔습니다. 마치 쌍커풀이 있고 없고와 귓볼이 있고 없고와 같은 유전적 특징이라고 보시면 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09
0
0
설거지를 하는 중에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주방 세제의 어떤 성분이 어떤 원리로 기름 때를 없애주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음식물의 대부분은 기름때입니다. 세제나 퐁퐁은 기름때를 지우는데 특화되어있습니다. 퐁퐁의 종류에 따라 성분의 차이가 있겠지만 계면활성제, 베이킹소다등이 포함되어있습니다. 이러한 것들이 기름때를 제거시켜 주는 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공학
22.10.09
0
0
튀김을 오래 두면 색이 변하는데 이유가 무엇인ㄷ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표면에 산화가 일어나 색이 변한겁니다. 주변 공기의 산소가 튀김에 달라붙으며 산화 반응이 일어나 색이 변한 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09
0
0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