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헬륨가스를 마시면 목소리가 변하는 원리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일단 헬륨은 공기보다 밀도가 낮습니다. 가볍죠. 그래서 헬륨을 주입한 풍선은 둥둥 잘 뜨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헬륨 가스를 마시게 되면 폐에 헬륨이 차게되는데, 헬륨은 체내로 흡수되지 않고 입 밖으로 다시 나옵니다. 그리고 우리가 말을 하거나 소리를 내는 것은 성대의 진동에 의해 나는 것입니다. 그런데 평소 공기를 마시고 공기가 입 밖으로 나오면서 성대를 진동 시켜 목소리를 내는데, 헬륨을 마시게 되면 헬륨이 우리의 성대를 떨리게 합니다. 헬륨은 공기보다 가벼워 성대를 지나는 속력도 공기에 비해 훨씬 빠릅니다. 그래서 헬륨을 마셨을 때 성대가 더 빨리 진동하게 되는 것이고 빨라진 진동수는 높은 소리를 나게 하는 것입니다.궁금증이 해결되셨길 바라며, 해결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06
0
0
북극과 남극은 자전축의 두 극인지, 공전축의 두 극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자전축의 끝과 끝이 극점입니다. 자전축의 끝과 끝은 햇빛의 양이 거의 일정하기 때문이죠. 공전축의 끝과 끝은 자전축이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지구가 자전하면서 햇빛의 양이 변합니다. 또한, 자전축을 기준으로 자전하고 있기 때문에 자기장이 자전축을 기준으로 형성되는데, 이 자기장이 극 부분에 강해 에너지를 어느 정도 차단해주는 역할도 하고 있습니다.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6
0
0
방사능에 피폭되면 사람이 어떻게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방사선 피폭된 경우 세포, 세포의 DNA와 효소, 소기관 등의 파괴됩니다. 또한, 고열, 구토, 설사, 어지럼증이 일어나며 피부병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내부 세포가 변형되거나 파괴돼 암을 유발할 수 있으며, 장기의 손상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2.10.05
0
0
원자폭탄과 핵폭탄은 다른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원자폭탄과 핵폭탄은 같은 것입니다! 원자폭탄, 핵폭탄의 과학적 원리는 핵분열 반응에 있습니다.핵분열은 불안정한 원자(우라늄-235과 같은)에 중성자를 충돌시켜 불안정한 원자가 다른 원자로 변하며 결손되는 질량이 발생하는데, 이 결손된 질량이 에너지로 전환됨에 따라 에너지를 얻어지는 것입니다. 불안정한 원자에 중성자를 충돌 시킴으로써 붕괴를 시키는데, 이 반응이 연쇄적으로 일어나 많은 양에 에너지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연쇄 반응이 끝나면 에너지는 더 이상 나오지 않기 때문에 불안정한 원자(우라늄-235과 같은)가 원료로 필요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05
0
0
알루미늄 소재와 스테인리스 소재중 어느소재가 강한가요? 그리고 장단점 뭘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알루미늄은 잘 녹슬지 않으며, 스테인리스보다 열전도성이 높습니다. 알루미늄은 전기전도성도 높은 특징이 있습니다.스테인리스는 알루미늄보다 더 녹슬지 않으며, 알루미늄보다 단단한 특징이 있습니다. 스테인리스는 열전도성이 낮은 특징이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10.05
0
0
전기차 꿈의 배터리, 전고체 배터리가 무엇인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기존의 배터리는 주로 리튬 이온 배터리로 액상(액체) 형태의 배터리입니다. 하지만 전고체 배터리는 고체 상태의 배터리입니다. 리튬의 고체 상태로 생각하시면 됩니다.기존 액체 이온 배터리의 경우 배터리 중심 부분에 양극과 음극을 가르는 분리막이 있었지만, 전고체 배터리의 경우에는 배터리 자체가 고체로 분리막이 필요하지 않죠. 이로 인해 배터리의 용량이 훨씬 증가하게 됩니다.또한, 액상 배터리의 경우 외부 온도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해 팽창이 일어나 폭발할 경우도 있어 위험하지만, 전고체 배터리는 온도변화에 민감하지 않아 팽창의 위험이 없어 폭발 위험이 줄어듭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05
0
0
우주에서 지구로 다이빙 하는것이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에서 지구로 다이빙 할 경우에 지구 중력에 의한 자유낙하로 신체 내부의 장기나, 사람의 피부 등 육체는 모두 동시에 자유 낙하하며 떨어지기 때문에 큰 무리가 없습니다. 또한, 대기의 마찰열로 화상을 입거나 불에 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우주복을 입고 다이빙하였기에 성공한 것입니다.궁금증이 해결되셨길 바라며, 해결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5
0
0
달 탐사의 미래에대해서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폴로 11호 이후로는 인간이 달에 갈 필요성이 줄어 들었으며, 탐사선과 탐사로봇을 통해 충분히 과학적 탐구가 가능합니다. 그리고 달에 가게 되면 자외선을 차단할 대기조차 없으며 우주선, 방서선에 노출에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더 이상 사람이 달에 가지 않죠. 그리고 내년에 NASA에서 달의 극지에 물을 찾는 탐사로봇인 VIPER를 보낸다고 합니다. 이렇게 로봇을 이용하면 열악한 환경에서도 장기간 탐사가 가능하죠.사실 현재로썬 기술적으로나 안전성 측면에서도 실현이 어렵습니다. 우리나라는 이제 막 우주에 대해 첫 발을 내딛는 단계로 조금 더 지켜봐야 알듯 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5
0
0
손전등으로 밤하늘을 비추면 그 빛이 우주로 날아갈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손정등 불이나 다른 빛도 모두 우주를 향해 계속해서 날아갈 수 있습니다. 빛은 직진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죠. 하지만, 강한 중력을 가진 행성, 블랙홀, 별 등을 만나게 될 경우 빛의 경로가 휠 수는 있습니다. 특히 블랙홀의 경우 빛도 빨아들이기 때문에 여기에 빛이 빠져 들어가면 우주로 더 이상 날아가지는 못합니다.또한, 빛의 세기는 거리의 제곱에 비례하여 감소하기 때문에 멀리 갔을 때에는 식별이 어려울 정도로 약해질 수 있습니다.궁금증이 해결되셨길 바라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5
0
0
알루미늄은 몇도씨 이상올라가면 녹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알루미늄은 660도씨 이상이 되면 녹기 시작합니다.알루미늄 호일은 열에 약한 특징이 있어 음식을 감싸 조리하게 되면 알루미늄의 미량이 음식에 녹아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알루미늄이 녹는 양은 인체에 무해할 정도로 양이 적습니다. 또한 알루미늄을 우리 몸에 필요없는 성분이기 때문에 체내 흡수율이 낮으며 배출됩니다. 그리고 혹여나 흡수됐다 하더라도 신장에서 걸러져 체외로 배출됩니다. 그래서 크게 걱정 안하셔도 될듯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05
0
0
361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