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차량 스마트키에 적용된 기술은?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1. 스마트키의 이런 개폐는 어떤 기술과 센서 동작으로 작동을 하는 것인가요? 스마트키는 433.92MHz 주파수인 RF (Radio Frequency) 주파수와 125kHz 주파수인 LF (Low Frequency) 주파수를 사용합니다.자동차는 LF를 지속적으로 보냅니다. 그리고 스마트키가 자동차에 접근해야 LF를 인식하여 스마트키가 활성화됩니다. 스마트키가 활성화되면서 LF신호의 ID를 확인한 뒤 RF 신호를 자동차로 보냅니다. 이를 이용해 차량이 열리는 것이죠. 2. 그리고 송수신 거리는 얼마나 되는 것인가요?스마트키의 종류(차종)에 따라 다르겠지만 10m~20m 이내에서 작동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0.03
0
0
라돈 50피코퓨리면 어느정도인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의 경우 라돈 피코큐리(pCi)의 기준은 4피코큐리이며 148베크렐(Bq/m^2)입니다. 50피코큐리이면 굉장히 높은 수준입니다. 잘못 측정됐을 경우도 있으니 다시 한번 더 측정해보시고 같은 결과라면 조치를 취하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03
0
0
물을 끓이면 액체에서 기체로 기화하는 원리와 구름이 만들어지는 원리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바다나 강 등의 물은 열을 받아 증발이 일어나기도 하지만 자연적으로도 증발이 일어나기도 합니다. 자연 증발은 물의 표면에서 물 분자간의 인력을 끊고 공기중으로 날아가는 현상입니다.구름이 생기는 원리는 바다나 호수, 강, 저수지 등의 물이 자연 증발 함으로써 공기 중에 수증기량을 만들고 이 공기가 상승하는 기류를 만나 상승하면서 부피가 커지고 온도가 떨어집니다. 때문에 공기중 수증기가 물이되면서 구름이 형성됩니다. 수증기는 바다의 물이나 강물 호수의 물이 증발하며 공기중에 존재할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03
0
0
새들은 중력을 이기고 공중을 나는 원리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새는 날개짓을 통해 추진력을 얻어 날 수 있습니다.새는 날개짓을 통해 공기를 아랫방향과 뒷방향으로 밀어내면서 추진력을 얻어 중력을 이겨내 뜰 수 있는 것입니다. 이는 작용-반작용의 원리입니다. 공기를 밀어냄의 작용으로 새가 앞과 위로 날 수 있는 반작용인 것이죠. 또한, 새의 날개를 조금씩 움직여 위, 아래, 좌, 우 등 방향을 조절 할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3
0
0
헬륨가스를 마시면 왜 목소리가 얇아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일단 헬륨은 공기보다 밀도가 낮습니다. 가볍죠. 그래서 헬륨을 주입한 풍선은 둥둥 잘 뜨는것을 확인하실수 있습니다. 헬륨가스를 먹게되면 폐에 헬륨이 차게되는데, 헬륨은 체내로 흡수되지않고 입 밖으로 다시 나옵니다. 그리고 우리가 말을 하거나 소리를 내는것은 성대의 진동에 의해나는것입니다. 그런데 평소 공기를 마시고 공기가 입 밖으로 나오면서 성대를 진동시켜 목소리를 내는데, 헬륨을 마시게 되면 헬륨이 우리의 성대를 떨리게합니다. 헬륨은 공기보다 가벼워 성대를 지나는 속력도 공기에 비해 훨씬 빠릅니다. 그래서 헬륨을 마셨을때 성대가 더 빨리 진동하게 되는것이고 빨라진 진동수는 높은 소리를 나게 하는 것입니다.헬륨은 반응성이 낮은 기체로 우리 몸에 들어오게 되면 별 반응 없이 그대로 공기중으로 나갑니다. 그래서 안좋은 영향을 주진 않습니다. 하지만, 쉼없이 지속적으로 마시면 산소를 흡수하지 못해 산소 부족이 될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03
0
0
카멜레온은 어떻게 색을 자유자재로 바꾸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카멜레온은 크로마토포어라는 피부세포를 가지고 있어 색소를 움직여 환경에 맞게 색을 바꿀 수 있습니다. 환경의 색을 반사하여 색을 표출하기 때문에 환경에 맞는 거의 모든 색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또한, 온도에 따라 바꾸기도하며, 자신의 기분에 따라 바꾸기도 합니다. 온화할때는 초록, 유혹할 때에는 빨강, 화가 날 경우에는 검은색으로 바꾸기도 한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03
0
0
물속에 오래 있다가 나오면 손가락 끝부분이 쪼글쪼글 해지는건 왜 그런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손이 쭈글해지는 이유는 삼투압 때문이라는 말도 있지만, 자율신경계의 반응에 의해 물이 닿으면서 혈관이 수축해 쭈글해진다는 연구결과도있습니다. 이때 연구자는 손이 마비된 사람의 손이 물에 한참 있어도 쭈글해지지 않는것을 보고 연구를 하여 얻어낸 결과입니다. 삼투압에 의해서라면 마비되든 되지않았든 삼투압에 의해 쭈글해져야 하지만 결과는 그렇지 않았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3
0
0
여름에는 비온 뒤 더워지고 가을에는 비온뒤 추워지는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기단에 의한 영향입니다. 여름에는 온난한 기단이 우리나라를 지배하고 있으며, 가을에는 한랭한 기단이 넘어오는 시기기 때문이죠.여름에는 남동쪽에서 올라온 기단으로인해 습하고 온난해집니다. 비가오면 잠시 시원했다가 다시 기단의 영향으로 온난함이 지속되어 폭염이 찾아오죠. 하지만 가을에는 북서쪽의 건조하고 한랭한 기단이 넘어오며 겨울이 되어가는 시기기 때문에 비가 오고 난 뒤 기단의 영향으로 추워지는 것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03
5.0
1명 평가
0
0
비오는 날 버스타면 멀미하는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음, 의료부분에 질문을 하시면 더 좋은 답변을 들으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비오는날에 습하여 공기중에 수증기량이 많아지고, 또 사람이 많게 되면서 산소가 금방 떨어져 현기증을 느끼는 듯 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0.03
0
0
비오는날 조금만 움직이면 땀이 많이 나는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습하거나 비오는날에는 땀의 증발량이 줄어들기 때문입니다.우리의 몸은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덥거나 열이 발생하면 땀을 통해 온도를 낮춥니다. 땀이 피부 표면에서 증발하며 몸에 있는 열을 흡수하여 증발하게 되는데, 습하거나 비오는 날에는 공기중에 수증기량이 높아 증발이 잘 일어나지 않습니다. 그래서 땀이 나도 몸의 열이 떨어지지 않아 땀만 많이 배출 되는 것이죠.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물리
22.10.03
0
0
370
371
372
373
374
375
376
377
3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