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블루라이트를 줄이는 기능이 있는데 색표현은 어떻게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블루라이트 차단은 사실 블루, 파란색 광원을 0으로 만드는 것이 아닌 파란색 광원의 세기를 줄여 따뜻한 톤으로 만드는 것입니다. 그래서 파란색도 표현이 가능합니다. 파란색 빛은 눈을 잘 투과해 눈을 피로하게하는데, 이점을 고려하여 블루라이트를 줄임으로써 눈의 피로를 덜어주는 것이죠.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01
0
0
(생명학)B형이 O형의 피를 계속수혈받는다면 O형이될수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니요 바뀌지 않습니다. 사람의 골수에서 자신의 혈액형의 피를 생성해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O형의 피를 수혈 받아도 시간이 지나면 원래 본인의 혈액형이 됩니다. 그래서 골수이식을 받거나 한 경우에는 혈액형이 바뀔 수 있습니다. 골수이식은 조직적합성항원, 유전자형이 같으면 가능하므로 혈액형이 달라도 가능할 수 있으므로 골수이식을 받게되면 혈액혈이 바뀔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01
0
0
거미줄을 제거하는 쉬운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빨래줄과 같은 장소는 거미가 집을 짓기에 굉장히 좋은 장소입니다. 왜냐하면 거미는 날아다니는 곤충을 잡기 위해 곤충이 잘 날아 다닐만한 위치에 집을 짓기 때문이죠. 그래서 거미줄을 빗자루나, 막대기로 제거하시거나 아니면 애초에 빨래줄을 사용시에만 걸어두시는게 좋을듯 합니다. 거미가 해충을 잡아주는 이충이긴하나 거미줄로인해 피곤할 수 있습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빨래가 끝나면 빨래줄도 거둬들여 빨래시에만 빨래줄도 같이 설치하는게 좋을 듯 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0.01
0
0
왜 우리나라는 노벨물리학상을 못 받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노벨상, 필즈상 둘다 받기 어려운 상입니다. 최고의 실력과 명예를 인정받고 얻을 수 있는 상이죠. 노벨상, 필즈상에 근접한 국내 학자분들도 많이 있습니다. 이러한 학자분들은 꾸준히 연구하고 있기 때문에 응원하며 기다리다보면 노벨상, 필즈상이 더 나올 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1
0
0
분무기는 어떻게 해서 물을 뿌리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분무기는 베르누이 원리를 사용하였습니다.베르누이 원리는 유체(액체, 기체)가 관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에 관의 넓이가 넓어지면 유속이 느려지고, 관의 넓이가 좁아지면 유속이 빨라지는 원리입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유체가 이동하면서 넓은 지역을 한 칸 이동 할 때, 좁은 지역은 3칸정도 이동하므로 빠르단걸 알 수 있습니다.분무기는 펌프로 끌어올린 액체를 좁은 출구로 분사시킵니다. 이 때 좁은 출구로 분사시키기 위해서는 강한 압력이 필요하죠. 그리고 좁은 출구로 분사되어 나온 액체는 공기와 충돌하여 사방으로 갈라집니다. 그래서 마치 안개처럼 나오는 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공학
22.10.01
0
0
앞으로 터질 활화산이 대한민국에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백두산을 제외하면 한반도에서 울릉도, 제주도의 한라산이 활화산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만약 백두산이 터진다면 한반도에 화산재가 날릴 것이며, 지진이 발생합니다. 또한, 화산에서 분출된 연기와 재가 하늘을 뒤덮어 햇빛을 차단하여 온도를 낮출 수 있습니다. 또한 화산 재와 연기로 뒤덮인 하늘로 인해 대기오렴, 생태계 파괴, 항공 운항 중단, 산성화 등의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며, 경제적인 피해로도 이어질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1
0
0
과학이 발달하면 사람이 더 오래 살게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수명은 유전자에 의존합니다. 유전 정보를 담은 DNA가 손상되는 정도에 따라 해당 종의 수명이 결정되기 때문이죠. 그래서 종마다 수명이 있으며 인간은 대략 70~90세 정도까지 살 수 있습니다. 병의 치료 기술등의 과학 기술이 발달한다해도 100세 정도까지 살 수 있습니다. 만약 DNA의 손상을 막으며 수명을 늘리는 기술이 발달한다면 수명도 늘어날 수 있을것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01
0
0
뜨거운걸 만지고 귀를 만지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뜨거운걸 만지고 귀를 만지는 이유는 귀가 체온과 비슷하면서도 체온 보다 온도가 조금 낮기 때문입니다.뜨거운곳에 손을 데였을 때 찬물에 넣게되면 급격한 온도차로 살껍질이 벗겨지거나 수포가 생길 수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 체온과 비슷하면서 조금 시원한 귓볼에 가져다 대는것이죠. 꼭 귓볼이 아니더라도 조금 시원한 신체부위에 가져다대도 괜찮습니다.손데이지 않게 조심하세요!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30
0
0
몸상태를 체크할때 mri를 사용하는데 어떤원리로 작동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mri의 원리우리 몸의 대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물질인 물은 수소와 산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이 수소와 산소는 스핀을 갖고 있으며 스핀 세차 운동을 하고 있습니다. mri는 자기장을 내뿜으며 이 수소의 원자핵의 스핀 세차운동을 한 방향으로 정렬시킵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mri에서 전자기파를 쏘게되는데, 이 때 스핀 세차운동과 공명하는 주파수의 빛 만을 다시 방출해냅니다. 그리고 방출된 빛을 mri 장비를 통해 모아 분석하여 내부를 파악하는것입니다.이때 사용하는 전자기파와 자기장은 인체에 무해할 정도의 세기입니다. 또한 자기장에 의해 정렬된 스핀의 세차운동은 자기장이 사라지면 다시 무작위로 변하며, 지구 자기장 방향으로 어느정도 정렬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09.30
0
0
슈뢰딩거를 어디서 많이 들어봤는데 개념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슈뢰딩거 고양이를 통해 양자역학에서 기술하는 물리적인 상태와 관측 행위를 설명하려고 하는 사고실험입니다. 상자속에 고양이가 있는데, 버튼을 누를 경우 50퍼의 확률로 독가스가 살포되고 50퍼의 확률로 고양이가 좋아하는 간식을 내놓게 됩니다. 만약 우리가 버튼을 눌렀을 경우 고양이는 살아 있을까요 죽어있을까요?. 기존의 물리학에서 말하는 상태는 관측을 통해 알 수 있으며 명확한 상태입니다. 죽었으면 죽었다. 살았으면 살았다. 라고 명확하게 말을할 수 있죠. 하지만 양자역학에서의 관측은 다릅니다. 양자역학은 원자, 그보다 작은 전자와 원자핵 등의 운동과 상태를 기술하기 위해 만든 이론입니다. 그리고 전자와 같은 입자를 관측하기위해서는 강한 빛을 이용하여 관측해야하는데, 이러한 행위는 전자의 상태를 바꿉니다. 정확한 관측이 어렵죠. 그래서 양자역학에서는 확률적인 해석을 시도합니다. 이 확률적인 해석은 기존의 물리학과는 다르고 많은 학자들이 받아들이기 어려워했죠. 그래서 슈뢰딩거의 고양이를 예시로 설명을 시도하려고했습니다. 고양이의 상태는 살아 있으면서도 죽었다 라고 표현을 하죠. 50퍼의 확률로 살아있으며, 50퍼의 확률로 죽어있죠. 이렇게 모호해 보이는 물리 이론이지만 양자역학은 기존에 물리학이 설명하지 못한 현상들을 많이 설명해냈으며 현재까지 부정되지않고있습니다. 정리하면 슈뢰딩거의 고양이는 양자역학을 이해시키기 위한 사고실험입니다.최대한 잘 전달해드리고자 설명이 길었네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9.30
0
0
379
380
381
382
383
384
385
386
3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