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효율이 떨어진 배터리를 재상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먼저, 다 쓴 배터리나 건전지는 다시 사용하기가 어렵고, 배터리, 건전지의 수명을 높이는 검증된 방법으로는 냉장고에 두는 것이 좋습니다. 대신 0도 정도의 온도가 적절하며 영하 10도 이하로 내려갈 경우에는 건전지 내부 수축이 일어나 균열이 생길 수 있습니다. 그리고 건전지나 배터리는 화학전지로 물과 닿으면 반응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냉장 보관시 습기가 닿지 않도록 랩이나 밀폐용기에 넣어 보관하는게 좋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29
0
0
재생플라스틱 이런 용어를 본것 같은데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재생(재활용) 플라스틱은 사용 후 오염물질이 묻어있어도 재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재활용율이 높고 폐기율이 낮아 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습니다. 그래서 환경에 도움이 되죠. 하지만, 이 재활용 플라스틱도 플라스틱이기 때문에 자연에 버려지게되거나 폐기시에는 탄소나, 환경에 좋지 않은 물질이 나올 수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재활용 플라스틱을 재활용하여 다시 사용하는 것이 장점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방법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29
0
0
허리케인과 태풍의 차이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부르는 명칭 차이입니다. 태풍과 허리케인은 같은 것입니다. 이와 더불어 싸이클론도 같은 의미입니다. 북서태평양 근해에서 발생하는 태풍을 태풍이라 부르고, 대서양, 북태평양 동부 부근에서 발생한 태풍을 허리케인, 인도양에서 발생하면 사이클론이라고 부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9
0
0
이산화탄소에 대하여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드라이아이스는 이산화탄소의 고체 상태를 의미합니다. 마치 물이 수증기가되고 얼음이 되는거처럼요. 이산화탄소는 사람에게 해를 주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이산화탄소는 우리몸에서 필요로하지 않기 때문에 호흡기로 들어갔다 하더라도 다시 나오죠. 그러니 안심하셔도 됩니다. 나무, 연탄, 석유 등이 탈 때에는 이산화탄소도 나오지만, 일산화탄소도 나옵니다. 일산화탄소는 우리몸에 좋지 않죠. 일산화탄소가 몸에 들어오면 일산화탄소헤모글로빈이 형성되어 산소 흡수가 억제됩니다. 그래서 뇌기능 저하, 협심증, 시력 손상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29
0
0
기생충 약을 먹으면 기생충 만 죽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기생충 약을 먹으면 기생충이 죽습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약이 그렇듯 간에는 좋지 않죠. 또한 복통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약에 대해서는 약료 분야에 질문을 해주시면 더욱 더 유익한 정보를 얻을실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29
0
0
타이탄은 지구로부터의 거리와 지구의 몇배나 크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타이탄은 토성의 가장 큰 위성이자, 태양계에서 가장 큰 위성인 가니메데(목성의 위성)다음으로 2번째로 큰 위성입니다. 지구와 토성의 거리는 12억 8000만 km로 8.5AU 정도입니다. 그리고 토성 주위를 도는 타이탄은 토성과 약 120만km 떨어져 있죠. 타이탄은 지구질량의 약 0.0225배 ~2.25%이며, 반지름은 약 2575km로 지구의 반경이 6371km의 대략 1/3정도 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9
0
0
물고기는 물 속에서 깊은 잠을 잘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물고기는 잠을 자는 동물입니다. 물고기가 잠에 들면 머리를 수면을 향하게 하고 꼬리는 축쳐진채 거의 움직이지 않죠. 또한 깊은 잠을 잔다고도 하며, 이에 관해서는 국제학술지인 nature 학술지에 실린 적이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29
0
0
전류와 전압은 뭐가 다른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전류란 단위로 [A] 암페어 ampere를 사용하며, 단위 시간 당 이동한 전하량입니다. 1초 동안 30C(쿨롱)의 전하가 이동하였으며, 30A입니다. 일상 생활에서 전류가 높을 때 저항에 더 많은 열이 발생합니다. 전구에 더 강한 빛이 생깁니다.전압이란 단위로 [V] 볼트 volt를 사용하며 전기장이 단위 전하(1C)에게 한 일입니다. 즉, 에너지입니다. 쉽게 생각해서 전류를 흘려보내 줄 수 있는 에너지입니다. 일상생활에서 전압이 강할 때는 번개, 천둥을 예로들 수 있습니다. 구름에는 전자(-)가 분포하는데, 전자가 많아지면 땅과 구름사이에 전압이 높아져 공기를 타고 전자가 이동(전류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즉, 번개가 치는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29
0
0
초신성 폭발로 지구가 피해를 입을 확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초신성 폭발로 인해 감마선에 직격당해 피해를 볼 확률이 매우 적습니다. 왜냐하면 우주는 팽창하고 있어서 감마선에 도플러효과가 적용돼 에너지가 약해질 수 있으며, 먼거리에서 방출된 빛이기 때문에 세기도 굉장히 약해져있습니다. 그리고 미미한 여파가 어느정도 남아 있다 하더라도 지구의 자기장이 막아줄 수 있습니다. 또한, 이미 초신성 폭발을 관측했기 때문에 초신성 폭발로 인한 빛이 지구를 지나간 적이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멀쩡하고 건강하게 생활하고 있죠. 그러니 너무 걱정 안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9
0
0
금속을 찾을 때 쓰는 금속탐지기는 어떤 식으로 작용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금속 탐지기는 전자기 유도 현상으로 금속을 감지합니다.전자기 유도 현상이란 코일(도선)이 있고, 코일 주변에 자석(또는 전자석)이 움직이거나 자기력이 변화하고 있을 때 코일(도선)에 유도 전류가 흐르는 현상을 말합니다.금속 탐지기는 하나의 코일입니다. 이 코일에 변화하는 전류를 흘려보내 변화하는 자기장을 만들어 내죠.그리고 이 변화하는 자기장이 외부 금속에 닿게되면, 금속의 입장에서는 외부의 자기장에 변화로 전자기 유도 현상이 발생합니다. 즉, 금속에 유도 전류가 흐르죠. 그렇게 되면 금속 또한 하나의 자석이 됩니다. 이 금속이 자석이 되어 자기장을 만들고, 만들어진 자기장이 금속 탐지기에 영향을 미쳐 예상과 다른 전류가 흐르게 되죠. 이 때 경고음이 작동함으로써 금속을 탐지하는것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09.29
0
0
388
389
390
391
392
393
394
395
3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