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물은왜 꼭 100도에서 팔팔끓은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물질에 따라 끓는점과 어는점이 존재합니다. 물은 0도에서 얼고 100도에서 끓는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왜 80도, 90도에서 끓지 않고 100도에서 끓냐면 이는, 물 분자간의 인력 때문입니다. 물 분자간에 인력은 다른 액체보다 강한 편이라 액체에서 기체가 되기 위해서는 높은 온도인 100도가 필요합니다. 그래야 물 분자가 서로 간에 인력으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거든요.이를 좀 더 자세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온도라는 개념을 이해하시면 좋습니다. 온도라는 것의 정확한 개념은 입자, 분자들의 평균 운동에너지입니다. 기체, 액체, 고체는 분자들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이 분자들이 얼마나 활발하게 움직이는지가 온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언뜻 봐도 기체가 가장 활발하고 그다음 액체, 고체 순입니다. 우리가 물을 끓게 되면 온도가 높아져 활발해지면서 수증기(기체)가 되죠. 온도가 가장 높은 상태입니다. 그리고 물을 얼리면 얼음(고체)이 되죠. 온도가 가장 낮은 상태(가장 정적인 상태)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27
0
0
디젤 차량에 가솔린을 주유한 것을 깜빡하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잔유를 최대한 줄이거나(없애면) 큰 문제가 없을 것입니다. 경유로 가득 채우셨다면, 기름 비율이 거의 경유이기 때문에 괜찮다고 판단됩니다.경유차에 휘발유를 넣고 운행하게 되면 휘발유가 경유보다 연소가 잘 되기 때문에, 엔진의 피스톤이 압축되기 전에 폭발이 일어나 피스톤이 마모되고, 벨브에 손상, 엔진의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지만 잘 대처하신거 같습니다. 조치로 혼유를 다 빼셔서 괜찮다고 봅니다. 다행입니다. 만약 엔진에서 평소와 다른 덜컹 거리는 소리가 나신다면 조금은 의심해 볼만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27
0
0
외온동물은 체온 조절에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데, 그렇다면 어디에 에너지를 소모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외온동물이나 내온동물 처럼 체온을 유지하는데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는 동물이라도, 외, 내온 동물도 움직이거나, 숨을 쉬는 행위 등에 에너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 부분에 에너지를 쓴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27
0
0
일어나는 시간에 따라 피곤함이 다릅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사람은 얕은 잠(렘 수면)과 깊은 잠을 자는 주기가 있는데, 깊은 잠을 잘 때 깨게 되면 몸이 피로하고 졸립니다. 아마 질문자님께서는 6시에는 얕은 잠을 자고 계신거고, 7시에는 깊은 잠을 자고 계신거 같네요. 얕은 잠에서 일어날 때는 개운함을 느낄 수 있고 비교적 맑은 정신으로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얕은 잠에서 깨는게 가장 좋습니다. 질문자님께서는 6시가 얕은 잠을 자는시간이니 그 시간에 일어나는 습관을 들이면 좋을 것입니다. 또한, 조금 더 늦은 시간에 얕은 잠을 자는 시간대를 알고자 하신다면, 실험적이지만 20분 단위로 알람을 맞추면서 가장 개운하게 일어나는 시간을 기억해서 깨어나는 방법도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27
0
0
인조 대리석 재료는 무었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인조대리석은 천연대리석 가루와 레진, 아크릴, 시멘트, 탄산칼슘, 실리카, 화강암, 메틸메타아크릴(MMA), 폴리에스테르 배합하여 만들 수 있습니다. 단순하게, 플라스틱 성분과 대리석, 돌 성분을 섞어만든것입니다.대리석은 탄산염 성분의 퇴적암, 특히 석회석이나 백운석이 변성된 것입니다. 인조대리석, 천연대리석은 색에 오염되면 잘 닦이지 않기 때문에 음식물이나 기타 색이 있는 오염물질을 흘렸을 경우 즉시 닦으시는게 좋습니다. 인조대리석의 경우 강도가 대리석보다 약하며, 생각만큼 강도가 강하지 않아 충격에 금이 생기거나 깨질 수 있습니다. 그러니 무거운 물건을 강하게 내려놓거나, 강한 충격을 주는것을 삼가시는게 좋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9.27
0
0
풍수지리가 과학적으로 설명될 수 있는가?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풍수지리는 과학적으로 근거가 있다고 말씀드릴수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풍수지리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가 진행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풍수지리의 과학적인 부분을 찾자면 남향으로 집을 짓는다는 정도는 태양이 떠오르고 지는것을 관측한 결과 남중한다는 사실을 기반으로 결정한것이기 때문에 과학적인 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7
0
0
옛날 티비에 방구에 불을 붙이면 불이 붙었는데 실제로 가능한지?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방귀에는 메탄가스가 함유되어있어 불이 붙을 수 있습니다. 그러니 장난으로라도 방귀를 낄 때 불을 붙이면 옷에 옮겨 붙을 수 있어 위험할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26
0
0
엄마(외가)쪽과 더 친밀한 것은 생물학적으로 증명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엄마나 아빠와 친한 것은 사람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또한, 성장하면서 경험에 따라 친함이 다를 수 있죠. 생물학적으로 증명된 것은 아닙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26
0
0
양자역학의 원리에 대해서 자세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양자역학은 원자단위에서 발생하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입니다.원자는 원자핵과 전자로 이루어져있습니다. 그런데 전자가 원자핵 주변에 어떤 형태로 어떻게 운동하고 있는지 설명하고 싶을 때 양자역학을 사용하여 풀 수 있습니다.이해를 돕기위해 우리가 알고 있는 물리 현상에 대해 언급해보겠습니다. 흔히 잘 알고 있는 예시로 사과가 땅으로 떨어진다는 중력을 받아 사과가 땅으로 떨어진다를 설명할 수 있죠.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닌 중력에 의해 떨어진다라고 설명합니다. 이것이 고전역학입니다. 무거운 짐을 들기 위해선 물체의 중력 만큼의 힘이 필요하죠.하지만 원자 세계에서는 원자핵 주변으로 전자가 돌고있다를 기술하기위해서는 중력, 만유인력으로 설명이 되지 않습니다. 양자역학으로 설명이 가능하죠.양자역학은 원자 세계를 기술하는데 있어 기본적인 학문이기 때문에 여러 곳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물리학, 화학, 생물학 등에 있어 미시세계를 연구하는데 사용되며, 반도체, 초전도체, 디스플레이, 베터리 등에 기본이 됩니다. 또한, 양자 컴퓨팅, mri 등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우리가 겪거나 경험하기 힘들고 관찰하기 힘든 원자 단위의 미시 세계에서 나타나는 현상이기 때문에 볼 순 없지만 지금도 신체 내(우리 몸에 세포 내에 원자, 분자)에서나 주변에서 일어나고 있습니다. 양자역학은 미시세계에서 일어나는 현상에 대해 포괄적이라 위와 같이 설명하였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26
0
0
오렌지로 전구를 켤수 있다는데 사실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오렌지에는 전류를 흘러보낼 수 있는 이온이 존재하기 때문에 +, - 단자를 만들어 꼽아 전구에 연결하면 불이들어옵니다. 오렌지 말고도 바나나도 같은 효과를 내는데 한 번 해보시면 좋을 듯 합니다. 또한 오렌지를 직렬로 연결하면 전류가 세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너무 많이 연결하게 되면 오렌지의 저항에 의해 오히려 전류가 작아질 수도 있습니다. 예전에 실험하였을 때 바나나의 경우에는 그랬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26
0
0
397
398
399
400
401
402
403
404
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