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같은 위치인데 공간마다 하늘의 색깔이 다른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밤에는 산란 되는 빛이 없기 때문에 어둡게 보이죠. 노을은 해질 무렵, 태양이 지평선에 놓일 때 태양 빛이 지구의 두꺼운 대기층을 뚫고 우리눈에 들어온 빛을 보게됩니다. 이때 짧은 파장 영역대의 빛은 우리눈에 도달하기전에 산란되어 흩어져 버리고, 파장이 긴 빛들 빨강, 주황, 노랑 등의 빛은 산란되지않고 두꺼운 대기층을 뚫고 우리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노을이 노랗고 붉게 보이는것이죠.색이 다른 이유는 대기층의 두께나 대기 중 먼지의 함유량에 따라 다르게 보일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특정 빛의 파장이 투과되는 정도에 따라 색이 달라보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6
0
0
헤아릴 수 없는 직관적 판단들이 매순간 요구되는 운행을 고려할 때 완전 자율운행 자동차가 실현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현재 개발중이며 자율주행차의 단계별로 존재합니다.자율주행은 총 6단계로 구성이됩니다. 현재 3단계 정도 입니다.0단계 : 자율주행기능이 없음.1단계 : 자동 브레이크나 자동 속도 조절인 크루즈 컨트롤, 차선이탈 경보 시스템 등이 있음.2단계 : 페달 조작없이 주행 가능, 방향지시등을 조작함에 따라 차선을 자동으로 변경하는 기능이 있음.3단계 : 차량에 내장된 컴퓨터가 교통신호, 도로 흐름을 인식하여 주행을함. 주로 고속도로에서 기능 사용 가능.4단계 : 고속도로, 일반도로에서 자율주행이 가능. 운전자가 휴식이 가능.5단계 : 무인 자동차 가능.자율주행차는 빅데이터, AI를 기반으로 가능합니다.빅데이터는 문자 그대로 거대한 양의 데이터를 처리, 저장, 분석, 시각화하는것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빅데이터는 AI와 접목될 수 있습니다. AI는 인공지능으로 머신러닝, 딥러닝 등이 있는데 학습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을 시킨 뒤 예측이나 판단을 하게끔 만듭니다. 자동차의 자율주행은 실시간으로 외부의 데이터(빅데이터)를 받아 학습을 수행하며 예측이나 판단을 할 수 있는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09.26
0
0
우주의 모든 천체는 왜 회전하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초기 우주에 가스와 먼지, 입자들이 운동을 하고 있었을 것이며, 중력에 의해 집단을 형성해가며 은하계, 태양계, 태양과 같은 별이나 행성이 만들어졌습니다. 이 과정에서 질량을 가진 두 물체에 대해 운동을 하고 있을 경우 원, 타원 궤도 운동이 가능합니다. 물론 쌍곡선 포물선과 같은 운동도 가능합니다. 여기서는 은하계의 형성과정에 초점을 두며 은하 중심의 거대한 중력을 가진 블랙홀, 거대한 별을 중심으로 은하계의 행성, 별, 위성, 물질들이 궤도 운동을 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 때 궤도 운동을 시작할 당시 가스, 먼지의 각운동량(회전)이 정해졌을 것입니다. 각운동량은 천체 운동에서 보존되는 물리량 중 하나입니다. 이 각운동량(회전)의 방향이 반시계 방향이었다면 대부분의 은하계 내 물질들이 반시계방향으로 공전과 자전을 하는것이죠. 만약 초기의 각운동량이 모든 물질이 제각각이었다면 시계방향,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행성이 여럿 있었을 것이며, 초기 각운동량의 방향이 시계방향이었다면 대부분의 행성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었을 것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6
0
0
냉동고기가 생고기의 풍미가 더 낮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모든 생물의 세포에는 수분이 함유되어있습니다. 고기 또한 마찬가지로 세포내에 수분이 존재하죠. 그런데, 이 수분(물)은 얼게 되면 부피가 커지는 성질이 있습니다. 즉, 고기를 얼리면서 세포내에 수분이 얼면서 얼음의 부피가 커짐으로 인해 세포가 찢어지거나 파괴되었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음식을 얼렸다 다시 녹이면 맛이나 식감이 변하게 되는 것이죠.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26
0
0
고래도 공수병에 걸릴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고래의 공수병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론적으로는 고래도 공수병에 걸릴 수 있다고합니다. 아직 발견 사실은 없으나, 지속적으로 연구될 것입니다. 공수병에 걸린 고래와 그렇지 않은 고래에 대해서는 식별이 힘들며, 검사를 통해 판단이 가능하므로 이러한 요인도 작용해 공수병에 걸린 고래를 발견하지 못했을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26
0
0
멸종된 동물 복제가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동물의 DNA를 완전히 보존하여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복제가 가능하며, 멸종 위기 종에 속한 동물의 DNA를 채취해 보존하려는 노력도 하고 있습니다. 또한, 복제 기술은 완벽하지 않아 현재도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연구될 주제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26
0
0
우주에서 운석이 뭉쳐지는 현상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모든 질량을 가진 물체간에는 중력(만유인력)이 작용합니다.지구와 같은 행성들이 태양계 외부에서 날아와 태양 주위를 공전하는것이 아니라면 태양이 만들어지고 태양계 주변에 분포한 물질과 가스등이 중력에 의해 모여 각각의 행성을 형성하였을 것입니다. 이는 번쩍하는 동시가 아닌 오랜 시간에 거쳐 동시에 만들어졌다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초기 우주에 가스와 먼지, 입자들이 운동을 하고 있었을 것이며, 중력에 의해 집단을 형성해가며 태양과 같은 별이나 행성이 만들어졌습니다. 이 과정에서 질량을 가진 두 물체에 대해 운동을 하고 있을 경우 원, 타원 궤도 운동이 가능합니다. 물론 쌍곡선 포물선과 같은 운동도 가능합니다. 여기서는 태양계의 형성과정에 초점을 두며 타원 궤도 운동을 하고 있었다고 생각할 수 있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6
0
0
라디오주파수는 어떻게 만들어지는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라디오 주파수는 교류 회로를 구성하여 안테나 송신부를 통해 특정 파장의 전파를 생성해 만들 수 있습니다.교류 회로는 교류 전압, 전류의 특성상 진동하는 회로입니다. 전류의 흐름을 바꿈으로써 자기장의 변화를 만들고, 자기장의 변화는 전기장의 변화를 만듭니다. 또한 전기장의 변화는 또다시 자기장의 변화로 이어지며 연쇄 작용에 의해 전기장과 자기장의 진동인 전자기파(빛)가 만들어집니다. 이 때 교류회로의 주파수를 설정하여 특정 주파수를 만들 수 있으며, 라디오에서 이와같은 원리를 이용해 전파를 보냅니다.또한, 전파를 받는 수신부에서는 안테나를 통해 전파를 전달 받아 전파를 다시 소리로 변환하여 우리에게 들려주는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26
0
0
고층건물들이 토네이도를 방해하기도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고층 건물의 빌딩풍 현상에 의해 간섭을 받아 토네이도의 바람의 세기가 바뀔 수 있습니다. 그리고 세질지 약해질지는 상황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특정할 수 없으며, 간섭한다고 이야기 해드릴 수 있습니다. 그리고 고층 건물과 토네이도가 충돌하면 토네이도의 세기가 약해져 소멸이 가능합니다. 빌딩풍은 높은 건물(아파트, 빌딩 등)에 의해 바람이 거세지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자연에서 거대한 암벽 사이나 동굴에서 새어나오는 바람과 같은 현상입니다. 빌딩과 빌딩, 아파트와 아파트 사이는 폭이 좁습니다. 때문에 바람이 이 좁은 틈을 지날 때 협소해지는 공간 때문에 유체의 유속이 빨라져 강한 바람이 불게 됩니다. 이를 빌딩풍이라고 하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6
0
0
지구에서 달은 항상 같은면만 본다는데, 왜그럴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 지구에서 달을 볼 때 달의 한 면만 볼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달의 자전 주기와 공전주기가 동일하여 한 면 만을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달의 모양이 변하지 않고 항상 같은 모습을 띠고 있는 이유입니다.달의 거리가 달라지면 주기가 변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달의 다른 부분 또한 볼 수 있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6
0
0
397
398
399
400
401
402
403
404
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