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주머니에 핸드폰을 넣어두고 다니면 남자 건강에 안 좋다는데 전자파가 어떤 영향을 끼치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스마트폰은 마그넷이나 전자파가 나오긴 하지만 인체에 유해할 정도의 전파가 방출되지는 않습니다. 스마트폰을 제작할 때에도 안전규정을 지키며 생산하기 때문에 큰 걱정은 안하셔도 괜찮을거 같습니다. 또한, 전선이나 tv, 컴퓨터 등에서도 마찬가지로 인체에 유해할 정도의 전파는 방출되지 않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26
0
0
기저귀에는 주성분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기저귀에는 미세한 작은 알갱이인 고분자 흡수체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이 알갱이에 수분, 물, 소변 등이 닿으면 알갱이는 수분을 흡수하여 팽창을 하게 됩니다. 이러한 원리로 기저귀가 많은 양의 수분을 머금을 수 있는것이죠. 기저귀 외에 생리대에 사용이 가능하며 성인 기저귀에도 사용이 가능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공학
22.09.26
0
0
우리 은하 전체가 회전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초기 우주에 가스와 먼지, 입자들이 운동을 하고 있었을 것이며, 중력에 의해 집단을 형성해가며 은하계, 태양계, 태양과 같은 별이나 행성이 만들어졌습니다. 이 과정에서 질량을 가진 두 물체에 대해 운동을 하고 있을 경우 원, 타원 궤도 운동이 가능합니다. 물론 쌍곡선 포물선과 같은 운동도 가능합니다. 여기서는 은하계의 형성과정에 초점을 두며 은하 중심의 거대한 중력을 가진 블랙홀, 거대한 별을 중심으로 은하계의 행성, 별, 위성, 물질들이 궤도 운동을 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 때 궤도 운동을 시작할 당시 가스, 먼지의 각운동량(회전)이 정해졌을 것입니다. 각운동량은 천체 운동에서 보존되는 물리량 중 하나입니다. 이 각운동량(회전)의 방향이 반시계 방향이었다면 대부분의 은하계 내 물질들이 반시계방향으로 공전과 자전을 하는것이죠. 만약 초기의 각운동량이 모든 물질이 제각각이었다면 시계방향,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행성이 여럿 있었을 것이며, 초기 각운동량의 방향이 시계방향이었다면 대부분의 행성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었을 것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6
0
0
일기예보는 왜이렇게 잘안맞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기상 데이터를 기반으로하여 예측합니다. 각 지역에 풍향, 풍속, 강수량, 온도 등을 측정하는 관측장비가 있으며 여기서 관측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치모델링을 통해 비가 올지, 바람은 얼마나 어디로 불지, 온도는 어떻게 될지 예측을 합니다. 예측결과를 얻기위해서는 위치정보와 시간정보, 온도, 습도, 풍향 등 다양한 변수를 담고 있는복잡한 미분방정식을 풀어내어 해를 구함으로써 특정 위치에 특정 시간에 어떤 상태일것이라는것을 예측하는것이죠. 또한 비구름의 이동 경로와 바람이 부는 방향으로도 대략적인 예측도 가능합니다. 이러한 예측이 완벽한 예측은 아닙니다. 모델링을 하였다 하더라도 현실에서 발생하는 모든 현상을 완전히 고려한것은 아니니까요. 또한 관측값을 통해 예측을 실시하기도하는데, 관측값이 온전한 값일 수도 없습니다. 관측에는 항상 오차나 오류가 존재하기 때문이죠. 이러한 이유로 완벽한 예측은 사실상 불가능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6
0
0
선풍기도 엔진인데 하루종일 돌려도 크게 열이 나지 않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선풍기도 모터가 있고, 전선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발열이 있습니다. 하지만 요새 나온 선풍기는 효율이 좋기 때문에 발열이 적기 때문에 하루종일 틀어놔도 뜨거울 정도로 되지 않습니다. 또한, 발열이 나더라도 외부 공기가 이 열을 가져가 선풍기 모터의 열을 떨어뜨리는 요인도 작용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26
0
0
인구가 늘어날수록 지구의 무게는 늘어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 내부 계의 질량은 거의 보존 됩니다. 단, 외부(우주)에서 파편, 쓰레기, 소행성 등 다양한 물질에 대한 교환이 없다면 말이죠. 만약 사람이 아기를 갖게된다면 아기가 정자, 난자의 결합으로 세포 분열을 하며 커가는데, 이렇게 세포 분열을 하여 클 수 있는 이유는 양분을 섭취했기 때문입니다. 또한 아기가 태어나서 젖, 우유, 밥 등 무언가를 먹기 때문에 클 수 있는것이구요. 그래서 인구가 늘어나도 지구의 무게는 그대로 입니다. 지구 상에 존재하는 영양분이 사람의 무게로 변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6
0
0
식물이나 나무등도 고통이나 아픔을 느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식물이 고통을 느낀다는 과학적인 근거는 아직 없습니다. 하지만, 이에 대해 현재도 꾸준히 연구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구의 결과 일부를 가져오면 특정 식물들은 외부로부터 받은 자극을 기억하거나 반응한다고 합니다. 물질을 내뿜거나 모양을 바꾸는 등의 움직임을 보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26
0
0
우주의 팽창은 무한한것인가?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Q. 그러면 이러한 우주의 팽창은 영원한건가요?A. 우주 팽창의 증거는 별간의 거리, 은하간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알 수 있습니다.허블의 법칙이라고 지구로부터 거리가 멀어지면 멀어질수록 더욱 빨리 팽창한다는 법칙입니다. 이를 이해하기위해 많이들 사용하는 예시로 풍선을 사용합니다.풍선에 아래와 점을 찍고 풍선을 불게된다면,.ㅤ.ㅤㅤ.아래와 같이 팽창해 있습니다..ㅤㅤㅤ.ㅤㅤㅤㅤㅤㅤ.이를 보면 알 수 있듯이 거리가 먼 점이 훨씬 더 멀리 팽창 되어있습니다.우주에 존재하는 별의 거리를 측정 할 수 있고, 시간에 따라 거리가 얼마나 달라지는지 관측할 수 있습니다. 지구 중심에서 별까지의 거리를 매 시간단위로 측정하게 된다면 풍선에서 점을찍고 불었을때 나타나는 팽창 양상과 동일함을 과학측정으로 밝혀냈습니다. 그래서 우주가 팽창한다는것을 알 수 있는것이죠.또 다른 증거로는 우리 우주에는 수없이 많은 별들이 존재하고 이 별들은 하늘 어디를 찍어도 보여야 할 것입니다. 즉, 밤 하늘이 별로 가득차있어 밝아야 하죠. 하지만 밤하늘에는 별이 빛나는 부분이 있으면, 어두운 부분도 있습니다. 이것은 우주가 팽창하여 도플러 효과로 인해 별의 빛이 가시광선이 아닌 적외선 영역으로 바뀌었기에 우리가 볼 수 없습니다.도플러 효과는 멀어지는 광원(별)에 대해 파장이 길어지고, 가까워지는 광원(별)에 대해 파장이 짧아집니다.Q. 그러면 이러한 우주의 팽창은 영원한건가요?A. 우주가 계속해서 팽창 할지, 아니면 팽창을 멈추고 평탄한 우주가 될지, 팽창을 멈추고 수축을 시작할지는 아직 연구중에 있으며 어떤 우주가 될지는 미지합니다. 현재 우주는 이러한 변화가 일어나기 전인 변곡점에 걸쳐 있는것으로 연구가 되고 있습니다. 현재 물질과 빛의 양의 밀도를 계산하여 우주가 팽창할것이라 추정도하지만 아직 밝혀지지 않은 암흑에너지와 암흑물질의 양의 정도에 따라 우주가 어떻게 변할지 바뀔 수 있습니다. 그래서 아직은 미지의 영역이고 앞으로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를 연구하여 밝혀냄으로써 우주의 미래도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봅니다.Q. 또한 우주의 나이는 어느정도나 된건가요?A. 우리 우주의 나이는 대략 137억년 정도 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6
0
0
사막의 신기루는 실제로 있는 것이 헛으로 보이는 건가요? 어떻게 생기는거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빛의 굴절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신기루는 뜨겁게 달궈진 지면과 상공의 공기차로 인해 빛의 굴절에 의해 발생합니다. 우리 뇌는 빛이 들어오면 일직선 상에서 들어온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신기루로 보는 물체는 실존합니다. 단지 빛이 굴절되어 보이는 현상이기 때문에 그 위치에 없을 수는 있지만, 굴절 원리를 통해 경로를 정확히 판단해 찾아간다면 발견할 수 있습니다. 마치 유리잔에 물을 가득 채워 놓은 뒤 젓가락이나 빨대를 넣었을 때 휘어보이는 현상과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6
0
0
우주에는 수많은 행성이 있잖아요. 그중 생명체가 살 가능성이 있는 행성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직 미지인 영역이라 정확하게 과학적인 증거를 대며 답변이 어렵습니다. 우리는 아직 태양계도 제대로 파악한적이 없고 외부 은하나 외부 행성에 대해 망원경으로 관측한 사실만 있을뿐 행성 내부에 어떤 원소나 존재가 있는지는 무지합니다. 그래서 외계생명체로 발견된 흔적은 아직 없죠. 혹시나 이 드넓은 우주에 생명체가 존재하고 우리가 닿을 수 있는 거리에 있다면 가까운 미래에 발견할 확률도 존재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6
0
0
406
407
408
409
410
411
412
413
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