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심심한박새218
심심한박새21822.09.24

사막의 신기루는 실제로 있는 것이 헛으로 보이는 건가요? 어떻게 생기는거죠?

사막에서는 신기루라고 실제로는 없지만

눈에는 보이는 현상이 나타난다고 하는데 이 신기루는

어떻게 생기는 것인가요? 사람들의 머릿속에 대한 이미지가 착시현상처럼 보이는 건지

실제로 있는 것인데 그 거리감이 이상해져서 가까이 보이는건지

어떻게 생기는 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신기루는 공기의 밀도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뜨거운 공기는 차가운 공기에 비해 밀도가 낮습니다.

    밀도가 차이가 생기면 빛이 굴절하면서 지면에 있는 공기로 빛이 들어올수록 위쪽에서 더 휘게 됩니다.

    그리고 반대편 물체가 지면에 있는 것처럼 보이게 되는 현상이 신기루 입니다.

    따라서 사막에서 오아시스를 봤다면, 이것은 실제로 오아시스가 근처에 있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의 굴절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신기루는 뜨겁게 달궈진 지면과 상공의 공기차로 인해 빛의 굴절에 의해 발생합니다. 우리 뇌는 빛이 들어오면 일직선 상에서 들어온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신기루로 보는 물체는 실존합니다. 단지 빛이 굴절되어 보이는 현상이기 때문에 그 위치에 없을 수는 있지만, 굴절 원리를 통해 경로를 정확히 판단해 찾아간다면 발견할 수 있습니다. 마치 유리잔에 물을 가득 채워 놓은 뒤 젓가락이나 빨대를 넣었을 때 휘어보이는 현상과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