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이를 닦은 뒤 바로 사과나 오렌지를 먹으면 신 맛이 더 강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치약의 SLS라는 성분 때문입니다. SLS는 합성 계면활성제 성분인데, 이 성분이 단맛을 느끼게 하는 감각을 잠시 마비시켜 쓴맛이나 신맛을 강하게 만들기 때문에 이를 닦고 과일을 먹으면 쓴맛과 신맛이 나는 것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9.25
0
0
항공유의 성분은 일반 휘발유와 많이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항공기에는 보통 등유를 사용합니다. 항공유는 휘발성이 높은 기름을 사용하게 되면 사용하기전에 증발해 버릴 수 있으므로 휘발성이 낮은 등유를 가공하여 사용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25
0
0
흰 구름 먹구름 색깔차이가 나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구름은 수증기와 물 분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또한 작은 물분자부터 큰 물분자까지 다양한 크기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다양한 크기의 입자가 존재하면 특정 파장의 빛만 산란 되지 않고 모든 파장 영역대의 빛이 산란할 수 있습니다. 빨간색 빛, 노란색 빛, 초록색 빛, 파란색 빛 등 모든 빛이 구름내에 존재하는 물 분자로부터 산란이 가능하죠. 모든 색의 빛이 산란되고 빛의 합성으로 인해 하얀색 빛으로 우리눈에 들어오게 되어 구름이 하얗게 보입니다.먹구름은 비가 내릴 수 있는 구름이고, 일반구름과 달리 수증기, 물의 함량이 높고 물방울의 크기가 큽니다(비내리기 직전, 비가 내리고 있는 상황). 그래서 빛이 먹구름 내에 물방울에 산란하지 못하고 흡수되어 어둡게 보이는것이죠.(여기서 산란이란 쉽게 생각해 빛의 경로가 바뀐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5
0
0
바퀴의 효율은 매우 높다고 알고있는데, 인간 다리는 어떠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사람의 다리도 운동과 단련을 통해 좋은 효율을 낼 수 있습니다.보통 사람의 평균 걷는 속도가 3km/h이라고 치면 평균적으로 1시간에 150kcal가 소비된다고 합니다.즉, 3km를 가는데 150kcal가 소비되죠.휘발유의 경우는 1L당 7000kcal의 열량을 냅니다. 휘발유 차량의 연비가 10km/1L이라고 치면, 1L에 10Km를 이동합니다. 휘발유 차는 10km를 이동하는데, 7000Kcal의 열량이 소모되죠. 그리고 1km를 가는데, 700Kcal의 열량이 소모됩니다.즉, 3km를 가는데 2100kcal가 소모됩니다.자동차는 사람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에너지를 소모하여 효율을 내는 것은 사람이 더 좋네요.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9.25
0
0
주량은 무엇에 의해 결정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사람마다 알코올을 분해하는 능력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알코올이 체내로 들어오면 알코올을 해독하는 알코올 해독 효소(ADH-enzyme)가 작용하는데, 이것이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입니다.그리고, 무리하거나 과한 음주는 좋지 않으니 본인의 주량을 파악하여 조절해가며 드시길 바랍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25
0
0
어떤 것이든 썪으면 지독한 냄새가 나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음식물이 미생물과 반응하면서 썩게 되는데, 이 때 가스나 암모니아 등 악취를 풍기는 가스가 생성되기 때문에 악취, 지독한 냄새가 나는것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25
0
0
백혈구가 핵을 가진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백혈구에는 DNA를 저장하고 있는 핵이 있습니다. 핵이 있기 때문에 백혈구가 항체나 단백질 생성에 관여할 수 있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25
0
0
자동자 배터리단자에 생성되는 고체가루의 원인과 방지방법은 무엇입니까?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전지 속 전해액이라는 물질이 흘러나온것입니다. 흔히 누액이라고도 많이합니다. 전해액이 공기 중에 나와 마르면 하얗게 고체나 가루처럼 됩니다. 이러한 물질이 나오는 이유는 전지가 노후되거나 손상이 갔을 경우 나올 수 있습니다. 한번 점검이 필요할듯합니다.그리고 전해액은 강알칼리 성분인데 손으로 만지거나 인체에 닿으면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칩니다. 그러니 만져야 할 경우에는 직접만지거나 하시지말고 장갑을 끼고 처리하시기 바랍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25
0
0
타서 까맣게 된 피부는 어떻게 되돌아오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우리 몸에 있는 세포는 수명이 있습니다. 그래서 세포가 죽어 각질이 되며 우리 곁을 떠나죠. 그리고 새로운 세포가 자라납니다. 우리의 피부에는 여러 층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자외선은 피부 깊은 층인 기저층까지 침투하지 않습니다. 즉, 기저층의 세포는 자외선의 자극을 받지 않죠. 그래서 시간이 지나면 탄 피부세포가 죽어 각질이 되고, 깊이 있던 기저층의 세포가 서서히 표면으로 올라오면서 원래의 피부색으로 돌아오는 것이죠. 하지만 나이가 들수록 재생력이 떨어져 시간이 조금 걸릴 수 있습니다. 그리고, 밖에 나가는 날에는 자외선을 꼭 발라 새로 나오고 있는 세포를 지켜주시길 바랍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25
0
0
모아이 석상 또는 피라미드 등 이런 건축물들의 원리를 왜 아직 밝히지 못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이러한 건축물들이 어떤 과정을 통해 정확하게 알아내지 못하는 이유는, 건축물이 지어지는 시대의 건축 기술이나 방법에 대해 정확하게 알아내기가 어렵고 증거를 찾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모아이 석상, 피라미드, 스톤헨지 등 건대한 건축물 주변에는 건축물에 사용될만한 재료가 없을 뿐더러 건축에 사용된 도구 또한 흔적을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사람이 단순한 힘 만으로 만들기에는 무리가 있어보이기 때문에 건축물의 비밀을 더욱 궁금해하고 있죠. 그렇지만 현재까지 비밀을 풀기위해 연구와 조사를 해왔으며 어느정도 비밀이 풀려가고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5
0
0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
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