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혈액을 받을 때 같은 혈액형끼리 받아야 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혈액형 별 응집원(적혈구 표면에 있는 항원), 응집소(혈청에 존재하는 항체)가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응집원과 응집소가 같으면 응집(덩어리 짐, 굳음)이 일어나기 때문입니다.A형에는 응집원 α, 응집소 βB형에는 응집원 β, 응집소 αO형에는 응집원 없음, 응집소 α와 βAB형에는 응집원 (α, β), 응집소 없음.즉, A형 사람에게 B형의 피를 수혈하면 A형의 응집소 β가 수혈로 들어온 B형 피의 응집원 β를 공격(응집 시킴, 굳게 만듦)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O형은 응집원이 없기 때문에 모든 혈액형에게 수혈이 가능합니다. 또한 AB형은 모든 혈액형으로부터 수혈을 받을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25
0
0
가상현실과 메타버스의 차이점은 무엇이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가상현실은 1인칭 시점으로 가상현실 상황을 체험할 수 있는것입니다. 메타버스는 가상현실 내에서 다른 사람들과 소통이 가능한 것을 의미합니다.가상현실이 더욱 범위가 넓습니다. 메타버스가 가상현실에 속하는 개념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25
0
0
인간이 들을 수 있는 초음파는 얼마까지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젊을 때에는 20000Hz의 주파수까지 들을 수 있으며, 노화가 되며 10000Hz의 주파수 이상은 듣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10대 18000Hz 정도20대 17000Hz 정도30대 14000Hz 정도40대 12000Hz 정도50대 이상 10000Hz 정도를 감지할 수 있습니다. 물론 사람에 따라 들을 수 있는 정도가 다르며 언급드린 수치는 평균적인 값입니다.초음파의 경우 사람이 들을수 있는 주파수의 최대치 이상을 초음파로 정의하였기 때문에 들을 수 없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23
0
0
과학적으로 뿌리는 바퀴약 냄새를 사람이 많이 맡으면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곤충, 해충을 죽이는 살충제가 곤충의 몸에 닿게되면 곤충의 신경을 마비시켜 죽입니다. 그리고 살충제는 인체에도 해로울 수 있으니 사용시 꼭 환기를 해주시는게 좋습니다. 강력한 에프킬러의 경우는 미량을 분사해야하며 환기가 필수이고 사람의 호흡기로 들어가면 유해할 수 있습니다.냄새때문에 머리가 어지러울정도로 뿌리셨으면 이미 바퀴들은 다 죽었을 수 있습니다. 그러니 환기를 꼭 하시길 바랍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공학
22.09.23
0
0
술은 왜 숙성이 오래된것이 비싼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안쪽을 그을린 오크통이나, 참나무 오크통 등 여러 처리를 한 오크통에 술을 숙성하게 되면, 훈연의 향, 나무의 향, 과일의 향 등 향과 맛, 풍미가 좋아지며 오랜기간 숙성의 의미를 두어 비싸집니다. 또한, 보관의 비용과 기술도 있기 때문에 이러한 요인도 비싸지는 이유가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오래 숙성한다고 꼭 맛있어지는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맛이 없어질 수도 있으며 술의 종류와 첨가된 원료에 따라 적절한 숙성기간이 있을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23
0
0
미국보면 허리케인이 많이발생하는데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토네이도를 말씀하시는거 같군요!토네이도는 기체나 유체의 흐름 중 난류에 의해 생길 수 있습니다. 보통 우리 주변에서도 난류가 흔히 발생하지만 상승기류와 강한 바람을 만나지 않는 이상 토네이도가 쉽게 생기지 않습니다. 미국에서는 강한 바람이 부는 상황에서 난류가 발생해 상승기류를 거대한 토네이도가 자주 생기죠. 또한 넓은 평야가 많아 거센 바람과 강한 상승기류로 토네이도의 크기가 거대해질 수 있으며 이동도 가능하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3
0
0
가을 하늘이 높다고 하는데 이게 무슨뜻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과학적으로도 근거 있는 이야기입니다.먼저 하늘이 파란 이유를 이해하시면 가을 하늘이 왜 높게 보이는지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실 듯 합니다.하늘이 파란 이유는 대기(공기)에 의해 태양 빛이 산란되기 때문입니다. 이때 짧은 파장 영역대의 빛인 파란, 남색 ,보라 빛이 산란이 잘되는데, 이러한 빛이 우리 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입니다.산란이란 쉽게 생각해 빛의 경로가 바뀐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하늘에서 파란색의 파장 영역대의 빛이 공기와 산란하여 여기저기 튀다 우리 눈으로 들어온 것이죠. 반면에 다른 빛은 모두 공기를 투과하여 지면에 닿기 때문에 하늘의 색에는 기여하지 않습니다.가을에는 다른 계절에 비해 대기가 깨끗한 상태입니다. 왜냐하면 차고 건조한 기단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대기 중에 수증기량도 적고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맑은 기후이죠. 또한 미세먼지도 적은 시기입니다. 그래서 높은 곳에서부터 대기와 충돌해 빛의 산란이 일어나는데 이 때문에 가을 하늘이 높이 보이는 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3
0
0
(화학분야)콜라가 정말 치아를 어떻게 녹일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탄산음료에 있는 인산 또는 유기산(구연산이나 사과산 등)의 산미료가 첨가돼 산성을 띠고 있기 때문에, 치아를 탄산음료에 담가 놓으면 녹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탄산음료를 마시고 음식물을 먹거나, 침샘에서 나온 침에 의해 치아의 대부분이 닦여 산성의 성분이 대부분 사라진다고 보셔도 됩니다. 그래서 탄산음료를 마신다고 치아가 녹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잠시 머금고 있는다고 녹지 않죠. 하지만 탄산음료는 설탕도 많이 함유돼있고, 앞서 말씀드린것처럼 산성을 띠고 있어 탄산음료를 마시고 물로 입을 헹구거나 되도록 빨리 양치를 하는것이 치아 건강에 좋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23
0
0
아이스크림을 급하게 먹으면 머리가 아픈 이유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찬 물을 빠르게 마시거나, 슬러쉬, 얼음, 아이스크림을 먹게되면 가끔 머리가 띵한 경험을 하셨을 겁니다.찬 물질이 입에 들어오고 그 냉기로인해 모세혈관에서 열을 빼앗기지 않으려고 수축하는 반응이 일어납니다. 그리고 다시 이완하는데, 이 때 얼굴에 분포해 있는 뇌의 신경이 자극을 받기 때문에 머리가 띵한것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23
0
0
밀폐된 탄산음료에서 나온 탄산은 그대로 두면 다시 용해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탄산음료를 흔들 경우 거품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거품은 제조 당시 페트병의 압력에 의해 어느 정도 용해가 가능합니다. 또한 페트평을 조금씩 눌러 압력을 가해 더 용해 시킬 수 있으며, 냉장고에 보관함으로써 용해 시킬 수 있습니다. 물론, 흔들었을 때 페트병의 공기층으로 나온 이산화탄소의 양은 그렇게 많지 않습니다.기체는 온도가 낮을수록 액체에 더 잘 용해되며, 압력이 높을수록 액체에 잘 용해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23
0
0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
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