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전자기기가 탄소 혹은 이산화탄소를 생성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음, 아무래도 전기 에너지의 생산 과정에서 탄소가 발생되다 보니, 탄소저감 운동을 하는 것입니다. 전기 에너지의 생산을 많이 하는 근본적인 이유가 전기의 사용량이 증가한 것이고, 우리의 가전제품, 스마트폰, pc 등 여러가지를 사용하며 전기를 사용하게됩니다. 그래서 근본적인 문제인 전기의 사용량을 줄여 전기 에너지의 생산을 감소시켜 탄소 배출을 감소하려는 목적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23
0
0
급 궁금증이생겼는데 자석은 원석입니까?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자석의 자기력을 만드는 것은 크게 2개가 있습니다. 첫번째로 전자, 원자핵의 스핀에 의해 자기력이 발생될 수 있으며, 두번째로 전류의 흐름에 의해 자기력이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 보통 자석의 경우는 스핀에 의해 발생된 자기력입니다. 물질중에는 자화(스핀이 정렬하여 N극 S극을 띠는 것)가 영구적으로 돼있는 물질이 존재합니다. 이를 자석이라고 하죠. 그리고 자석이 될 수 있는 물질에 따라 자기력의 강도가 다르죠. 지구상의 물질 중에는 거의 영구적으로 자화가 된 물질이 있습니다. 이러한 물질로 자석을 만들 수 있죠. 그 중 네이디뮴 자석의 경우 가장 강한 자기력을 갖는 자석입니다. 이 자석의 N극 S극이 붙어있으면 사람의 손으로 떼어내기 힘들죠. 그리고 다칠 위험도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23
0
0
허리케인과 토네이도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토네이도와 허리케인은 차이가 있습니다.태풍과 허리케인은 같은 것입니다. 이와 더불어 싸이클론도 같은 의미입니다. 북서태평양 근해에서 발생하는 태풍을 태풍이라 부르고, 대서양, 북태평양 동부 부근에서 발생한 태풍을 허리케인, 인도양에서 발생하면 사이클론이라고 부릅니다.토네이도는 기체나 유체의 흐름 중 난류에 의해 생길 수 있습니다. 보통 우리 주변에서도 난류가 흔히 발생하지만 상승기류와 강한 바람을 만나지 않는 이상 토네이도가 쉽게 생기지 않습니다. 미국에서는 강한 바람이 부는 상황에서 난류가 발생해 상승기류를 거대한 토네이도가 자주 생기죠. 우리나라는 상승기류는 있지만 바람이 강하지 않아 토네이도가 거의 발생 안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미국이나 남미 지역권의 경우 강한바람과 상승기류가 발생할 조건이 좋기 때문입니다. 또한 평지가 많아 토네이도가 쉽게 힘을 잃지 않아 더욱 거세질 수 있는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3
0
0
에어컨 밖에 있는 실외기는 어떤역할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에어컨에서 찬바람을 생성하는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에어컨 내부에서 순환하는 냉매가 존재합니다. 이 냉매가 외부에서 들어온 공기의 열을 기체가 되는데 사용합니다. 그러면 냉매는 액체에서 기체로 상태가 변하고, 외부 공기는 열을 빼앗겨 차가워 지는 것이죠. 그래서 우리에게 시원한 바람을 제공합니다. 그리고 이 기체가 된 냉매는 물에 의해 열을 빼앗겨 식혀져 다시 액체가 되고, 또 다시 이 액체가 된 냉매는 외부의 공기의 열을 빼앗아 기체가 되는것을 반복하는것이죠. 또한 냉매에서 빼낸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데, 이 열이 실외기를 통해 방출됩니다.에어컨에서 물이 나오는것은 에어컨 작동시에는 제습 기능에 의해 수증기가 쌓여 물로 배출이 되는것이라 순수한 물이 방출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네 인버터는 직류의 전압을 교류로 바꾸는 것으로, 전압과 주파수를 조정하여 교류를 만들어내 모터의 속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23
0
0
성장기에 뼈가 부러지면 붙을 때까지 키가 덜 자라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뼈가 부러지면서 성장판이 다치는 경우에는 성장이 더딜 수 있으며, 불균형이 올 수도 있고 심할 경우 성장 장애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뼈가 부러지게 되어 병원에 가시면 의사 선생님께 성장판에 문제가 있는지 꼭 여쭤보시고 조치를 취해야합니다. 그리고 최대한 다치지 않게 조심하시길 바랍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23
0
0
지진이 일어나면 대처방법은??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현재까지 지진의 사전징후가 나타나는 경우에 지진을 대비하는 방법 밖에 없습니다. 책상 밑으로 들어가는 이유는 지진으로 인해 천장에 금이가 떨어지거나 높이에 있는 물건이 떨어지는 등 낙하할만한 물체가 있기 때문에, 이로부터 보호받기위해 들어가라고 하는것입니다. 큰 건물에서 지진의 대피령이나 지진이 멈춘 경우에 안전한 벽에 붙어 이동하여 대피해야합니다. 지진은 순식간에 강하게 몰아치는 경우도 있어 아주 위험할 수 있습니다. 지진 발생시 행동요령을 미리 숙지하여 지진시 안전히 대피하시기 바랍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9.23
0
0
우주에서 일어나는 블랙홀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블랙홀이 어떻게 생기는 지는 아직 정확하게 관측된 사실이 없습니다. 그래서 가설을 세우고 계산을 통해 이론적으로 생기는 과정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블랙홀은 태양 질량의 수백배가 되는 별의 죽음으로 생성될 수 있으며, 애초에 우주에 있는 성간물질이나 가스가 응축하여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별의 죽음으로 생기는 원리는, 거대한 별은 중력이 강합니다. 그래서 별이 살아 있을 때에는 핵융합 반응을 통해 열이 발생돼 별의 자체적인 중력과 평형을 이루며 별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별이 죽게되면서 더 이상 핵융합 반응을 못하고 결국 자체 중력을 이기지 못하고 별이 붕괴하여 블랙홀이 되는것이죠.애초에 우주에 있는 성간물질이나 가스가 응축하면서 만들어진 블랙홀은 물질이 뭉쳐 자체적으로 강한 중력을 이길만한 열, 에너지를 만들지 못하고 붕괴되어 블랙홀이 되는것입니다.이러한 원리로 만들어진 블랙홀에 빠진다면 살아나올 수 없으며 갈기갈기 찢겨 죽을 것입니다. 블랙홀에 빠지는 것은 마치 싱크대에 있는 배수관으로 빨려 들어가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단순히 몸이 온전하게 블랙홀로 떨어지는것이 아닌 좌우로도 짓눌리는 힘이 존재하여 몸에 압력이 느껴지며, 블랙홀과 가까운 신체 부위가 블랙홀과 멀리 있는 신체 부위보다 더 빨리 빨려 들어가기 때문에 몸이 위아래로 잡아 당겨지는 힘도 존재합니다. 그래서 마치 싱크대로 빨려 들어가는 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위아래로 몸은 찢기고, 사방에서 압력이 가해져 몸을 짓누르는 느낌이 들것입니다.블랙홀은 상대성 이론과 우주론에 의해 예견된 것이고 현재는 관측을 성공한 실존하는 것입니다. 화이트 홀을 설명하기 앞서 웜홀이라는 개념을 알아야합니다. 웜홀은 우주의 두 지점을 다른 차원으로 연결한 것인데, 수학을 사용한 이론적인 것입니다. 그리고 이 웜홀을 통해 블랙홀에서 빨아들인 물질이 방출되어야 하는데, 그것이 이론적으로 만들어낸 화이트홀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3
0
0
뇌에는 왜 주름이 있는지, 뇌에 주름이 생기는건지?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뇌의 정보는 대뇌의 표면에 저장되어 있습니다. 대뇌 피질은 대뇌 전체 무게의 50퍼 이상을 차지합니다. 또한, 뇌의 표면에 대뇌 피질의 66%정도가 있다고 합니다. 이렇게 뇌의 표면에 대뇌 피질이 자리 잡아야 하는데, 한정된 공간에 자리잡다보니 주름과 골(파인 부분)을 만들어 공간을 확보한 것입니다. 그래서 뇌가 주름진 것이죠. 게다가, 뇌 발달 과정에서 뇌세포를 서로 연결해주는 축색돌기가 구조적으로 긴장을 일으키면서 주름이 형성된다고 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23
0
0
물고기들의 아가미는 어떻게 물속에서 숨을 쉬게 해쥬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물고기는 아가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아가미에는 모세혈관으로 가득차 있으며, 입으로 마신 물에 녹아 있는 용존산소를 흡수하고, 이산화탄소를 방출하는 가스교환을 통해 호흡을 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23
0
0
지구가 반대로 돌면 어떠한 일이 일어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의 자전방향이 갑자기 바뀔일은 없지만, 만약 지구의 자전방향이 바뀐다면 해와 달이 서쪽에 뜰것입니다. 또한 자전 방향이 바뀔 때 관성에 의해 쏠림 힘을 받을 수 있습니다. 마치 그릇에 코코볼을 담아 회전시키다가 멈추게 되면 코코볼은 여전히 돌아가는거처럼요. 그리고 지구의 자기장의 변화가 있을 수 있습니다. 자기장은 지구의 내핵과 외핵의 자전에 의해 형성되는데, 자전 방향이 반대가 되면서 자기장의 방향이 바뀔 수 있죠. 그리고 바뀌는 순간 자기장이 사라지는 순간도 있습니다. 이 때에는 외부 우주선, 태양풍을 막아주지 못해 방사선의 노출이 있을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3
0
0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
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