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알코올은 어떻게 우리를 취하게 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알코올이 체내에 흡수되면 신경계에 있는 세포막에 도달하게 됩니다. 세포막에 도달한 알코올이 세포막 유동성을 증가시키며 세포의 기능을 파괴하게되죠. 또한, 알코올이 분해되며 아세트알데히드가 되는데, 이는 상당한 독성을 지닌 물질로 몸 안에 쌓이면 정신이 몽롱해지거나 어지럼증이 생겨나게 합니다. 그래서 취하는것이죠. 지나친 음주는 해로울 수 있으니 언제나 적당량을 드시는것을 추천 드립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22
0
0
블루투스의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업데이트를 하는 이유는 아무래도 성능 향상 측면에 있죠. 전자제품간에 연결시 연결 속도를 빠르게 한다거나, 작동에 따른 반응을 빠르게 한다거나 등의 성능을 업데이트 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업데이트를 하는것입니다.Wifi는 전파를 통해 인터넷을 사용하게 할 수 있게 하는것이며, 블루투스는 근거리에서 제품간 상호작용이 가능한 기술이기 때문에 독립적인 기술입니다. 그래서 스마트폰에 공존하고 있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22
0
0
주파수별로 소리나는 기계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음파발생장치를 이용하여 가능합니다. 컵을깨는 원리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이는 공명 주파수라는 것 때문입니다. 모든 물체에는 공명 주파수가 존재합니다. 공명 주파수는 물체의 재질, 모양, 크기 등과 관련이 있으며 물체를 가장 강하게 진동시킬 수 있는 주파수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소리의 높낮이를 변경해가며 유리의 떨림을 관찰하면서 공명 주파수를 찾습니다. 떨림이 가장 강할 때 공명주파수가 된것인데, 이 때 찾아낸 공명 주파수로 소리를 내어주면 유리의 진동의 진폭이 커지게 됩니다. 그러면 유리는 더 이상 진폭으로 인한 뒤틀림(유리 물질 내 인력보다 강한 진동, 진폭에 의해)을 견디지 못하고 깨지는 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22
0
0
우주 블랙홀과 화이트홀은 어떤차이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블랙홀은 상대성 이론과 우주론에 의해 예견된것이고 현재는 관측을 성공한 실존하는 것입니다. 화이트 홀을 설명하기 앞서 웜홀이라는 개념을 알아야합니다. 웜홀은 우주의 두 지점을 다른 차원으로 연결한 것인데, 수학을 사용한 이론적인 것입니다. 웜홀이란 개념을 이용하면 먼 거리도 짧게 이동이 가능하며, 짧은 거리를 멀게도 이동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이 웜홀을 통해 블랙홀에서 빨아들인 물질이 방출되어야 하는데, 그것이 이론적으로 만들어낸 화이트홀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2
0
0
산성비라 맞지말라잖아요.비는 왜 산성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산성비는 대기의 오염물질인 이산화황(SO2), 질소산화물(NOx) 등이 산화되어 묽은 황산화, 묽은 질산의 형태가 됩니다. 이것이 빗물에 녹아 산성비가 되는것이죠. 지역에 따라 대기중에 오염물질이 많으면 산성비가 내릴 수 있으며, 깨끗한 지역에서는 산성비가 아닐 수 있습니다.산성비가 내리면 토양의 양분에 악영향을 주며 식물 잎을 갈색으로 변하게 만듭니다. 또한 나무를 말라죽게하는 원인이 되기도 하죠. 또한 산성비와 공기중 물질과 섞여 해로운 기체를 생성하며 산성 안개등을 만들어 잎의 기공에 악영향을 끼칩니다. 이러한 것들은 사람에게도 해가 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22
0
0
바다에 번개가 치면 그주변의 생물들은 죽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바다에도 번개가 칠 수 있습니다. 만약 바다에 번개(전자의 흐름)가 치게 되면 번개는 바다의 표면으로 퍼지게 됩니다. 왜냐하면 바닷물로 들어온 전자(번개에 의해)는 물 속을 뚫고 내려가는 것보다 바다 표면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입니다. 왜냐하면 번개가 치면서 전기장이 발생되는데, 이 전기장이 물 분자를 분극(+,-극을 나눔)시키기 때문입니다. 분극된 바다물은 바닷물 표면에 전하 분포를 띠게 되고 이 전하분포에 이끌려 번개(전자(-))가 퍼지게 되는것이죠. 그리고 분극된 바다 내부는 중성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그래서 번개 친 경우 바닷속은 안전하죠.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2
0
0
우주에서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행성을 찾을때 왜 지구형 행성으로 찾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질문자님 생각처럼 완전히 다른 조건으로 진화하여 생명활동을 하는 생명체도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는 현재까지 발견한 적이 없으며 상상하는것 만으로도 다양한 경우를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러면 달, 화성, 목성, 토성에서도 생명체를 발견할 확률이 생기게 되며 생명체를 찾기 위해 모든 행성을 뒤져 봐야 합니다. 즉, 상상을 증명하기 위해 증거를 찾는 행위가 되는 것이죠.그래서 우리가 봐왔던 생명체가 살 수 있는 환경과 필요한 성분을 초점으로 생명체의 존재 가능 행성을 기준하는 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2
0
0
꽃을 가공해서 오래가게하는건 어떤원리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생화를 가공하는 방법으로 보존용액을 사용합니다. 생화의 줄기를 자르고 처리한 뒤 보존용액을 발라 생화의 색감을 밝게하고 오래 보관이 가능하도록 만드는 것이죠. 다른 방법으로는 생화를 건조시키는 방법도 있으나 보존용액을 사용하는 경우보다는 수명이 짧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공학
22.09.22
0
0
간지러운곳을 안긁고 참으면 아픈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피부가 가려운 이유는 벌레에 물리거나 세균 감염, 상처 치유, 건조함 등 여러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만약 가려움의 원인이 세균 감염이나 벌레에 물려 독으로 감염된 경우에 간지러움이 심해지고 통증으로 올 수 있죠.가려움이나 간지러움은 아주 작은 자극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고, 자극이 강해지면 통증이 될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2
0
0
물고기를 순간 동결로 생명 유지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실제로 물고기가 순간적으로 극저온에 노출되어 얼었다가 동면되어 다시 살아난 사례가 있습니다.그리고 사람도 동면하여 보관하고 있는 사례도 있죠. 하지만 현재 기술로는 사람이 깨어나 지속적으로 살 수 있다는 보장이 없어 끊임없이 연구중에 있으며, 기술이 갖춰진 뒤 동결을 해제할 것으로 판단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22
0
0
424
425
426
427
428
429
430
431
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