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반타블랙이란 물질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반타블랙은 탄소로 이루어진 물질로 탄소나노튜브를 겹겹이 놓아둔 구조이죠. 이로인해 빛이 반사되어나오지 않고 흡수되는 성질을 가졌습니다. 반타블랙으로 몸을 가리게 된다면, 투명인간이 되는 것이아닌 완전히 검게 됩니다. 투명인간이 되기위해서는 빛이 굴절하여 몸을 지나 뒤쪽을 향해 가야하며, 뒤쪽에서 반사된 빛이 몸을 굴절하여 다시 앞으로 나아가야합니다. 그러면 투명한 인간이 될 수 있죠.
학문 /
전기·전자
23.07.26
0
0
우리나라는 왜 220v 전압을 사용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과학적으로 220V가 110V보다 효율이 좋고 전기세가 적게 들어가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럼에도 몇몇 국가에서 110V를 사용하는 이유는 220V에 비해 효율이 떨어지긴 하지만 크게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그대로 사용하는 이유도 있습니다. 또 다른 이유는 220V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변압기와 송전 경로를 모두 뜯어 고쳐야하는 단점이 존재하며 비용도 막대하게 듭니다. 그리고 사용하던 모든 가전제품도 교체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110V를 사용하는것이죠.
학문 /
전기·전자
23.07.26
0
0
은하계를 나누는 기준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은하계는 별들과 행성들의 집합체입니다. 태양계의 경우 태양이라는 별하나와 행성들로 이루어져있죠. 태양계와 같은 집합체가 여럿 뭉쳐 하나의 계를 형성합니다. 이를 은하계라고 하죠. 은하계 중심에는 거대한 별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블랙홀도 존재해 있을 수 있습니다. 은하계 중심의 거대한 질량체를 중심으로 태양계를 포함한 별이나 행성이 공전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특정한 모양을 띠는데, 나선형 모양, 타원형 모양, 렌즈형 모양 등으로 구분됩니다. 즉, 은하계는 별과 행성들의 집합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러한 집합체가 우주의 군데군데 존재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26
0
0
우주는 팽창하면서 왜 계속 별을 만드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빅뱅이론에 따르면 초기 우주는 한점에 고에너지 고밀도의 상태에서 폭발하여 현재까지 팽창중입니다. 고밀도, 고에너지 상태에서는 모든 물질이 굉장히 높은 에너지를 가지고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었죠. 하지만 팽창하면서 온도가 떨어지고, 운동의 활발성이 낮아지면서 질량을 가진 물체는 만유인력을 행사해 가스와 물질들이 뭉쳐 덩어리를 형성하며 별이나 행성이 되는 것이죠. 우주에서 가스나 먼지가 뭉쳐있는 부분에서는 이러한 일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계속해서 별이 탄생할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26
0
0
헬리콥터가 공중에서 비행하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헬리콥터는 프로펠러를 회전시킴으로써 공기를 밀어내는 힘을 이용하여(작용-반작용) 뜨게됩니다.작용-반작용은 프로펠러에서 공기들을 지면으로 밀어내는 힘이나 엔진에서 가스나 물질을 분사하며 지면을 밀어내는 힘으로 비행체가 뜨는것을 의미합니다. 프로펠러를 회전시켜 공기를 지면으로 수직하게 튕겨내거나 엔진에서 가스나 물질을 분사해 비행체가 뜨는것이죠. 이렇게 날아가는 비행기는 헬리콥터, 드론, 로켓이 있습니다.
학문 /
기계공학
23.07.26
0
0
부력과 밀도는 수학적으로 어떻게 연결되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질문1]P2의 압력은 h1+h2깊이에 대한 압력으로, h1+h2의 물 기둥이 누르는 압력을 계산해야합니다. 그래서 ρ(h1+h2)g 가 되는 것이죠.[질문2]Vρg의 부력식에서 ρ는 액체의 밀도입니다. 즉, 부력은 해당 공간을 차지하는 액체나 기체의 밀도와 관련되어있죠. 부력을 받는 것은 집어넣은 물질의 부피와 액체(혹은 기체)의 밀도에 의존하며 집어넣은 물질의 밀도에는 의존하지 않습니다.
학문 /
토목공학
23.07.25
0
0
자석은 무한대로 N극과 S극으로 나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첫번째로 전자, 원자핵의 스핀에 의해 자기력이 발생될 수 있으며, 두번째로 전류의 흐름에 의해 자기력이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 보통 자석의 경우는 스핀에 의해 발생된 자기력입니다. 물질 중에는 자화(스핀이 정렬하여 N극 S극을 띠는 것)가 영구적으로 돼있는 물질이 존재합니다. 이를 자석이라고 하죠.자석을 쪼개고 쪼개서 가장 작은 단위인 원자 그리고 더 작게 전자, 양성자 등으로 나뉘어도 N극과 S극이 나뉩니다. 모든 입자는 스핀을 가지고 있으며, 이 스핀이 자기장에 반응하며 마치 자석처럼 행동하죠. 현재까지는 자기홀극을 발견하지 못했으며, 자기홀극에 대해서는 앞으로를 지켜봐야 할듯하네요.
학문 /
물리
23.07.25
0
0
불의 고리인 환태평양조산대에서는 왜 화산활동이 많이 일어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환태평양 불의고리(=조산대, 화산대, 지진대)는 태평양 주변으로 판의 경계가 위치하여 지진과 화산활동이 자주 일어나는 지역을 보고 부르는 명칭입니다. 태평양 주변으로 마치 띠, 고리처럼 둘러 싸고 있고, 화산활동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불의고리라고 부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25
0
0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계 행성중 가장 큰 것은 목성입니다. 목성의 부피는 대략 지구의 1400배정도이며 질량은 318배나 된다고 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25
0
0
백두산이 폭발하면 대한민국도 피해가 크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만약 백두산이 터진다면 한반도에 화산재가 날릴 것이며, 지진이 발생합니다. 또한, 화산에서 분출된 연기와 재가 하늘을 뒤덮어 햇빛을 차단하여 온도를 낮출 수 있습니다. 또한 화산 재와 연기로 뒤덮인 하늘로 인해 대기오렴, 생태계 파괴, 항공 운항 중단, 산성화 등의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며, 경제적인 피해로도 이어질 수 있을 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25
0
0
37
38
39
40
41
42
43
44
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