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지렁이가 비만 오면 마당에 득실득실...ㅠ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렁이는 보통 흙, 토양 밑에서 양분을 먹으며 살아갑니다. 그런데 비가오게되면 흙과 토양이 젖게 되어 지렁이가 숨을 쉬지 못하게 되죠. 그래서 지렁이는 비가 오거나 습함을 감지하면 땅 밖으로 나오는 것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17
0
0
얼음 덩어리와 선풍기를 연결한 아이디어 제품을 구상중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훌륭합니다. 얼음이 선풍기로 들어가는 공기의 온도를 낮춰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얼음이 없는 선풍기보다 시원한 바람이 나올 수 있을듯합니다. 그리고 선풍기가 들어오는 공기와 얼음이 만나는 시간이 더 길면 길수록 좋을듯 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17
0
0
네비게이션은 언제부터 사용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최초의 네비게이션은 1985년 미국 자동차용품 업체 이택 Etak에서 이택 네비게이션을 발표하였습니다. 그리고 국내에서 상용화가 시작된건 1997년부터라고 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09.17
0
0
GPS가 날씨가 흐릴때는 잘 안잡히는게 맞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네비게이션의 업데이트가 필요할 수도 있으며, 고장이 났을 경우도 있습니다. GPS는 흐리거나 비가오는날에도 꽤 정확하다고 합니다. 그래서 전자에 가깝다 생각하기 때문에 네비게이션에 대한 전문가에게 문의해보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09.17
0
0
블랙홀울 지나오는 화이트 홀은 과연 존재하는가?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블랙홀은 상대성 이론과 우주론에 의해 예견된것이고 현재는 관측을 성공한 실존하는 것입니다. 화이트 홀을 설명하기 앞서 웜홀이라는 개념을 알아야합니다. 웜홀은 우주의 두 지점을 다른 차원으로 연결한 것인데, 수학을 사용한 이론적인 것입니다. 그리고 이 웜홀을 통해 블랙홀에서 빨아들인 물질이 방출되어야 하는데, 그것이 이론적으로 만들어낸 화이트홀입니다.일반 상대성 이론에서는 metric을 쓰고 시공간을 해석합니다. 블랙홀의 metric은 Schwarzschild metric을 사용하였으며, 이를 해석하면서 화이트홀이 등장하죠. 식은 여기에 쓰기엔 적절치 않아 Schwarzschild metric를 검색해보시면 금방 보실 수 있습니다. 물론 이 메트릭은 블랙홀이 아닌 지구와 같은 질량체에도 적용이 가능한 메트릭입니다.전 세계에서 블랙홀을 지나왔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을 까요?없습니다. 블랙홀에 빠지면 사람은 갈기갈기 찢겨 죽게되죠.블랙홀에 빠지는 것은 마치 싱크대에 있는 배수관으로 빨려 들어가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단순히 몸이 온전하게 블랙홀로 떨어지는것이 아닌 좌우로도 짓눌리는 힘이 존재하여 몸에 압력이 느껴지며, 블랙홀과 가까운 신체 부위가 블랙홀과 멀리 있는 신체 부위보다 더 빨리 빨려 들어가기 때문에 몸이 위아래로 잡아 당겨지는 힘도 존재합니다. 그래서 마치 싱크대로 빨려 들어가는 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위아래로 몸은 찢기고, 사방에서 압력이 가해져 몸을 짓누르는 느낌이 들것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7
0
0
고드름이생기는이유를 알고싶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비가 오는날 처마에서 물이 뚝뚝 떨어지는 광경을 목격하셨을 겁니다. 겨울에는 온도가 낮아 이 물이 뚝뚝 떨어지지 못하고 얼어버리죠. 그리고 물이 얼어있는 부분으로 떨어지려다가 다시 얼고 또 물이 떨어지려다가 다시 얼기를 반복하여 고드름을 형성하는것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9.17
0
0
깊은 심해의 온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0~4도 정도 됩니다. 물의 밀도가 가장 높은 온도는 4도이며, 밀도가 높은 물이 심해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4도 정도이죠. 그리고 극지방에서 유입되는 찬 물의 밀도가 높은 편이기 때문에 0~4도 정도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7
0
0
물이 끓는 발연점은 100도씨인데요. 오래도록 계속 끓이거나 기름기가 있어도 계속 100도씨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산폐할 수 있어서 요리할 때 온도 조절이 중요하죠. 참기름의 산폐온도는 170도 정도입니다. 그래서 참기름을 넣은 음식은 낮은 온도를 유지해 주어야합니다. 물과 참기름을 같이 부어 끓일 경우에, 물의 양이 참기름보다 아주 많다면 계속 끓여도 100도 정도가 됩니다. 그래서 산폐온도에 도달하진 않죠.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17
0
0
주변부의 수축과 팽창 반복의 원리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쉽게 생각해서 수축은 중력에 의해 일어나고 팽창은 열에너지에 의해 일어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탄소핵융합까지 마친 태양이 점점 식으며 내부의 온도가 떨어지면서(내부 운동에너지가 줄어듦) 중력을 이기지 못하고 수축이 시작됩니다. 그런데, 중력에 의해 수축되는 이 별은 부피가 줄어들기 때문에 다시 온도가 높아집니다(내부 운동에너지 늘어남). 온도가 중력을 이길수 있는 운동에너지를 만들어내면서 팽창을 하는것이죠.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별의 마무리로 흘러가는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7
0
0
토양 내 공극속 물/액체에 젖는다는 건 어떤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1. 컵 속에 자갈이나 모래 등을 넣고 물을 부은 후 다시 물을 다시 빼내도 처음 부은 만큼의 물이 나오진 않는다 하는데요(중력으로) 이게 모래와 자갈 내의 막혀있는? 공극에 물이 갇혀있어서 빠지지 않는 것인지, 물이 토양입자에 흡수돼어(?)안 나오는 것인지 궁금합니다.자갈이나 모래에도 분자가 들어갈만한 틈이 존재할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자갈이나 모래 표면에 물이 묻게 되면 표면적이 넓어져 증발이 잘일어납니다. 그리고 모래와 모래, 자갈과 모래, 자갈과 자갈 사이에 물 분자가 낄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물의 표면장력에 의해 작은 틈사이로 떨어지지 않고 견딜 수 있기 때문이죠. 그래서 물을 다시 빼내도 처음 부은 만큼의 물이 나오지 않죠. 2. 위의 내용과 연관해서 면으로 된 옷에 물이 묻으면 시간이 지나면 말라서 건조해지지만 종이에 물이 묻으면 종이가 다시 말랐을 때 쭈글쭈글해 지잖아요.옷의 경우는 물분자가 그냥 섬유에 부착됐다가 다시 날아간 것인거고 종이의 경우에는 물분자가 종이와 화학적인 반응이 일어나서 종이가 원래대로 돌아오지 못하는 건가요?(비가역반응과 같이..?)종이는 분자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분자간의 간격이 존재하는데 이 간격 사이로 물이 스며들 수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종이 분자 사이에 물질이 끼는 경우로 결합을 깨뜨리게됩니다. 그리고 다시 물이 증발하면 종이 분자의 결합은 깨져 있게 되죠. 그래서 물에 젖었다 마른 종이는 쭈글쭈글해지는것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9.17
0
0
451
452
453
454
455
456
457
458
4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