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정전기가 잘 발생하는 상대습도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정전기는 습도가 낮을 수록 잘 발생합니다.우리몸에는 미세한 전류가 흐르고 있습니다. 이 전류는 전자(-)의 이동으로 만들어지죠. 이 말은 우리 몸에 전자(-)를 가지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이 전자가 문 손잡이, 철판, 철 등으로 이동할 때 정전기가 발생하죠.그런데 습도가 높을 때에는 정전기가 덜 발생합니다. 습도가 높으면 공기중에 수증기량이 많다는 의미이고, 또 이 물 분자는 +, - 극을 가지고 있어서 전자를 잘 끌어당겨 우리 몸을 중성으로 만들죠. 그래서 습한 여름에는 정전기 현상이 잘 일어나지 않습니다. 반대로 건조한 겨울에는 공기중에 수증기량이 없고 우리 몸에는 전자(-)가 많이 분포하기 때문에 정전기가 잘일어납니다.정리해서 습도로 기준잡으면 습도가 60%이상일 경우 정전기가 발생하지 않는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습도가 30%이하이면 정전기가 잘 발생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14
0
0
지구의 자전방향이 반대로 된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의 자전방향이 갑자기 바뀔일은 없지만, 만약 지구의 자전방향이 바뀐다면 해와 달이 서쪽에 뜰것입니다. 또한 자전 방향이 바뀔 때 관성에 의해 쏠림 힘을 받을 수 있습니다. 마치 그릇에 코코볼을 담아 회전시키다가 멈추게 되면 코코볼은 여전히 돌아가는거처럼요. 그리고 지구의 자기장의 변화가 있을 수 있습니다. 자기장은 지구의 내핵과 외핵의 자전에 의해 형성되는데, 자전 방향이 반대가 되면서 자기장의 방향이 바뀔 수 있죠. 그리고 바뀌는 순간 자기장이 사라지는 순간도 있습니다. 이 때에는 외부 우주선, 태양풍을 막아주지 못해 방사선의 노출이 있을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4
0
0
테이블에 가끔 국그릇이 막 움직이는데 왜 그런 현상이 일어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뜨거운 국그릇 아랫부분에 홈이 있을 경우에 그릇이 움직일 수 있습니다. 아랫부분에 홈이 있는 국그릇을 식탁에 두면 홈 부분에 공기가 가득 차 있게 됩니다. 그리고 국의 따뜻한 열기 때문에 홈안 부분에 공기가 뜨겁게 데워지죠. 기체는 온도가 높아지면 운동이 활발해져 부피가 팽창하려는 성질이 있습니다. 그래서 홈부분의 공기의 부피가 커지며 그릇을 띄우게 되는데, 이 때 그릇이 띄워지며 움직이게 되는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14
0
0
제트기 엔진은 어떤 원리로 만들어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제트엔진은 엔진 내부에서 연소를 시킨 고온의 가스를 빠르게 분출 시킴으로써 추진력을 얻는 원리 입니다. 구성은 공기 유입구-압축기-연소실-터빈-샤프트-후연기 로 되어있습니다.엔진개발에도 많은 지식이 필요하죠. 유체 역학, 역학, 수치모델링, 열역학 등 여러가지 지식이 필요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09.14
0
0
질문 목성의 대적반에 관한 질문이에요~ 대적반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목성의 대적반은 목성 내에 존재하는 기체의 흐름에 의해 생기는 것입니다. 대적반의 윗부분과 아랫부분의 대기의 흐름이 반대인데, 이로인해 거대한 소용돌이가 만들어진것이 대적반입니다. 또한 목성의 자전속도는 굉장히 빠른편에 속해 대기의 흐름도 빨라 거대한 소용돌이가 만들어진것이죠.https://astro.kasi.re.kr/learning/pageView/5150 사이트에 가시면 목성의 gif 이미지를 볼 수 있는데, 대기의 흐름을 눈으로 보시는게 좋을거같아 올려드립니다.목성은 유로파, 이오, 가니메데, 칼리스토를 포함하여 79개 정도의 위성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4
0
0
공유기 뒤에 은박지 같은 막을 두면 신호가 더 잘 잡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신호가 반사 되어 조금은 신호가 강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방 끝에 와이파이 신호가 약하다면 은박지를 둔다고해서 확연히 좋아지진 않을것으로 예상됩니다. 와이파이의 위치를 조금 바꿔보시거나 신호가 강한 와이파이로 바꾸시는것이 더 나을 것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14
0
0
원자력에서 필요한 우라늄은 어디서 구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우라늄은 자연에 존재하며 우라늄 광산도 존재합니다. 이러한 곳에서 우라늄을 얻어 핵분열 에너지의 원료로 이용되고 있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14
0
0
환절기에 대해서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계절이 바뀌는 시기(여름->가을)에는 낮에는 햇빛의 양이 여전히 강하며, 한랭한 기단과 온난한 기단이 세력 싸움을 하는 시기입니다. 그래서 낮에는 따스하며 맑은 공기를 느낄 수 있죠. 그리고 저녁이 되면서 햇빛이 사라지며 한랭한 기단의 영향을 받아 급격히 쌀쌀해지죠. 그래서 환절기에 일교차가 심하게 나타나는 것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14
0
0
태풍의 진로와 제주도 한라산의 상관관계가 궁금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한라산과 같이 높고 넓은 지형이 있을 경우 태풍이 지나가는데 있어 저항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방향을 틀 수 있습니다. 또한, 태풍의 에너지 원은 저기압과 수증기량인데 이러한 에너지원에도 영향을 미쳐 태풍이 소멸을 이르는데 앞당길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4
0
0
아폴로 11호가 달에 착륙한 것은 이해되는데 어떻게 달에서 발사하여 지구로 다시 돌어올 수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폴로 11호에는 사령선과 달착륙선으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그래서 사령선은 우주에 머물러 있었고, 달 착륙선을 통해 달에 안착하여 탐사를 한 뒤 다시 착륙선을 띄워 사령선으로 돌아와 지구로 귀환하였죠.그 후 달에 가지 않은 이유는 달에 갈 필요성이 줄어 들었고, 탐사선과 탐사로봇을 통해 충분히 과학적 탐구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달에 가게 되면 우주선, 방서선에 노출에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더 이상 사람이 달에 가지 않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4
0
0
460
461
462
463
464
465
466
467
4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