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요즘에 태풍 발생 원리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은 태양 에너지를 많이 받는 적도부근의 바다에서 만들어집니다. 적도 부근에서 태양 에너지를 받아 물이 증발하여 상승하며 구름이 다수 만들어집니다. 여름이나 가을에 적도 부근에서는 이러한 구름이 거대한 저기압 시스템으로 발달하게 되는데 이를 태풍이라고합니다. 태풍은 바람의 흐름을 타 중위도, 고위도까지 올라옵니다. 올라올때 바다 위를 지나면서 오는데 바다로부터 증발한 수증기를 머금고 세력을 키우며 올라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나 다른 나라를 강타하죠. 태풍은 육지내에서 더 이상 수증기를 공급 받지 못하기 때문에 세력이 약해지며 소멸합니다.태풍의 강도는 수증기량과 저기압 시스템의 발달과 관련이 있습니다. 여름에도 강한 태풍이 올 수 있으며, 태풍이 만들어질 때의 환경이 수증기량이 많고 강한 저기압을 만들게 될때 강한태풍이 됩니다. 그런데 9월에는 해수의 온도가 가장 높은 시기이고 이로인해 물의 증발량이 올라가기 때문에 수증기량이 많아져 강한 태풍이 만들어 지는것이죠.태풍 한가운데는 상당히 좋은 날씨이기 때문에 맑은 날씨를 보실 수 있을겁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4
0
0
환경오염이 아닌 도로오염의 원인이 뭘까요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도로의 오염은 차에서 나오는 배기물과 차에서 버리는 쓰레기, 오염된 공기에서 내리는 비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해결 방안은 차량에서 쓰레기 배출을 없애고, 도로 청소를 주기적으로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9.14
0
0
자동차 라이트 눈부심관련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차량의 라이트의 비추는 방향 때문에 오른쪽 부분의 라이트가 더 눈부실 수 있습니다. 차량의 라이트는 차량 앞부분에 빛을 밝게하기위해 설치된 것으로 오른쪽라이트는 왼쪽 부분을 향하게하고 왼쪽부분은 오른쪽부분으로 향하게 하여 차 앞을 환희 비추는 원리이죠. 그래서 역주행 방향에 계실때에는 오른쪽라이트의 부분이 왼쪽을 비추고 있기에 더 눈부실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9.14
0
0
여름철에는 모기가 많은데 물리면 왜 가려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모기가 피를 빨려고 물때 지방조직을 녹이는 성분과 히루딘이라는 성분을 내보내면서 피를 빱니다.우리 몸에서는 외부에서 들어온 모기의 타액을 이물질로 인식하고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면역반응이 일어나는데, 이때 가려움을 유발하는 히스타민이 함께 분비 된다. 히스타민은 혈관을 확장시키고 혈관 투과성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가려움증과 함께 붓고 빨갛게 됩니다. 이를 더 자극하게 되면 면역반응이 더 올라가 가려움이 증가됩니다. 가려움 예방 약을 바르시는게 좋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4
0
0
왜 그림자는 검은색이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색깔의 정의를 이해하시면 좋을듯 합니다.모든 빛을 반사하는 성질을 가진 물질의 색은 흰색으로 정의하였습니다.그리고 모든 빛을 흡수하는 성질을 가진 물질의 색을 검은색으로 정의하였고요.또한, 파란색(특정색) 파장의 빛만을 반사하는 물질을 파란색(특정색)이라고 정의하였습니다.그런데 그림자는 물체에 의해 태양빛이나 전등빛이 가려지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입니다. 그렇단 이야기는 물체로 빛을 가려버리면 가려진 부분에는 빛이 도달하지 못하기 때문에 반사되어 나오는 빛이 없게됩니다. 그래서 검은색이 되는것이죠. 또한 엄밀하게는 그림자는 완전한 검은색은 아닙니다. 그 이유는 물체에 의해 태양빛을 가렸지만, 건물이나 다른 물체로부터 빛이 반사되어 가려진 부분에 빛이 도달하기도하고, 물체 가장자리에서 빛이 회절하여 빛이 도달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완전한 검은색은 아니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4
5.0
1명 평가
0
0
태풍이 초가을에 많이 발생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의 강도는 수증기량과 저기압 시스템의 발달과 관련이 있습니다. 여름에도 강한 태풍이 올 수 있으며, 태풍이 만들어질 때의 환경이 수증기량이 많고 강한 저기압을 만들게 될때 강한태풍이 됩니다. 그런데 9월에는 해수의 온도가 가장 높은 시기이고 이로인해 물의 증발량이 올라가기 때문에 수증기량이 많아져 강한 태풍이 만들어 지는것이죠.참고로 태풍의 생성과 소멸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칩니다.태풍은 태양 에너지를 많이 받는 적도부근의 바다에서 만들어집니다. 적도 부근에서 태양 에너지를 받아 물이 증발하여 상승하며 구름이 다수 만들어집니다. 여름이나 가을에 적도 부근에서는 이러한 구름이 거대한 저기압 시스템으로 발달하게 되는데 이를 태풍이라고합니다. 태풍은 바람의 흐름을 타 중위도, 고위도까지 올라옵니다. 올라올때 바다 위를 지나면서 오는데 바다로부터 증발한 수증기를 머금고 세력을 키우며 올라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나 다른 나라를 강타하죠. 태풍은 육지내에서 더 이상 수증기를 공급 받지 못하기 때문에 세력이 약해지며 소멸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4
0
0
태양광 발전 원리를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에너지를 기반으로한 발전은 크게 2개가 있습니다.태양열 발전은 태양으로부터 받은 열을 이용해 물을 끓여 증기를 발생시킨 뒤, 이 증기로 터빈을 돌려 전기에너지를 얻어냅니다.태양광 발전은 태양 빛에너지를 금속에 가해주어 금속에서 전자가 튀어나와 전류가 되는 광전효과를 기반으로 한 발전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14
0
0
빅데이터 개념이 무엇인지 설명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빅데이터는 문자 그대로 거대한 양의 데이터를 처리, 저장, 분석, 시각화하는것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빅데이터는 AI와 접목될 수 있습니다. AI는 인공지능으로 머신러닝, 딥러닝 등이 있는데 학습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을 시킨 뒤 예측이나 판단을 하게끔 만듭니다. 자동차의 자율주행은 실시간으로 외부의 데이터(빅데이터)를 받아 학습을 수행하며 예측이나 판단을 할 수 있는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09.14
0
0
바닷물도 중력으로 인해 고정(?)될 수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바닷물은 중력으로 인해 고정되어 있습니다. 물은 높은곳에서 낮은곳으로 흐른다는것도 다 중력에 의한 현상입니다. 지구 중력에 이끌림에 따라 수위가 높은곳에서 낮은곳으로 이동하게되죠. 그래서 움푹 파인곳에 물이 고일 수 있는것입니다.또한 중력은 만유인력이라고 보시면 되는데, 만유인력이란것은 질량을 가진 두 물체는 서로 끌어당기는 힘입니다. 물은 질량을 가지고 있고 지구도 거대한 질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서로 이끌리는것이죠. 그리고 파도가 치는것도 중력에 의한 현상으로 설명이 가능합니다.조수간만의 차라고 하는것이죠. 조수간만의 차는 태양, 달의 만유인력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지구는 태양주위를 공전하고 달은 지구 주위를 공전합니다. 그리고 지구는 자전을 하고 있죠. 그래서 지구가 자전하면서 우리나라가 달과 가까워지거나 태양과 가까운 위치에 놓일때가 있습니다. 이때 만유인력이 작용해 해수면이 상승하고, 태양이나 달과 가장 멀어지는 시기에 해수면이 하강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조수간만의 차가 나타나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4
0
0
농도 단위 ppb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하나의 단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pbb는 1parts per billion의 약자로 10억 분의 1(10-9)이라는 뜻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9.14
0
0
469
470
471
472
473
474
475
476
4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