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엣지천사
엣지천사22.09.13

태양광 발전 원리를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요즘 신재생에너지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그중에서도 태양광발전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것 같은데. 태양광 발전 원리를 쉽게 좀 설명해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에너지를 기반으로한 발전은 크게 2개가 있습니다.

    태양열 발전은 태양으로부터 받은 열을 이용해 물을 끓여 증기를 발생시킨 뒤, 이 증기로 터빈을 돌려 전기에너지를 얻어냅니다.

    태양광 발전은 태양 빛에너지를 금속에 가해주어 금속에서 전자가 튀어나와 전류가 되는 광전효과를 기반으로 한 발전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9.13

    안녕하세요. 한만전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광 발전은 태양빛을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전기를 얻는 방식입니다. 금속에 빛을 가하면 금속에서 전자가 방출되는 현상 즉 광전효과를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얻는 방식 입니다.

    태양광발전기는 태양전지, 접속반, 인버터, 계통연계장치로 구성됩니다.

    태양전지에서 전류가 생성되고, 전지에서 생성된 직류전력을 접속반에서 모아 인버터로 전달합니다. 인버터는 교류로 변환하여 계통연계장치로 전기를 보내고 계통연계장치에서 전기를 분배합니다.


  • 태양으로 부터 받은 에너지를 패널이 전기 에너지로 전환해 줍니다.

    태양광 셀에 태양 빛이 닿으면 광전 효과에 의해 물리적 반응이 일어납니다.

    광전 효과는 간단히 말하면 빛이 전자를 튕기게 하는 효과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전기를 생산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광 발전의 핵심은 태양전지 입니다. 태양전지는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접합시켜 만들고 상단과 하단부에 금속으로 이루어진 전극을 붙여 완성 합니다. 태양빛을 태양전지에 비추면 빛이 반도체에 흡수되면서 접합부에 정공(+)과 전자(-)가 형성이 되고, 정공(+)은 P형 반도체의 전극으로 이동하고 전자(-)는 N형 반도체의 전극으로 이동하여 부하를 통해 전기를 생성합니다. 이렇게 생성된 직류 전기를 인버터를 사용해 교류 전기의 형태로 송전탑에 보내는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