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베토벤
베토벤

바닷물도 중력으로 인해 고정(?)될 수 있는건가요?

문득 파도를 보다 생각이 떠올랐는데 바다를 보면 엄청 많은 양의 바닷물이 어떻게 고여있을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밀물, 썰물 등 바닷물은 계속 움직이는걸로 알고 있는데 움직이는 와중에 그 거대한 양이 고일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호탕한개미핥기272
      호탕한개미핥기272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바닷물은 중력으로 인해 고정되어 있습니다. 물은 높은곳에서 낮은곳으로 흐른다는것도 다 중력에 의한 현상입니다. 지구 중력에 이끌림에 따라 수위가 높은곳에서 낮은곳으로 이동하게되죠. 그래서 움푹 파인곳에 물이 고일 수 있는것입니다.

      또한 중력은 만유인력이라고 보시면 되는데, 만유인력이란것은 질량을 가진 두 물체는 서로 끌어당기는 힘입니다. 물은 질량을 가지고 있고 지구도 거대한 질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서로 이끌리는것이죠. 그리고 파도가 치는것도 중력에 의한 현상으로 설명이 가능합니다.

      조수간만의 차라고 하는것이죠. 조수간만의 차는 태양, 달의 만유인력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지구는 태양주위를 공전하고 달은 지구 주위를 공전합니다. 그리고 지구는 자전을 하고 있죠. 그래서 지구가 자전하면서 우리나라가 달과 가까워지거나 태양과 가까운 위치에 놓일때가 있습니다. 이때 만유인력이 작용해 해수면이 상승하고, 태양이나 달과 가장 멀어지는 시기에 해수면이 하강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조수간만의 차가 나타나죠.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밀물과 썰물은 달과 태양때문에 생기는 현상입니다.
      달과 태양의 인력과 달과 지구가 회전운동할 때 생기는 원심력,
      그리고 지구로부터 달아나려고 하는 힘에 의해 발생합니다.
      달을 향한 바닷물이 달의 끌어당기는 힘에 의해 반대편 지구의 바닷물은 원심력에 의해 부풀어 오르는데,
      이것이 밀물과 썰물을 만들게 됩니다.

      즉 내부에서도 물이 계속 순환하고 있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중력으로 인해 균일하게 머무를수 있는겁니다. 그래서 산의 높이른 따질때 해발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전세계의 해수면 높이의 기준이 되는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