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우리들도 우주에 가서 살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현재는 우주에서 살기는 힘이듭니다. 우주에서 날아오는 우주선이나 방사선이 있기 때문에 몸에 해로울 수 있으며, 공기도 없는 공간이고 자원도 없는 공간이기 때문에 살아가는데 적합하지 않죠. 과학과 기술이 많이 발전하여 지구와 유사한 환경이며 사람이 살 수 있는 행성을 찾아 갈수만 있다면 그때부터는 우주의 다른 어딘가에서 살 수 있을것입니다. 하지만 사람이 움직일 수 있는 영역은 넓지 않고 여전히 그 행성안에서도 이동 범위는 지구에서와 비슷하기 때문에 크게 다른 삶은 아닐것입니다. 우주는 사람이 품을 수 없고 광활하고 아름답기 때문에 더욱 흥미로우며 가고 싶어하는 공간이라고 생각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8
0
0
지구는 둥근데 편평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어떤 이유로 그렇게 말하는 건가요? 과학적인 이유도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가 평평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우주에서 찍은 지구의 모습을 믿지 않으며 부분 월식이나 개기 월식이 일어날 때 달에 생긴 그림자를 보고 지구의 그림자로 생각하지 않습니다. 과학적인 근거를 받아들이지 못하고 부정하고 있죠. 단순히 지구에 있으면 사방을 둘러보아도 평평하고 지평선의 끝자락이 지구의 끝이라 생각하고 있어서 평평하다고 생각하는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8
0
0
무전기는 어떻게 신호를 주고받을수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비슷한 원리입니다. 휴대전화를 이용하여 번호를 입력(특정 채널)해 통신탑이나 위성으로 신호를 보내, 수신받을 연락처로 전달하는 방식입니다. 무전기도 비슷한 원리로 암호화된 채널을 통하는 원리이며, 송신 무전기와 수신 무전기의 채널을 맞춰 신호를 주고 받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다른점은 무전기의 경우 암호화된 채널을 알아야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08
0
0
풍력 발전기로 얼만큼의 전기를 만들수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세계적으로 풍력발전에 의해 연간 총 100GW(기가 와트)의 전력을 생산합니다. 이는 전체 전력 생산의 1~2%를 차지하는 양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08
0
0
콜라 김 빠지는데 얼마나 걸리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콜라를 개봉하고나서 다시 닫아 놓은 뒤 냉장고에 보관할 시 2~3일 정도면 김이 빠지게 됩니다.또한 탄산은 높은 온도의 액체에서 잘 녹지 않으며 낮은 온도의 액체에서 잘 녹습니다. 탄산 음료를 시원하게 먹는 이유도 이 때문이죠. 그래서 상온에 보관하게 되면 더욱 빨리 빠져나가게 됩니다.
학문 /
화학
22.09.08
0
0
지구가 자전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천체 운동에는 보존되는 물리량이 존재합니다. 에너지가 보존되며, 각운동량(회전)이 보존됩니다. 지구의 자전은 각운동량이 보존되는 경우로 지구의 질량중심축을 기준으로 초기에 생긴 회전 에너지로인해 계속해서 자전할 수 있는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8
0
0
중력의 원리가 뭔가요 알려주세요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중력이란것은 만유인력에 의해 작용하는 힘입니다. 질량을 가진 두 물체는 서로 끌어당기는데 이 힘이 만유인력이죠. 질량을 가진 물체는 왜 질량을 가진 물체를 끌어당기는지 모두가 궁금해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에 대한 답은 누구도 할 수 없습니다. 왜냐면 자연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관측하고 법칙으로 만들순 있으나 왜 끌어당기는지는 모르기 때문입니다. 자연이 그렇게 존재해있고 우리는 그것을 기술하는 방법을 알아내 현상을 예측하거나 다른 현상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얻으려고 하는것이죠. 그래서 우리 인류는 질량을 가진 두 물체가 끌어당기는 힘이 작용하는것을 보고 수학적으로 기술해내는것뿐입니다. 만유인력을 매개하는 입자는 중력자(graviton)로 기술하고있습니다. 전기력을 매개하는 입자는 빛(광자, 전자기파)이죠. 힉스 입자는 중력을 매개하지 않고, 자발적 대칭성 깨짐으로 표준 모형(standard model)에서 예측하는 입자인 쿼크 그룹, 렙톤 그룹(전자, 뮤온, 타우, 뉴트리노), 게이지 보존(광자, W, Z보존) 등의 입자들의 질량을 부여합니다. 만약 힉스 입자의 대칭성이 깨지지 않는다면 표준 모형의 입자들의 질량은 0이 되어 현재 우주의 현상을 설명할 수 없는것이죠.재밌는것은 힉스입자가 발견되었지만, 힉스 입자의 질량을 설명하는데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그래서 현재 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물리
22.09.08
0
0
추석 보름달 크기에 대하여 질문합시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가 자전하고 달이 공전하며 달이 떠오르는 거처럼 보이는데, 이때 달과의 거리가 미묘하게 달라지기도 하지만 떠오를 때의 주변 건물, 산 등과 가까운 상태에 놓여 주변 환경에 의해 우리의 인지능력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마치 착시효과 같다고 생각하시면 되고, 인지의 문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시로 에빙하우스의 착시를 검색해보시면 쉽게 이해하실 수 있을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8
0
0
마그네슘 금속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마그네슘은 은백색의 가벼운 금속입니다. 녹는점은 650도, 끓는점은 1090도이며 밀도는 1.738 g/cm3인 물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결정 구조는 육방 밀집 구조이며, 연성과 전성이 있어 얇은 박 또는 철사 등으로 뽑을 수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상온에서 물, 수증기와 천천히 반응합니다. 하지만 마그네슘이 부서져 표면적이 넓어지면 빠르게 반응합니다. 물과 반응할 때 마그네슘이 산화되며 수소 기체가 발생합니다. 마그네슘은 금속으로 열에 강하며 열 전도성이 좋다는 특징도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2.09.08
0
0
정격전압(220V)에 관한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과학적으로 220V가 110V보다 효율이 좋고 전기세가 적게 들어가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럼에도 몇몇 국가에서 110V를 사용하는 이유는 220V에 비해 효율이 떨어지긴 하지만 크게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그대로 사용하는 이유도 있습니다. 또 다른 이유는 220V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변압기와 송전 경로를 모두 뜯어 고쳐야하는 단점이 존재하며 비용도 막대하게 듭니다. 그리고 사용하던 모든 가전제품도 교체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110V를 사용하는것이죠.
학문 /
전기·전자
22.09.08
0
0
496
497
498
499
500
501
502
503
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