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인공지능의 발달은 한계가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인공지능은 외부에서 데이터를 받아 학습할 수 있으며 학습된 데이터를 직접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현재 이미 AI 인공지능과 대화를 했던 사례도 있습니다. 그래서 인조인간도 볼 수 있는 기술력이 되었죠.
학문 /
생물·생명
22.09.07
0
0
바다가 만조가되는 이유를 알수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이 경북 경남을 지날 때 이 지대가 태풍의 오른쪽 부분에 있어서 타격이 컸습니다. 또한, 만조가 겹치면 해수위가 높은 상태이며 강한 태풍의 바람 때문에 물이 더 쉽게 범람할 수 있습니다. 태풍의 진행방향에 대해 오른쪽, 왼쪽의 강도는 태풍의 회전 방향과 관련이 있습니다. 북반구에서의 태풍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죠. 그리고 진행방향은 보통 북쪽을 향합니다. 이러한 태풍의 오른쪽 부분을 보시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진행방향이 북쪽이므로 오른쪽 부분은 회전속력과 진행방향의 속력이 더해져 바람이 강합니다. 반대로 왼쪽 부분에서는 회전속력과 진행방향의 속력이 반대이므로 차감되는 효과로 인해 바람이 태풍의 오른쪽 부분에 비해 약하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7
0
0
평소 하루에 햇볕을 몇분이상 쬐는게 건강에 좋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햇빛을 쬐면 기분도 좋아지고 비타민D도 많이 합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일주일에 2~3회정도 하루 10분에서 20분정도 쬐는게 가장 좋을듯합니다.
학문 /
화학
22.09.07
0
0
초정리 탄산수의 탄산함유량이 점점 줄어드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기체는 높은 온도의 액체에서 잘 녹지 않으며 낮은 온도의 액체에서 잘 녹습니다. 또한, 기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액체에서 나와 공기중으로 날아가죠. 약수물은 외부 온도에 영향을 받는데, 온도가 올라가는 경우에는 기체가 액체에서 나와 공기중으로 나가며, 온도가 떨어질 경우에는 공기중으로 잘 나오지 않습니다. 외부 온도 변화가 지속적으로 있었기 때문에 이산화탄소가 공기중으로 나왔을수 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조금씩 공기중으로 나오기 때문에 이산화 탄소의 양이 줄어들수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2.09.07
0
0
빛은 어느 정도까지 비출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빛은 거리에 제곱에 비례하여 세기가 줄어듭니다. 그래서 세기가 센 빛을 사용해야 멀리서도 빛을 볼 수 있죠. 그래서 세기를 강하게 만든 것이 레이저이죠. 레이저로 빛을 비추면 먼 거리까지 빛의 세기를 거의 유지시키면서 전달가능합니다. 그래서 천문대에서 별자리 포인터로 사용을 많이하죠. 또한, 레이저나, 전구, 기타 빛을 내는 물체에서 나온 빛은 장애물만 없으면 우주 끝까지 나아갈 수 있습니다. 단지 세기가 약해질 뿐이죠.
학문 /
전기·전자
22.09.07
0
0
바둑의 모눈이 19*19줄로 알고 있는데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20줄이 되면 경우의 수가 더 늘어나게 되며, 전략도 많이 늘어나게 됩니다. 바둑의 원리를 기반으로 하여 줄수를 늘린 것 뿐이니 여전히 실수가 없고 연산이 빠른 AI가 이길거 같습니다. 또한, AI는 판수가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기보를 익혀 훈련이 되니 더욱 강력해집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07
0
0
원자폭탄 & 핵의 원리 궁긍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원자 폭탄의 경우 폭발 에너지가 막대합니다. 그래서 폭발 순간의 충격파로 인해 주변의 공기를 밀어내 순간적으로 진공상태가 될 수 있죠. 그리고 폭발이 끝나면 진공상태(저기압 상태)에 있는 공간으로 다시 외부에 있는 공기(상대적으로 고기압 상태)들이 빠른 속도로 연기와 함께 흘러 들어와 위로 솟구치게 됩니다. 그러면서 버섯구름 모양이 생성되는 원리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7
0
0
수소에너지가 친환경에너지로 각광받고 있는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수소를 에너지로 사용하면 사용후 발생되는 물질이 물이며, 이를 우리가 다시 활용할수도 있으며, 환경에 유익한 성분이 되기도 합니다. 수소 에너지를 사용하면 해로운 물질이 생성되지 않아 친환경적이죠.
학문 /
화학
22.09.07
0
0
수소 자동차용 수소는 어떻게 만드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수소 자동차의 수소는 수소 가스나 액화수소를 통해 공급이 가능하며, 공기중에서 얻을 수도 있도록 설계가 가능합니다.수소는 보통 공기중에서 얻을 수 있습니다. 물을 전기분해하여 얻을수도 있고요.
학문 /
화학
22.09.07
0
0
이번 태풍 때 대한민국에서 과학적으로 대비를 잘 한 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과학적으로 창문이 깨지지 않게 X자로 테이핑을 하는 것보다 창틀과 창문을 고정시키게끔 테이핑을 하였습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9.07
0
0
496
497
498
499
500
501
502
503
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