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좌뇌와 우뇌는 서로 담당하는 것이 다르다고 들었습니다. 어떻게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좌뇌는 물리적이고 이성적인 판단에 관여하는 뇌입니다. 우뇌는 창의적 사고와 직관적 판단에 관여하는 뇌입니다. 또한 세부적으로 수행하는 역할들이 있는데, 좌뇌는 일반적으로 말을 하고 계산하는 식의 논리적인 기능을 하는 역할을 합니다. 수학적 논리, 말하기, 읽기, 쓰기, 추리 등의 기능을 담당하죠.우뇌는 음악을 듣거나, 그림을 보기, 이미지를 떠올리는 직관적인 기능을 담당하며, 얼굴표정인식, 원근감, 창의성, 음악성, 직감 등 다양한 기능을 담당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07
0
0
겨울철에 염화물계 제설제를 뿌리면 눈이 금방 녹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염화물계 제설제는 공기중 수증기를 흡수하는 성질이 강합니다. 그래서 주변으로부터 수증기를 흡수하여 수용액 상태가 되며, 이 수용액이 얼음과 닿아 얼음의 열을 뺏기도하며 얼음과 섞여 어는점을 낮추기도합니다. 어는점이 낮아지게 되면 얼어있던 얼음이 녹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원리로 염화물계 제설제를 뿌리면 눈이 금방 녹아버리죠.이해가 되셨으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9.07
0
0
인간이 중력을 무시 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자연의 힘 중에 만유인력이라는 힘이 있습니다. 이 힘은 질량을 가진 두 물체가 서로 끌어당기는 힘입니다. 지구도 질량을 가지고 있고, 사람도 질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서로 끌어당기고있죠. 특히 지구의 질량을 엄청나게 커서 만유인력을 느낄 수 있고 이게 곧 중력이 됩니다. 그래서 사람이 중력을 무시할 수 없는 이유가 질량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중력이 없는 무중력 상태가 되면 둥둥 떠다니며 마치 우주공간에 있는 느낌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7
0
0
피사의 사탑은 왜 기울어저 있으며 어떻게 무너지지 않는것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대와 관련이 있습니다. 과거 피사의 사탑의 지대는 저습지로 지반이 부드러워 무거운 하중을 견딜만큼의 단단함을 가지고 있지 않죠. 그래서 높은 피사의 사탑의 하중에 의해 지반이 눌려 기울어져 있습니다.피사의 사탑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쓰러지지않는 이유는 무게중심에 있습니다. 물체의 무게중심을 지면과 수직하게 이었을때 그 선이 물체를 지탱하는 지지대 안쪽에 위치하면 물체는 쓰러지지 않습니다. 즉, 피사의 사탑의 무게중심이 피사의사탑을 지탱하는 바닥 안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쓰러지지 않는것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7
0
0
바닷물에서 광물을 추출하는 법?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보통 시추기를 이용하여 광물을 채취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해저 탐사 로봇을 통해 광물을 채취할 수도 있죠.
학문 /
토목공학
22.09.07
0
0
이 거미는 독거미 일까요? 아닐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국내 거미의 대부분엔 독이 없습니다. 거미를 보니 무당거미 곁살이 같네요. 독이 없는 종이니 안심하셔도 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07
0
0
뒷다리가 나온 올챙이를 잡았는데 올챙이는 무엇을 먹여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올챙이 먹이가 따로 있으며, 개구리 먹이가 따로있습니다. 이를 감안하여 먹이를 주시기 바랍니다. 올챙이는 개미, 모기 애벌레, 개구리 계란 등을 먹으며 개구리가 되면 파리, 모기, 곤충 들을 먹습니다. 개구리가 되면 활동 범위가 넓어지는데 바위나 모래를 이용하여 육지 형식으로 만들어주면 좋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07
0
0
바다 심층수는 일반 민물과 어떻게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바다 심층수에도 염분이 존재합니다. 바다 심층수는 햇빛이 들지 않아 미생물이 거의 없기 때문에 여과가 쉽고 쉽게 깨끗한 먹는 물로 바꿀 수 있습니다. 그래서 바다 심층수를 인공적으로 염분과 미생물을 제거하여 깨끗하게 만든 뒤 먹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9.07
0
0
제임스웹 망원경 궁금한점있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사진을 첨부하시면 더욱 정확한 답변이 가능할거같습니다. 사진에는 가까운 은하도 있을 것이며 멀리 있는 은하도 있을것입니다. 사진상 크기가 비슷하다고 거리도 비슷한것은 아닙니다. 은하는 각자의 크기가 다 다르며 그 차이도 아주 클 수 있습니다. 그래서 가까운 은하가 크기가 작고, 멀리 있는 은하가 크기가 커서 사진상 크기가 비슷할 수 있죠. 만약 은하 하나를 기준잡아 이 은하를 확대하여 엄청나게 크게 보이게 한다면 질문자님께서 말하신거처럼 뒤에 은하들이 가려질 수 있죠.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7
0
0
우리나라 최초의 비행기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의 최초의 비행기는 1922년 최초의 민간 비행사였던 안창남님이 기존에 버려진 부품을 활용해 순수 국내 기술로 만들었던 '금강호' 비행기입니다. 또한 1953년 최초로 우리나라에서 자체 설계하여 제작한 2인승 경비행기 '부활호'가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7
0
0
496
497
498
499
500
501
502
503
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