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열대우림에는 비가 자주 오는데도 불구하고 다양한 종의 생물이 사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열대우림에는 미생물, 곤충, 식물의 뿌리 등이 토양에 있어서 영양분이 쉽게 쓸려내려가지 않습니다. 또한 쓸려내려간다 한들 미생물, 곤충등이 퇴적되어 또 다른 영양분이 공급될 수 있죠. 또한, 습한 환경에서 자랄 수 있는 생물의 양이 많기 때문에 다양한 종의 생물이 살 수 있는것이죠.이해가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07
0
0
시간을 10000분의 1초까지 오차가 없게 한다는게 무슨 말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정확한 시간 측정에 관한 것은 기준이 필요합니다. 현재 과학계가 정의하고있는 1초는 세슘-133 원자가 91억 9263만 1770번 진동하는 시간입니다. 또한, 이 진동수를 나눔으로써 0.1초, 0.01초, 0.001초 등을 셀 수 있습니다. 이를 이용해 10000분의 1초의 오차를 정확하게 잴 수 있는 시계를 제작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세슘-133 원자가 아니고도 빛을 이용하여 시간 측정이 가능합니다. 특정한 길이를 두고 빛이 특정 수 왕복하는 시간을 정의할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원리로 시계가 만들어지는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09.07
0
0
태양은 어떻게 해서 온도가 그렇게 높은가요? 어떤 물질이기에 계속 높은 열을 발산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은 별 중에 하나로, 별은 주로 핵융합 반응에 의해 빛과 에너지를 방출합니다. 태양에서 일어나는 핵융합 반응은 수소핵 2개가 헬륨핵이 되는 반응입니다. 이 과정에서 수소핵 2개의 질량을 더하면 헬륨핵 질량보다 큰것을 알 수 있는데, 반응 과정에서 질량 손실이 에너지(온도를 높게하는 요인)로 변한 것이죠. 이를 핵융합반응이라고합니다. 이 때 손실된 질량이 에너지로 변하는 과정은 E=mc^2을 통해 계산할 수있습니다.태양의 수명은 100억년 정도이고, 현재 태양의 나이는 46억년이라고 밝혀져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7
0
0
지구 생태계에서 가장 많은 개체수를 가지고 있는 동물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나무, 식물이 82% 정도이며 박테리아가 13%, 곰팡이 및 미생물이 4.2%, 어류 0.1%, 가축 0.02%, 인간 0.01%로 나무와 식물이 가장 많습니다.개체수가 많은 이유는 환경과 번식에 이유를 둡니다. 식물은 햇빛과 육지, 물과 양분이 있으면 성장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한번 번식할 때 양이 많아 주변으로 씨를 뿌릴 수 있죠. 이러한 이유로 나무와 식물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7
0
0
빅뱅은 어떻게 발생한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의 탄생에 있어 현재 과학적으로 이게 절대적으로 맞는것이다 라고 할만한 연구까진 진행된것은 없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가장 각광받는 이론은 빅뱅 이론이죠. 한점에서 폭발하여 우주가 탄생되었다는것이죠. 하지만 이 폭발이 어떻게해서 발생했는지는 아직 모릅니다. 무에서 유가 창조 되었다면 어떤 원리로 창조되었는지를 설명해야합니다. 이를 설명하는데, 물리적인 법칙에 위배가 될수도있으며, 위배가 되지않는 선에서 설명을 하려고하여도 또다른 무언가를 입증해야합니다. 또는, 빅뱅이전 두 개 이상의 에너지가 충돌하여 하나는 우리 우주가 되고 다른 부분에선 다른 우주가 되었다 라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아직 빅뱅이 어떻게 일어났는지는 알 수 없는 영역이며 풀어나가야할 숙제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7
0
0
태풍이 발생하는데 필요한 조건이 뭐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은 태양 에너지를 많이 받는 적도부근의 바다에서 만들어집니다. 적도 부근에서 태양 에너지를 받아 물이 증발하여 상승하며 구름이 다수 만들어집니다. 여름이나 가을에 적도 부근에서는 이러한 구름이 거대한 저기압 시스템으로 발달하게 되는데 이를 태풍이라고합니다. 태풍은 바람의 흐름을 타 중위도, 고위도까지 올라옵니다. 올라올때 바다 위를 지나면서 오는데 바다로부터 증발한 수증기를 머금고 세력을 키우며 올라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나 다른 나라를 강타하죠. 태풍은 육지내에서 더 이상 수증기를 공급 받지 못하기 때문에 세력이 약해지며 소멸합니다.그런데 9월에는 해수의 온도가 가장 높은 시기이고 이로인해 물의 증발량이 올라가기 때문에 수증기량이 많아져 강한 태풍이 만들어 지는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7
0
0
날씨에서 말하는 고기압저기압은 무슨 말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기압이라는 것은 공기의 압력을 의미합니다. 공기가 많이 밀집되어있으면 공기의 압력이 높은 고기압 상태이며, 공기가 많이 없으면 공기의 압력이 낮은 저기압 상태이죠. 보통 기압이 높은곳에서 낮은곳으로 공기가 이동하며 이것이 바람이 됩니다. 우리 지구는 공기가 모두 균일하게 있는것이 아닌, 지열과 태양열 등 온도의 요인과 지구의 자전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해 공기가 밀집된 지역이 있으며, 공기가 희박해지는 지역도 있습니다. 이로인해 고기압 지대와 저기압 지대가 나타나는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7
0
0
태풍의 이름은 어떻게 지어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 이름은 그 국가에 영향을 미칠만한 태풍에 이름을 붙입니다. 그래서 우리나라를 지난 태풍들의 이름은 우리에게 친숙한 이름들이죠. 태풍 이름은 각 국가별로 10개씩 제출한 총 140개가 각 조 28개씩 5개조로 구성되고, 1조부터 5조까지 순차적으로 사용합니다. 140개를 모두 사용하고 나면 1번부터 다시 사용하죠. 태풍이 보통 연간 약 25개 정도 발생하므로 전체의 이름이 다 사용되려면 약 4∼5년이 소요되죠.참고로 힌남노는 라오스에서 제출한 명칭입니다. 라오스 캄무안주에 있는 국립보호구역의 이름을 따서 태풍의 이름을 붙인것이지요.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7
0
0
날씨 관련하여 질문을 하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날씨는 기상 데이터를 기반으로하여 예측합니다. 각 지역에 풍향, 풍속, 강수량, 온도 등을 측정하는 관측장비가 있으며 여기서 관측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치모델링을 통해 비가 올지, 바람은 얼마나 어디로 불지, 온도는 어떻게 될지 예측을 합니다. 예측결과를 얻기위해서는 위치정보와 시간정보, 온도, 습도, 풍향 등 다양한 변수를 담고 있는복잡한 미분방정식을 풀어내어 해를 구함으로써 특정 위치에 특정 시간에 어떤 상태일것이라는것을 예측하는것이죠. 또한 비구름의 이동 경로와 바람이 부는 방향으로도 대략적인 예측도 가능합니다.이러한 예측이 완벽한 예측은 아닙니다. 모델링을 하였다 하더라도 현실에서 발생하는 모든 현상을 완전히 고려한것은 아니니까요. 또한 관측값을 통해 예측을 실시하기도하는데, 관측값이 온전한 값일 수도 없습니다. 관측에는 항상 오차나 오류가 존재하기 때문이죠. 이러한 이유로 완벽한 예측은 사실상 불가능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7
0
0
고위도로가는 난류는 염분이 한류보다 낮아야하는거 아닌가요? 왜 염분이 더 높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바닷물의 염분 농도는 지역적으로는 비슷하나 전 세계 어느 바다에서나 같은것은 아닙니다. 바닷물의 농도가 짙은 바다인 사해가 대표적인 예가 되겠습니다. 바다의 염분은 바다 속 암석이나 광물로부터 발생합니다. 바다 속 암석, 광물에 함유된 나트륨이 바닷물에 용해되며 바다의 염분 농도가 올라가는 것이죠. 때문에 어느 바다에서나 염분 농도가 같지 않은 이유입니다.그래서 단순히 난류와 한류 온도만으로 판단하기는 힘들고 어느 바다에서부터 흘러 들어가는지까지 판단하여 염분의 농도를 이해하시는게 좋을듯 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9.07
5.0
1명 평가
0
0
496
497
498
499
500
501
502
503
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