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9.07

고위도로가는 난류는 염분이 한류보다 낮아야하는거 아닌가요? 왜 염분이 더 높나요?

해수에서의 염류에 대해서 궁금한게 있어 질문드립니다. 염류는 염분이라서 강수량 증발량에 따라 중위도보다는 저위도에서 염분이 낮아서 저위도에서 고위도로가는 난류는 염분이 한류보다 낮아야하는거 아닌가요? 왜 염분이 더 높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꾸준한독서가
    꾸준한독서가22.09.07

    안녕하세요. 이영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난류는 따뜻하니까 고체의 용해도가 커져서 염분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아열대 지역은 구름이 잘 만들어지지 않아서 강수량은 적고, 증발량은 많기 때문에 저위도에서 염분이 높습니다.


  • 고위도로 가는 난류가 염분이 더 높은 이유는 물이 따뜻하기 때문입니다.

    간단히 차가운 물 컵과 따뜻한 물 컵에 소금을 녹인다고 가정하면,

    따뜻한 물 컵에서 소금이 더 잘 녹습니다.

    따라서 난류 쪽이 염분이 더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닷물의 염분 농도는 지역적으로는 비슷하나 전 세계 어느 바다에서나 같은것은 아닙니다. 바닷물의 농도가 짙은 바다인 사해가 대표적인 예가 되겠습니다. 바다의 염분은 바다 속 암석이나 광물로부터 발생합니다. 바다 속 암석, 광물에 함유된 나트륨이 바닷물에 용해되며 바다의 염분 농도가 올라가는 것이죠. 때문에 어느 바다에서나 염분 농도가 같지 않은 이유입니다.

    그래서 단순히 난류와 한류 온도만으로 판단하기는 힘들고 어느 바다에서부터 흘러 들어가는지까지 판단하여 염분의 농도를 이해하시는게 좋을듯 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적도지역은 대체적으로 건조한 기후로 강수량이 적어 염도가 높고 고위도의 경우 빙하가 녹으며 바닷물과 섞이는 이유로 염분이 낮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