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태양에 흑점이 있는데 이것은 어떻게 생겼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흑점은 태양의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많이 나타납니다. 태양 표면인 광구는 쌀알무늬를 띱니다. 그런데 태양 활동으로 인해 온도가 높아지는 부분과 낮아지는 부분이 극명해지면서 흑점이 나타납니다. 흑점은 태양의 표면 온도인 6000도 보다 작은 4000도 정도가 됩니다. 주변보다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기 때문에 어둡게 보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3
0
0
대기압 측정에 수은이 이용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실험 당시 상황에서 구하기 쉽고 물보다 밀도가 큰 물질이 수은이었고, 다른 액체는 아주 높은 높이에서 1기압을 만들었기 때문에 밀도가 컸던 수은으로 측정을 시도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3
0
0
하이퍼 루프 실용성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구조물을 건설할때에는 항상 지진에 대한 위험, 내외부 압력에 대한 위험, 외부 충격에 대한 위험 등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설계하며 이를 통과해야 건축허가가 떨어집니다. 하이퍼 루프는 마찰을 최소화하여 신속한 운송이 가능하지만 실용성면에서 크게 좋은것은 아닙니다. 거대한 선로를 진공상태로 만들어야하는데, 진공상태를 유지하는 기술력이 받쳐줘야합니다. 또한 큰 문제는 하이퍼 루프를 지나는 동안 멈추는 지점이 없기 때문에 위급 상황시 대처가 어렵다는 점도 있죠. 이러한 단점 들을 해결하면서 개발된다면 실용성이 큰 기술이라고 생각합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9.03
0
0
반도체는 어떠한 분야들이 섞여서 만들어지게 된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반도체는 전기전자, 회로, 고체물리, 양자역학, 전자기학 등을 기반으로 만들어집니다. 그래서 이러한 교과과정이나 전공을 하신분들이 반도체를 개발하고 생산하는 일을 하죠.
학문 /
화학공학
22.09.03
0
0
태풍은 어디에는 오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은 태양 에너지를 많이 받는 적도부근의 바다에서 만들어집니다. 적도 부근에서 태양 에너지를 받아 물이 증발하여 상승하며 구름이 다수 만들어집니다. 만들어 질 때 물의 증발량, 바람의 정도에 따라 크기가 다양해집니다. 여름이나 가을에 적도 부근에서는 이러한 구름이 거대한 저기압 시스템으로 발달하게 되는데 이를 태풍이라고합니다. 태풍은 바람의 흐름을 타 중위도, 고위도까지 올라옵니다. 올라올때 바다 위를 지나면서 오는데 바다로부터 증발한 수증기를 머금고 세력을 키우며 올라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나 다른 나라를 강타하죠. 태풍은 육지내에서 더 이상 수증기를 공급 받지 못하기 때문에 세력이 약해지며 소멸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3
0
0
휴대폰에서 나오는 전자파는 진짜 몸에 안 좋은 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스마트폰은 마그넷이나 전자파가 나오긴 하지만 인체에 유해할 정도의 전파가 방출되지는 않습니다. 스마트폰을 제작할 때에도 안전규정을 지키며 생산하기 때문에 큰 걱정은 안하셔도 괜찮을거 같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03
0
0
지구공전주기 목성공전주기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목성이나 지구와 같은 행성이 태양을 축으로 하여 주위를 공전합니다. 이 때 공전주기의 제곱은 태양의 질량 더하기 행성의 질량의 반비례합니다. 또한 공전주기의 제곱은 행성의 공전궤도 장반경의 세제곱의 비례하죠. T^2=4 pi^2 a^3/(G(M+m)) : T는 주기, pi는 원주율, a는 장반경, G는 만유인력 상수, M은 태양 질량, m은 행성의 질량 그래서 지구의 공전주기는 365일 정도이고, 목성의 주기는 12년 정도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3
0
0
태풍이 왔을 때 새떼들이 태풍의 눈에 머무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의 눈의 경우 날씨가 맑으며 공기도 좋기 때문에 새들이 판단하기에 안전한 지대라고 착각할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3
0
0
같은 동네인데 마치 칼로 자른 것처럼 날씨가 다른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비는 먹구름에서 내립니다. 먹구름의 경우 넓게 퍼져있는 모양일때에는 질문자님께서 예상하신것과 같이 비가오는데, 소나기나 두꺼운 형태의 먹구름의 경우 비가 내리는 지역과 내리지 않는 지역의 경계가 극명합니다. 어쩔 때 보면 비현실적이라고 믿을만한 현상이기도 하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3
0
0
사해에서 사람의 몸이뜨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중력에 의해 밀도(부피당 질량)가 큰 물질과 밀도가 작은 물질이 있을 때 밀도가 큰 물질이 가라앉고 밀도가 작은 물질이 뜨게됩니다. 사해같은 경우에는 바닷속 염분의 농도가 다른 바다에 비해 굉장히 높습니다. 그리고 염분의 농도가 높아지게되면 사람의 밀도보다 크게되죠. 사해의 경우 일반바다의 밀도인 1 정도보다 20퍼센트나 큰 1.25정도 됩니다. 사람의 밀도는 보통 1보다 작습니다. 그래서 사해보다 사람의 밀도가 작기 때문에 몸이 둥둥 뜨는 이유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3
0
0
514
515
516
517
518
519
520
521
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