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달에는 사람이 살수는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일단 달에는 지구와 달리 대기가 전혀 없습니다. 대기가 없어 바람이나 대류현상도 일어나지 않아 기상현상이 전혀없죠. 그리고 달에는 물이라는 자원이 거의(?)없습니다. 사람이 살기위해선 먼저 숨을 쉬기위한 대기(산소)가 필요하고, 에너지원과 물이 필요합니다. 달에서 사람이 살기 위해서는 에너지원, 물, 공기 등 이러한 요소를 갖춰줘야합니다. 이를 갖추기 위해서는 지구에 있는 한정된 대기의 대부분을 달로 가져가야하고, 토양도 가져가야하므로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습니다. 만약 달에 거대한 밀폐된 공간을 만들어 놓고 공기를 만들고 물과 에너지원을 만든다면 사람이 살 순 있을 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3
0
0
교류 전류를 흘려주는 전지에서 전압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만약 교류회로가 단순히 저항과 교류전압만 연결되었다면, 전압이 +에서 -로 바뀌거나 -에서 +로 바뀌는 순간, 전압이 0이 되는데 이 때 전류의 흐름은 정확하게 0이 됩니다. 측정을 할 수 있으며 측정 결과 역시 전류는 0이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03
0
0
태풍이 육지를 지나면서 세력이 약화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먼저 태풍의 생성 과정을 이해하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태풍은 태양 에너지를 많이 받는 적도부근의 바다에서 만들어집니다. 적도 부근에서 태양 에너지를 받아 물이 증발하여 상승하며 구름이 다수 만들어집니다. 여름에 적도 부근에서는 이러한 구름이 거대한 저기압 시스템으로 발달하게 되는데 이를 태풍이라고합니다. 태풍은 바람의 흐름을 타 중위도, 고위도까지 올라옵니다. 올라올때 바다 위를 지나면서 오는데 바다로부터 증발한 수증기를 머금고 세력을 키우며 올라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나 다른 나라를 강타하죠. 태풍은 육지내에서 더 이상 수증기를 공급 받지 못하고, 또한 비를 내리기 때문에 세력이 약해지며 소멸합니다.즉, 정리하면 태풍의 에너지원은 수증기와 저기압인데, 육지를 지나며 더 이상 수증기를 공급받지 못하고 소멸하게됩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9.03
0
0
화성탐사선에 탑재된 MOXIE에 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MOXIE의 원리는 전기분해를 이용하여 인공 광합성 작용을 하도록 만들었습니다. 이산화탄소가 주입되면 전기분해를통해 이산화탄소를 산소와 일산화탄소로 바꾸는 원리를 사용합니다. 이때 발생한 산소를 저장하고 일산화탄소는 밖으로 배출하죠. 우리나라에서도 인공광합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3
0
0
지구의 무게는 어떻게 계산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행성이나 천체에 존재하는 물질의 양을 계산하는것은 과학과 수학을 이용하여 계산하는것이기 때문에 언제나 오차가 존재합니다. 직접 측정할때에도 오차가 존재하지만 계산에 비해 정확하죠. 하지만 행성같은 경우는 우리가 직접 측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계산을 통해 질량을 추정하는데, 완전히 정확한 값은 아닙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3
0
0
물과 에탄올, 메탄올의 끓는점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물질 // 끓는점 // 어는점물 // 100도 // 0도메탄올 // 64.7도 // -97.6도에탄올 // 78.37도 // -114.1도입니다.
학문 /
화학
22.09.03
0
0
월요일 태풍이 오는데 궁금한게 있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의 경로는 지역의 기압차, 온도차에 의한 바람의 방향 영향을 받습니다. 중위도에서는 편서풍이 불어 태풍이 동쪽으로 휘는데 항상 동쪽으로 휘는것은 아닙니다. 중위도에서는 대부분 편서풍이 불지만, 기압차에 의해 동에서 서로 바람이 불때도 있고, 북에서 남으로 바람이 불때도 존재합니다. 그래서 태풍은 바람이 부는방향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중국으로 상륙하는 경우도 있고 일본으로 휘어져 가는 경우도 존재합니다.태풍 같은 기상 현상은 기상 데이터를 기반으로하여 예측합니다. 각 지역에 풍향, 풍속, 강수량, 온도 등을 측정하는 관측장비가 있으며 여기서 관측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치모델링을 통해 비가 올지, 바람은 얼마나 어디로 불지, 온도는 어떻게 될지 예측을 합니다. 예측결과를 얻기위해서는 위치정보와 시간정보, 온도, 습도, 풍향 등 다양한 변수를 담고 있는복잡한 미분방정식을 풀어내어 해를 구함으로써 특정 위치에 특정 시간에 어떤 상태일것이라는것을 예측하는것이죠. 또한 비구름의 이동 경로와 바람이 부는 방향으로도 대략적인 예측도 가능합니다.하지만 이러한 예측이 완벽한 예측은 아닙니다. 모델링을 하였다 하더라도 현실에서 발생하는 모든 현상을 완전히 고려한것은 아니니까요. 또한 관측값을 통해 예측을 실시하기도하는데, 관측값이 온전한 값일 수도 없습니다. 관측에는 항상 오차나 오류가 존재하기 때문이죠. 이러한 이유로 완벽한 예측은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3
0
0
이전부터 궁금한게 우리 인간의 시초는 어디서부터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인류의 뿌리에 대해 현재까지도 연구가 지속되며 아직 정확하게 밝혀지지않은 부분입니다.창조론이 있고 진화론이 있습니다. 창조론은 신학사상인데 태초에 신이 인간, 동물 등을 만들었다는 이론이고, 진화론은 인류는 작은 생명체에서부터 진화해왔다라는것입니다. 진화론에 따르면 우리 인간은 영장류부터 서서히 진화해왔다고 주장합니다. 그리고 이 주장을 뒷받침하기위해 현재도 지속적인 연구를 하고있는것이죠.
학문 /
생물·생명
22.09.03
0
0
명왕성이 행성 지위를 박탈당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명왕성이 행성의 지위를 박탈당한 계기는 에리스라는 소행성을 발견하고나서부터입니다. 발견 당시 에리스는 태양 주위를 멀리서 돌고있었고 명왕성과 크기가 유사하였습니다. 그래서 국제천문연맹은 에리스를 10번째 행성으로 넣어야 하는지 의논을 시작하였죠.그러면서 명왕성을 다시 잘 관측해보니 태양주위를 돌지만 공전궤도가 찌그러져 해왕성의 공전궤도를 침범할 때도 있었으며, 명왕성이 행성으로써의 크기와 질량을 갖지 못하여 행성보다 위성에 가깝다는 사실을 알았습니다. 행성이 되기위해선 위성을 둘만한 중력이 필요하다고 정의한것입니다. 이러한 이유들로 명왕성이 행성 자격을 박탈당하게되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3
0
0
태풍의 이름은 어떻게 짖는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 이름은 그 국가에 영향을 미칠만한 태풍에 이름을 붙입니다. 그래서 우리나라를 지난 태풍들의 이름은 우리에게 친숙한 이름들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3
0
0
514
515
516
517
518
519
520
521
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