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자석과 핸드폰. 자석과 전자기기가 같이 있으면 안좋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자석을 전자제품과 함께 두면 좋지 않습니다. 자석은 전류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으며, 빛을 휘게 할 수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전류와 빛등과 관련된 전자제품에 자석을 두면 전자제품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수도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01
0
0
태풍의 경로가 갑자기 이탈하게 되는 원인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의 경로는 바람의 영향을 받습니다. 중위도에서는 편서풍이 불어 태풍이 동쪽으로 휘는데 항상 동쪽으로 휘는것은 아닙니다. 중위도에서는 대부분 편서풍이 불지만, 기압차에 의햐 동에서 서로 바람이 불때도 있고, 북에서 남으로 바람이 불때도 존재합니다. 그래서 태풍은 바람이 부는방향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중국으로 상륙하는 경우도 있고 일본으로 휘어져 가는 경우도 존재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1
0
0
하품을 하면 눈물이 나오는 이유가 궁금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얼굴에 있는 눈, 코, 잎, 귀의 신경은 서로 연결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하품을 하게 될 경우 눈물샘을 자극하여 눈물이 나오는 것이죠. 코피어싱도 마찬가지로 코와 눈의 신경이 연결되어있어 눈물이 나는것입니다. 감정에 의해 슬퍼서 눈물을 흘릴때 코끝이 찡해지는 이유도 같은 이유입니다.
학문 /
물리
22.09.01
0
0
착시 현상이 일어나는 원인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뇌가 상황을 인지하는데 이전에 겪었던 당연했던 경험들 때문입니다. 예를들어 에스컬레이터에 탄채로 바닥을 보고 멍하니 있으면 가끔 바닥이 뒤로 움직이는거같은 느낌이 들때가 있습니다. 이는 사람이 가만히 있을 때 자신은 멈춰있고 주변이 움직인다라는 경험이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착각이죠. 그래서 실제로 에스컬레이터를 탄 나 자신이 움직이지만 나의 발은 멈춰있기 때문에 나는 정지해있고 세상이 움직인다라는 착각을 하는것입니다.자동차 바퀴를 볼때의 착시는 눈이 인지할 수 있는 시간간격이 정해져있습니다. 우리눈은 깜빡이는 물체를 볼때 1초에 500~1000번정도의 깜빡이는 물체를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이 말은 초당 특정 수 이상의 깜빡임은 감지하지 못한다는 의미입니다. 그리고 돌아가는 사물을 볼 때 사물의 순간순간을 인식할 수 있는데, 이 때 인식되는 사물을 나열했을 때 반시계 방향의 회전 양상을 띠고있으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거처럼 보입니다. 또한 인식되는 사물을 나열했을 때 시계 방향의 회전 양상을 띠고 있으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거처럼 보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바퀴를 보게 되면 순방향으로 돌다가 갑자기 역방향으로 도는거처럼 느끼는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1
0
0
항성과 행성의 차이를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항성은 스스로 빛을 낼 수 있는 별입니다. 보통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고있으며 기체로 이뤄져있죠. 핵융합을 통해 에너지를 만들고 빛을 발합니다.행성은 스스로 빛을 낼 수 없는 것입니다. 별이 식거나 죽어버린것이 아닌 애초부터 무거운 원소들로 구성되어 빛을 내지 못하는 것을 의미하죠. 또한 행성은 주로 항성을 중심으로 공전하고있으며, 크기가 커 위성도 가질 수 있어야 행성으로 취급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1
0
0
슈뢰딩거의 고양이 실험은 무엇을 설명하기 위해 고안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슈뢰딩거 고양이를 통해 양자역학에서 기술하는 물리적인 상태와 관측 행위를 설명하려고 했던것입니다. 슈뢰딩거 고양이는 이론이 아닌 사고 실험입니다. 상자속에 고양이가 있는데, 버튼을 누를 경우 50퍼의 확률로 독가스가 살포되고 50퍼의 확률로 고양이가 좋아하는 간식을 내놓게 됩니다. 만약 우리가 버튼을 눌렀을 경우 고양이는 살아 있을까요 죽어있을까요?. 기존의 물리학에서 말하는 상태는 관측을 통해 알 수 있으며 명확한 상태입니다. 죽었으면 죽었다. 살았으면 살았다. 라고 명확하게 말을할 수 있죠. 하지만 양자역학에서의 관측은 다릅니다. 양자역학은 원자, 그보다 작은 전자와 원자핵 등의 운동과 상태를 기술하기 위해 만든 이론입니다. 그리고 전자와 같은 입자를 관측하기위해서는 강한 빛을 이용하여 관측해야하는데, 이러한 행위는 전자의 상태를 바꿉니다. 정확한 관측이 어렵죠. 그래서 양자역학에서는 확률적인 해석을 시도합니다. 이 확률적인 해석은 기존의 물리학과는 다르고 많은 학자들이 받아들이기 어려워했죠. 그래서 슈뢰딩거의 고양이를 예시로 설명을 시도하려고했습니다. 고양이의 상태는 살아 있으면서도 죽었다 라고 표현을 하죠. 50퍼의 확률로 살아있으며, 50퍼의 확률로 죽어있죠. 이렇게 모호해 보이는 물리 이론이지만 양자역학은 기존에 물리학이 설명하지 못한 현상들을 많이 설명해냈으며 현재까지 부정되지않고있습니다. 정리하면 슈뢰딩거의 고양이는 양자역학을 이해시키기 위한 사고실험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01
0
0
내연기관 자동차에 기어가 있는 이유에 대해서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기어가 없어도 내연기관 자동차는 가속, 감속이 가능합니다. 내연기관에 기어가 필요한 이유는 내연기관이 힘을 내기까지 회전수를 서서히 올려주어야하기 때문입니다. 내연기관은 힘을 단시간에 급격하게 내기 어려운 형태로 되어있습니다. 그래서 기어를 통해 회전수를 서서히 올려주는 이유죠. 내연기관에 기어가 없다면, 기어가 없을뿐 회전수를 올려 힘을 내거나 힘을 줄이는 원리는 같습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09.01
0
0
태양의 온도는 얼마나 높은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의 중심부의 온도는 약 1500만K 정도이며, 표면의 온도는 6000도 정도입니다. 인류가 태양으로 우주선을 보낸다면, 현재의 기술로는 표면에도 도달 못합니다. 태양 주변의 온도가 표면보다 높기 때문이죠. 또한 아직 태양과 같은 뜨거운 열을 견딜만한 기술력도 갖추고 있지 않습니다. 방사능, 태양풍에 대해서도 피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1
0
0
양자역학이 정확하게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양자역학은 원자단위에서 발생하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것입니다.원자는 원자핵과 전자로 이루어져있습니다. 그런데 전자가 원자핵 주변에 어떤 형태로 어떻게 운동하고 있는지 설명하고 싶다고 생각해보죠.흔히 잘 알고있는 예시로 사과가 땅으로 떨어진다는 중력을 받아 사과가 땅으로 떨어진다를 설명할 수 있죠. 이것이 고전역학입니다. 무거운 짐을 들기위해선 물체의 중력만큼의 힘이 필요하죠.하지만 원자 세계에서는 원자핵 주변으로 전자가 돌고있다를 기술하기위해서는 중력, 만유인력으로 설명이 되지 않습니다. 양자역학으로 설명이 가능하죠.양자역학이 인간의 심리와는 연관 되있지 않고 원자, 분자, 초기 우주 및 블랙홀, 반도체 등과 관련이 깊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01
0
0
데자뷰 현상에 대해서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데자뷰는 양쪽 눈의 시각정보가 특정 시간차를 두고 뇌에 전달되면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우리 뇌는 0.025초 정도의 시간차보다 큰 사건에 대해 별개로 일어나는 사건이라고 간주합니다. 그런데, 아주 가끔 우리 눈 양쪽에 들어온 상황이 0.025초 정도 이상의 차이로 신호전달이 될 경우 양쪽 눈에서 얻어진 정보를 별개로 처리하여 데자뷰를 느끼죠. 예를 들어 왼쪽눈으로 먼저 상황을 받아들이고 0.025초 이상 뒤에 오른쪽 눈으로 상황을 받아들이면 왼쪽 눈에서 얻어진 상황을 과거에 체험했던 상황이라고 간주하고 오른쪽 눈으로 받아들인 상황과 함께 데자뷰를 느끼는 것입니다. 우리 눈은 항상 거의 동시에 상황을 인지하여 뇌로 전달하지만 아주 가끔씩 0.025초 정도 이상의 차이로 신호를 전달합니다. 이 때문에 데자뷰를 가끔 느낄 수 있는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1
0
0
523
524
525
526
527
528
529
530
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