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시 현상이 일어나는 원인이 궁금합니다
자동차 바퀴가 돌아가는데 계속 보고있다보면 거꾸로 돌아가는 착시현상을 느끼는 경험을 많이 하는데 이런 착시 현상이 일어나는 원인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시각 자극을 인지하는 과정에서 주변의 다른 정보에 영향을 받아 원래의 사물에 대해 시각적인 착각이 발생하는 현상, 즉 사물이나 특정 상황을 있는 그대로 보지 못하는 것을 말하며 이러한 착시는 크게 세 가지로 나뉩니다.
시각적 착시 : 사물의 형상을 받아들이면서 착각이 일어나는 현상.
물리적 착시 : 명암, 기울기, 색상, 움직임 등 특정한 자극을 과도하게 수용하면서 발생하는 현상.
인지적 착시 : 눈으로 받아들인 자극(주로 공간)을 뇌가 무의식적으로 추론하여 받아들이는 현상.
안녕하세요. 이종재 과학전문가입니다.
착시현상은 눈으로 한물체를 보게 되었는데 이때 연속적으로 다른 정보가 계속 들어오게 되어 그정보가 외곡되어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착시란 '눈으로 들어온 정보가 착각되어 외곡 되게 인식 된다.'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뇌가 상황을 인지하는데 이전에 겪었던 당연했던 경험들 때문입니다. 예를들어 에스컬레이터에 탄채로 바닥을 보고 멍하니 있으면 가끔 바닥이 뒤로 움직이는거같은 느낌이 들때가 있습니다. 이는 사람이 가만히 있을 때 자신은 멈춰있고 주변이 움직인다라는 경험이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착각이죠. 그래서 실제로 에스컬레이터를 탄 나 자신이 움직이지만 나의 발은 멈춰있기 때문에 나는 정지해있고 세상이 움직인다라는 착각을 하는것입니다.
자동차 바퀴를 볼때의 착시는 눈이 인지할 수 있는 시간간격이 정해져있습니다. 우리눈은 깜빡이는 물체를 볼때 1초에 500~1000번정도의 깜빡이는 물체를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이 말은 초당 특정 수 이상의 깜빡임은 감지하지 못한다는 의미입니다. 그리고 돌아가는 사물을 볼 때 사물의 순간순간을 인식할 수 있는데, 이 때 인식되는 사물을 나열했을 때 반시계 방향의 회전 양상을 띠고있으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거처럼 보입니다. 또한 인식되는 사물을 나열했을 때 시계 방향의 회전 양상을 띠고 있으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거처럼 보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바퀴를 보게 되면 순방향으로 돌다가 갑자기 역방향으로 도는거처럼 느끼는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착시는 뇌의 진화에 따른 현상이라고 합니다.
어떠한 물체를 보면 잔상이 남는데 물체가 사라지더라도 잔상에 개인적 생각을 합쳐서 미래를 상상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입니다.
자동차 바퀴가 거꾸로 돌아가는 현상은 스트로보 효과입니다.
원인은 사람의 눈은 변화하는 순간을 감지할 수 있는 능력이 많이 떨어집니다.
이런상황에서 바퀴가 일정 속도가 되면 바퀴가 그 상태가 그대로 있다고 착각하게 되고,
이 회전을 유지하면 멈추거나 반대로 돌아가는 상태로 인식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