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한반도에 영향을 주는 태풍이 일본쪽으로 주로 향하거나..중국쪽으로 가는 원인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의 경로는 바람의 영향을 받습니다. 중위도에서는 편서풍이 불어 태풍이 동쪽으로 휘는데 항상 동쪽으로 휘는것은 아닙니다. 중위도에서는 대부분 편서풍이 불지만, 기압차에 의햐 동에서 서로 바람이 불때도 있고, 북에서 남으로 바람이 불때도 존재합니다. 그래서 태풍은 바람이 부는방향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중국으로 상륙하는 경우도 있고 일본으로 휘어져 가는 경우도 존재합니다.
학문 /
화학
22.09.01
0
0
태양광집열판에 쌓이는 먼지가 미치는 영향은 어느정도입니까?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먼지가 쌓이면 햇빛에 노출되는 부위가 줄어들어 효율이 떨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래서 태양광집열판의 태양에너지를 받는 부위를 깨끗하게 관리해주는것이 좋습니다.
학문 /
화학
22.09.01
0
0
일기예보는 어떻게 알려주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기상 데이터를 기반으로하여 예측합니다. 각 지역에 풍향, 풍속, 강수량, 온도 등을 측정하는 관측장비가 있으며 여기서 관측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치모델링을 통해 비가 올지, 바람은 얼마나 어디로 불지, 온도는 어떻게 될지 예측을 합니다. 예측결과를 얻기위해서는 위치정보와 시간정보, 온도, 습도, 풍향 등 다양한 변수를 담고 있는복잡한 미분방정식을 풀어내어 해를 구함으로써 특정 위치에 특정 시간에 어떤 상태일것이라는것을 예측하는것이죠. 또한 비구름의 이동 경로와 바람이 부는 방향으로도 대략적인 예측도 가능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1
0
0
풍력 발전기의 날개가 도는 방향이 바뀔수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풍력 발전기의 회전 방향과 상관없이 돌기만 하면 전기를 모을 수 있습니다.내부 발전기는 자석과 코일로 이루어져 있어, 자석이 코일 주변으로 회전하면서 코일에서 유도 전류가 발생하는데 이를 모아 전기로 사용하는 원리입니다. 이 자석의 회전방향과 상관없이 코일에 전류를 모을 수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2.09.01
0
0
기상이변으로 중동사막에 폭우가 내리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만약 사막에도 지속적으로 비가 내린다면, 사막은 더 이상 사막이 되지 않고 우림이 될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1
0
0
비오는날 산위에 연기처럼 하늘로 올라가는건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비가오고난 뒤 습해진 공기와 풀잎이나 나뭇잎에서 물의 증발이 일어납니다. 증발된 수증기가 산을 오르는 기류를 만나 천천히 올라가게 되면 팽창되고 기온이 떨어지게되죠. 그러면서 수증기는 물로 변하게 되는데 이때 안개나 구름이 되는것입니다. 그래서 습한날 산에 보면 작은 안개와 구름이 많이 보이는 이유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1
0
0
태풍11호가 매미급으로 강력하다고하는데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은 태양 에너지를 많이 받는 적도부근의 바다에서 만들어집니다. 적도 부근에서 태양 에너지를 받아 물이 증발하여 상승하며 구름이 다수 만들어집니다. 여름에 적도 부근에서는 이러한 구름이 거대한 저기압 시스템으로 발달하게 되는데 이를 태풍이라고합니다. 태풍은 바람의 흐름을 타 중위도, 고위도까지 올라옵니다. 올라올때 바다 위를 지나면서 오는데 바다로부터 증발한 수증기를 머금고 세력을 키우며 올라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나 다른 나라를 강타하죠. 태풍은 육지내에서 더 이상 수증기를 공급 받지 못하기 때문에 세력이 약해지며 소멸합니다.기상청에서는 태풍 11호 힌남노가 우리나라를 지날것으로 예측하고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1
0
1
아이스 커피를 마시면 텀블러 밖으로 물이 바닥에 고이는데요, 왜 그런거에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공기중에는 수증기가 포함되어있습니다. 수증기는 물이 증발하여 물이 기체상태로 존재하는것이죠. 그런데 찬물을 컵에 떠놓게 되면 컵은 차가운 상태고, 컵 주변에 공기에 접촉하는 부분에서 열교환이 일어납니다. 컵은 차갑기 때문에 컵이 주변 공기로부터 열을 훔쳐오게되죠. 그러면 공기중에 있던 수증기가 컵과 접촉하면서 열을 빼앗깁니다. 수증기가 열을 뺏기면 온도가 떨어지게 되고 더 이상 기체로 존재하지않고 물이되죠. 그래서 컵주변에서 수증기들이 전부 물로 변하여 물방울이 송골송골 맺히는 이유입니다.여름에 차를 타고가며 에어컨을 켰을 때, 히터를 켰을 때 창문에 습기가 맺히는 이유도 같은 이유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1
0
0
바이러스와 세균의 다른점이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세균 : 세포막, 세포질, 세포벽등으로 구성되며, 자체적으로 증식이 가능합니다.바이러스 : DNA, RNA가 단백질에 의해 둘러쌓여있으며, 자체적으로 증식이 불가하고 숙주가 있어야 가능합니다.바이러스가 잠복기를 갖는 이유는 숙주내에서 증식하여 자기 몸을 복제하고 있는 기간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바이러스가 증식하는 기간에는 숙주 밖으로 나가지 못하며 바이러스의 감염이 타인에게 퍼지지 않는 기간입니다. 또한, 잠복기에는 바이러스가 면역세포와 싸우며 증식하는데 면역력이 강한사람일수록 잠복기가 길고 면역력이 약한 사람일수록 잠복기가 짧은 특징이 있습니다. 바이러스의 증식이 끝나면 숙주 밖으로 나가기 위해 기침이 나도록합니다. 기침을 통해 외부로 나가 다른 숙주로 옮겨가 다시 증식을 시작하죠.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며 바이러스의 감염이 확산되는것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01
0
1
일자별 조수간만의 차이가 틀린이유가 궁금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조수간만의 차는 태양, 달의 만유인력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지구는 태양주위를 공전하고 달은 지구 주위를 공전합니다. 그리고 지구는 자전을 하고 있죠. 그래서 지구가 자전하면서 우리나라가 달과 가까워지거나 태양과 가까운 위치에 놓일때가 있습니다. 이때 만유인력이 작용해 해수면이 상승하고, 태양이나 달과 가장 멀어지는 시기에 해수면이 하강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조수간만의 차가 나타나죠.이러한 이유로 태양-달-지구 순으로 놓일때와 태양-지구-달 순으로 놓일때 조수간만의 차이가 커집니다.삭, 보름이 아닌 경우에는 태양 지구 달이 놓인 위치 관계가 나란하지 않고 삐둟려있기 때문에 강한 만유인력을 받기 어렵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1
0
0
523
524
525
526
527
528
529
530
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