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안경 시력 맞추는 원리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도수의 조정은 시력 교정시 얼마나 멀리까지 보이고, 얼마나 가까이까지 볼 수 있는지 측정하여 렌즈(안경)의 곡률을 조절하는 것입니다.안경에 사용되는 렌즈에는 볼록렌즈와 오목렌즈가 있습니다.볼록렌즈는 빛을 모아주며 상을 가까이 맺히게 하기 때문에, 멀리 있는 물체가 잘 보이고 가까이 있는 물체가 안보일 경우 볼록렌즈로 교정을 합니다.오목렌즈는 빛을 퍼뜨리는 성질로 상을 멀리 맺히게 하기 때문에, 가까이 있는 물체가 잘 보이고 멀리 있는 물체가 안보일 경우 오목렌즈로 교정을 합니다.안경과 렌즈에 이러한 오목렌즈, 볼록렌즈가 들어가게 됩니다. 렌즈의 경우 얇은 막이지만 막 중앙 부분에 굴곡을 넣어 볼록렌즈, 오목렌즈 역할을 하게 합니다. 이 때 렌즈의 곡률을 조절함으로써 빛이 모아지는 초점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데, 이 초점의 위치에 따라 도수가 나뉘는 것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7.23
0
0
밀가루반죽이 부풀어오르는 건 무슨 원리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발효 과정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발효는 효모(미생물)가 음식을 분해하거나 다른 물질을 생성시키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 과정에서 효모가 발생시키는 이산화탄소로 인해 팽팽히 부풀어 오르는 것이죠.
학문 /
화학
23.07.23
0
0
지구가 자전을 멈추면 어떤 일이 일어나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그럴일은 없겠지만 지구가 자전하지 않는다면, 태양의 반대면은 굉장히 추워지고 다른 한쪽면은 굉장히 뜨거워질 것입니다. 또한, 자전을 멈추게 되면 지구의 자기장이 약해지거나 거의 사라질 수 있습니다. 그러면 외부에서 날아오는 우주선(우주에서 날아오는 입자) 및 방사선 등을 막아주지 못해 노출되 암이나 기타 다른 병에 걸릴 확률이 높아집니다. 또한 이상 기후가 지속되며 점점 생태계가 파괴되 나갈 것입니다. 결국 서서히 죽어가게 될 수있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23
0
0
드라이 아이스가 피부게 닿으면 화상을 입게되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사실 동상이 맞습니다. 드라이아이스는 이산화탄소가 고체상태로 존재하는것입니다. 마치 물이 얼어있는 상태와 같습니다. 드라이아이스는 이산화탄소가 고체가 되는점인 영하 78도 이하의 온도로 존재합니다. 즉, 만지면 굉장히 차가운 드라이아이스에 피부에 있는 열을 빼앗겨 동상을 입게되죠. 그런데, 이로인한 흉터는 피부조직을 파괴하므로 마치 화상과 같은 통증과 상처를 남기기 때문에 화상이라고 표현하는 것입니다.
학문 /
화학
23.07.23
0
0
수학적귀납법에 대해서 설명해주실 수 있으신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수학적 귀납법은 n=k인 일반항이 맞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입니다.일단, n=1이나 n=2, n=3에 대해 계산을 해보고 일반식이 맞는지 확인해봅니다. 사실 n=1, n=2, n=3 까지 해보고 일반식을 직관적으로 생각하는게 올바른 과정이죠.가령 Sn=1+3+5+...+2n-1의 형태를 찾기위해n=1일 때 S1=1n=2일 때 S2=4n=3일 때 S3=9로 n=k일 때 왠지 k^2일 것 같은 예감이 들어 귀납법을 시작하는 것이죠.그래서 n=k일 때 k^2으로 가정을 하는 것입니다.그리고 가정한 것이 맞다면, n=k+1일 때에도, n=k+2일 때에도 맞아 떨어져야하며 맞다는 것을 보여주게 됨으로써 가정이 맞다는 것을 뒷받침하는 것입니다.n=(k+1)일 때, Sk+1=(k+1)^2으로, k^2+2k+1입니다.그런데,Sk=k^2으로 가정하였고, ak+1=2k+1임을 알고 있습니다.즉, Sk+1=Sk+2k+1=k^2+2k+1임을 보일 수 있어Sk=k^2으로 가정한것을 뒷받침하는 것이죠.즉, Sk=k^2이 확실하다는 것입니다.
학문 /
물리
23.07.23
0
2
잠수함이 물속으로 잠수할 수 있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잠수함의 원리는 물을 채우고 빼는 과정을 통해 가라앉았다 수면위로 올라왔다 합니다. 잠수함 내에 부력을 조절하는 공간이 있는데, 이부분이 공기로 차있으면 뜨고, 물을 채우면 가라앉게됩니다. 비교적 간단한 원리를 이용해 부력을 조절하죠.
학문 /
전기·전자
23.07.23
0
0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차이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날로그의 경우 연속적인 시스템으로 역학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아날로그 시계, 뻐꾸기 시계등이 아날로그라고 보시면 됩니다. 톱니를 이용한 체계죠.디지털의 경우 전기적인 신호로 0과 1로 구분하여 전류를 흘려준다, 흘려주지 않는다로 판단하여 시스템을 만든 것이죠. 전자시계, 스마트폰, 컴퓨터 등 다양한 전자기기에 해당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7.23
0
0
지렁이는 왜 밖으로 나오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지렁이는 보통 흙, 토양 밑에서 양분을 먹으며 살아갑니다. 그런데 비가오게되면 흙과 토양이 젖게 되어 지렁이가 숨을 쉬지 못하게 되죠. 그래서 지렁이는 비가 오거나 습함을 감지하면 땅 밖으로 나오게 되는 것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7.23
0
0
기후 변화가 지구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온난화나 빙하기 등의 기후변화는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온도의 변화로 인해 기존에 잘 적응하여 살아가던 동식물들의 죽음이나 멸종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지역에 존재하는 동식물의 경우 온난화나 빙하기에 맞서 적응하기 위해 다른 지역으로 유입돼 생태계의 교란을 이끌 수 있으며 이 또한 특정 종의 멸종으로 이어질 수 있죠. 물론 심해 생물이나 동물의 경우 기후변화에 민감하게 작용안할 수도 있는 종이 있어 견디고 사는 경우도 존재합니다. 또한, 지구상에서도 기후변화에 잘 적응하여 살 수 있는 종도 있을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23
0
0
북극이나 남극 등 기후변화로 인해 얼음이 많이 녹았다고 하는데..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북극이나 남극의 빙하가 줄어드는 것을 측정하는 것은 쉽진 않습니다.측정 방법으로는 위성 관측에 의한 측정과 그래비티 미터를 이용한 측벙 방법 등이 있습니다. 위성사진을 통해 빙하의 높낮이에 대한 정보를 얻어 녹은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또한 그래비티 미터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는 지형의 변화 정도를 감지할 수 있는 장비입니다. 굉장히 민감한 장치로 지변 지형의 변화가 중력 분포의 변화로 나타나게끔해줍니다. 빙하가 녹아 지형이 변화한 것을 그래비티 미터를 사용하여 측정함으로써 녹은 정도를 파악하는 방법이 존재하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23
0
0
46
47
48
49
50
51
52
53
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