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수은중독이라고 있는데 정말 중독은 아니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수은 중독은 우리가 흔히 아는 담배, 술, 게임 중독과는 다른 중독입니다. 피부를 뚫고 들어오지는 않고 수은이 증발하며 호흡기를 통해 들어옵니다. 수은 중독이되면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주어 오한, 구토, 발열, 호흡곤란, 두통 등 증상이 나타날수있습니다.
학문 /
화학
22.08.29
0
0
지구에 자외선이 강해진다면 어떤일이 생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자외선이 강해지면 피부의 멜라닌세포를 죽이고, 피부껍질이 벗겨질수도 있습니다. 또한 심한 경우에는 피부암에 걸릴수도 있죠. 좋은점은 태양에너지가 강해진것이기 때문에 태양열 발전으로 얻는 에너지가 많아질 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29
0
1
비저항이 왜 변하지 않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사실 비저항이 물질의 고유한 성질이기는 하지만 온도가 변할 때 변하긴 합니다. 저항 R=ρ l/S (ρ=비저항, l=길이, S=단면적) 입니다. 여기서 만약 길이만 변화해준다면 R=ρ l/S l 이부분만 변하므로 비저항의 변화는 없습니다. 길이가 길어지면 저항이 커지고, 길이가 줄면 저항이 줄어듭니다.
학문 /
화학
22.08.29
0
0
비누성분중에 기름기제거하는역할은 계면활성제가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계면활성제 맞습니다. 베이킹 파우더가 기름기 제거에 더 탁월한 효과를 보실 수 있습니다.
학문 /
화학공학
22.08.29
0
0
대류현상이 생기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먼저 온도라는 개념을 이해하시면 좋습니다. 온도라는것은 정확한 개념은 입자, 분자들의 평균 운동에너지입니다. 기체, 액체, 고체는 분자들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이 분자들이 얼마나 활발하게 움직이는지가 온도라고 생각하시면됩니다. 언뜻봐도 기체가 가장 활발하고 그다음 액체, 고체 순입니다. 우리가 물을 끓게되면 수증기(기체)가 되죠. 온도가 가장 높은 상태입니다. 그리고 물을 얼리면 얼음(고체)이 되죠. 온도가 가장 낮은 상태입니다.본론으로 돌아와 뜨거운 공기는 차가운 공기보다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그 말은 활발하게 움직이게 되면 분자 사이 간격이 멀어지게 되는것이죠. 그리고 상대적으로 차가운 공기는 뜨거운 공기보다 덜 활발합니다. 분자 사이 간격이 좁습니다. 그러면 분자들이 서로 붙어있는 경우가 분자들이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보다 밀도가 크고 무거워집니다. 그래서 중력에 의해 뜨거운 공기는 상승하고 찬공기는 하강하죠.우리 지면은 지열에의해 낮동안 뜨겁습니다. 하늘로 갈 수록 기온이 떨어지죠. 그러면 지면과 맞닿은 공기는 뜨겁게 달궈지고 하늘에 있는 공기는 차가워집니다. 뜨겁게 달궈진 공기는 밀도가 작아져 하늘로 오르고 하늘에 있는 찬공기는 지면으로 내려옵니다. 또 찬공기가 달궈지고, 뜨거운 공기는 차가운 하늘에서 식어 내려옵니다. 이를 반복하는 것이 대류현상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29
0
0
소주 맥주등의 알콜주류의 결빙온도를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소주나 맥주 등 주류 속 알코올, 에탄올의 어는점은 -100도를 넘어섭니다. 또한 소주, 맥주의 도수에 따라 알코올 농도가 다른데 이 농도와 물, 기타 첨가물을 고려하여 결빙온도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소주의 결빙 온도는 대략 -14~17도 정도로 물보다 낮습니다. 다른 주류 역시 물보다 어는점이 낮습니다.
학문 /
화학
22.08.29
0
0
전자 레인지의 살균효과가 궁금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전자레인지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물 분자를 진동시키는 원리로 음식을 데우게 됩니다. 전자레이지로 음식을 데우게 되면 모든 부분이 데워지는 것이아닌 마이크로파가 세게 지나는 특정부분들이 데워집니다. 그래서 전자레이지안에 회전판이 있는데 회전하여 최대한 많은 부분이 마이크로파와 닿게하기 위해서입니다. 음식물의 부패를 막기위한것은 미생물을 제거하는것인데, 앞서 설명드린거처럼 미생물이 마이크로파에 닿는 부분에 위치해야하고 모든 미생물을 제거해야합니다. 하지만 이는 사실상 거의 불가능한일입니다. 음식물의 부패를 막기위해서 끓이거나 냉장, 냉동 보관이 훨씬 더 좋은 방법일듯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8.29
0
0
토네이도가 생기는 원인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토네이도는 기체나 유체의 흐름 중 난류에 의해 생길 수 있습니다. 보통 우리 주변에서도 난류가 흔히 발생하지만 상승기류와 강한 바람을 만나지 않는 이상 토네이도가 쉽게 생기지 않습니다. 미국에서는 강한 바람이 부는 상황에서 난류가 발생해 상승기류를 거대한 토네이도가 자주 생기죠. 우리나라는 상승기류는 있지만 바람이 강하지 않아 토네이도가 거의 발생 안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29
0
0
체온이 높을수록 감기에 안걸린다는데 무슨원리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체온이 높다고 감기에 안걸리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체온이 낮을 경우에는 면역력이 약해져 감기 바이러스에 취약해 감기에 걸리기가 쉽죠. 체온이 높더라도 바이러스에 노출되면 감기에 걸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8.29
0
0
달이 없어지면 지구는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달이 지구에게서 조금씩 멀어지고 있지만, 이는 자연의 법칙에 따른 움직임이고 우리가 할 수 있는건 없습니다. 또한 달이 없어지기까지의 정확한 시간은 추정이 힘들며, 현재나 미래에도 달만큼 큰 인공적인 구조물을 개발하기엔 힘들듯합니다. 달 만큼의 구조물을 만들기 위해선 그 크기 만큼의 재료를 사용해야하는데, 지구의 일부를 떼어내야 가능한 일입니다. 만약 달이 없고 지구가 존재한다면 밤이 아주 캄캄할 것입니다. 달은 생각보다 밤을 밝게 해주기 때문이죠. 대신 별들이 더 빛나 보일 겁니다. 또한 조수의 힘이 약해져 밀물 썰물의 경계가 모호해 질 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29
0
0
532
533
534
535
536
537
538
539
5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