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밤에 유난히 공기?대기가 잘 느껴지는 이유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밤이나 새벽에는 지면의 온도가 떨어져서 공기 밀도가 높은 상태입니다.그래서 밤이나 새벽에 밤공기, 새벽공기를 잘느낄수있는 이유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21
0
0
소닉붐은 왜 생기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소닉붐은 음속을 초과하는 속력으로 비행을 하거나 움직이면 발생합니다. 물체가 음속보다 빠르게 되면 물체에서 발생하는 소리가 물체보다 뒤쳐지게됩니다. 이 때 음파가 물체 뒤쪽으로 전파되어 나가지못하고 압축되어 공기에 압축을 가합니다. 공기가 압축되면 수증기가 물로 변하게되고 구름처럼 형성이 됩니다. 이를 소닉붐이라고 합니다. 소닉붐은 원뿔형태로 형성되는데 원뿔형태의 각도를 측정함으로써 물체의 속력을 알아낼 수도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8.21
0
0
스케이트 날이 좁은 대신 마찰로 얼음에 잘 서있을 수 있다면 스케이팅처럼 잘 미끄러질 수 있는 이유는 또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얼음위에 잘 서 있고 싶다면 표면이 넓고 거친 재질의 신발을 시는게 가장 좋습니다. 마찰이 가장 크기 때문이죠. 스케이트날로 얼음위에 서 있을 수 있는 이유는 중심을 잡고 있기 때문이고, 날카로운 날은 얼음을 녹게하여 흠을 만들기 때문입니다. 날이 날카로워 얼음을 녹게하는데 이는 스케이트가 잘 미끄러질 수 있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날과 얼음사이에 물이 고이게 하여 마찰력을 최소화 하죠.
학문 /
물리
22.08.21
0
0
비행운 그리는 비행기는 어떤 항공기?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비행운은 하늘에 차가운 공기가 비행기 엔진을 통과하면서 만들어 집니다. 일반 여객기에도 비행기 엔진이 있기 때문에 비행운이 만들어집니다.찬공기가 비행기 엔진을 통과하면서 비행기 엔진의 뜨거운 열기와 마주합니다. 그리고 엔진을 통과하며 찬공기의 수증기가 물이 되고, 이 물이 배출되면서 구름과 같이 만들어 지는데 이를 비행운이라고합니다. 또한 비행운은 습도가 높은 날에 잘 나타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21
0
0
모기 물리고 붓는 정도 차이는 어떻게 생기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모기가 피를 빨려고 물때 지방조직을 녹이는 성분과 히루딘이라는 성분을 내보내면서 피를 빱니다.우리 몸에서는 외부에서 들어온 모기의 타액을 이물질로 인식하고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면역반응이 일어나는데, 이때 가려움을 유발하는 히스타민이 함께 분비 된다. 히스타민은 혈관을 확장시키고 혈관 투과성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가려움증과 함께 붓고 빨갛게 됩니다. 모기의 종류에 따라 분비되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종류별로 붓기다 다릅니다. 또한, 같은 종의 모기라고해도 개인별로 반응하는 정도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심한 경우는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수도있습니다. 피를 많이 빠는것보다, 모기가 내놓는 타액의 양에 따라 붓기의 정도가 다르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학문 /
화학
22.08.21
0
0
암모니아 가스는 공기중에서 가라앉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암모니아 밀도는 0.86kg/m^3 정도로 공기보다 작습니다. 그래서 공기 위쪽으로 상승합니다.
학문 /
화학
22.08.21
0
0
고압 전력선의 윗전선에 흰새과 빨간색의 공모양의 물체가 달려 있는데 어떤 용도 인가요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흰색과 빨간색 공모양의 물체는 항공 비행에 장애가 되는 물체가 있다는 것을 표시하기위해 설치해 둔것입니다.흰색과 빨간색으로 나뉘는 것은 흰색은 일반 가공지선에 표시, 빨간색은 광복합 가공지선에 표시해둔 것입니다.일반 가공지선은 낙뢰로부터 보호하는 선입니다. 낙뢰로부터 보호하고, 기존 가공지선의 기능에 광섬유를 포함, 통신 기능을 추가한선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8.21
0
0
우주의 끝은 과연 어디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주 흥미로운 질문입니다! 우주의 끝을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입니다. 인류의 호기심이고 숙제(?)입니다. 우주의 끝에는 아무것도 없다라는 주장도 있으며, 그 밖을 넘어 다른 우주가 있다라는 주장도 있습니다. 아직까지는 상상의 영역이죠. 우주의 끝에서 오는 빛을 관측하여 조사하는 연구는 끊임없이 이뤄지고 있지만 그 밖의 영역에 대해서는 미지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21
0
0
모기를 멸종 안시키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한 개체를 멸종시키기가 아주 쉬울수도 있지만 어려운 점도 많습니다. 모기나 바퀴벌레 같이 사람들에게 해를 끼치는 생물을 없애기 위해 어디에 서식하는지 정확하게 알아야합니다. 하지만 이를 알기란 쉽지않고 전 세계 모든곳을 뒤져가며 찾아야하는 수고로움이 있습니다. 만약 모든 수를 파악하고 멸종을 시킬수있다고 치고 멸종을 시킨다고한다면 인간에게 해는 안끼치겠지만,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는 알수가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함부로 멸종시킬수도 없는 일이죠.
학문 /
생물·생명
22.08.21
0
0
헬리코박터가 안좋은 왜 안좋은 균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헬리코박터균은 세균입니다. 주로 산성액이 있는 위장 내에 기생하며 이 산성을 중화시키는 역할을 하기도합니다. 헬리코박터균에 감염되면 위벽에 염증이 생길 수 있으며, 소화불량이나 복통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8.21
0
0
568
569
570
571
572
573
5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