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의 끝은 과연 어디일까요?
어릴때부터 항상 궁금했던 사항인데 과연 우주에도
끝이 있을까? 과연 끝이 있다면 그 끝은 어디일까요
그리고 우주의 끝 다음에는 또다른 우주가 존재할것인지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아주 흥미로운 질문입니다! 우주의 끝을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입니다. 인류의 호기심이고 숙제(?)입니다. 우주의 끝에는 아무것도 없다라는 주장도 있으며, 그 밖을 넘어 다른 우주가 있다라는 주장도 있습니다. 아직까지는 상상의 영역이죠. 우주의 끝에서 오는 빛을 관측하여 조사하는 연구는 끊임없이 이뤄지고 있지만 그 밖의 영역에 대해서는 미지입니다.
안녕하세요. 손승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정답을 알려드리면 우주의 끝은 아직 아무도 모른다 입니다.
우주의 크기는 지름이 930억 광년 이라고 하는데요.
사실 이것은 '관측 가능한 우주' 의 크기 입니다.
우주는 '관측 가능한 우주' 와 '관측 불가능한 우주' 로 나뉘어 있습니다.
우주가 팽창하고 있다는 이야기는 많이 들어보셨을 텐데요.
우주는 거리가 멀면 멀수록 더 빠르게 팽창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관측 가능한 우주'의 가장자리에서 온 빛은 멀어지는 우주 때문에
우주의 나이인 138억년 동안 꾸준히 날아와 드디어 지구에 도달한 빛입니다.
비유하자면 강물을 거슬러 오르는 연어처럼 우주 팽창에 거슬러 온 것이죠.
그보다 먼 곳에 있는 빛은 아직 지구에 도달하지 않은 것입니다.
또한 중요한 문제는 '우주론적 사건의 지평선' 의 존재인데요.
아까 말씀드렸듯이 우주는 계속 팽창하고 있으며 멀수록 더 빠르게 팽창합니다.
또한 우주에는 속도의 한계가 빛의 속도로 정해져 있어서 빛보다 빠른 물질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우주의 팽창속도가 빛의속도 이상이 되는 지점이 존재하고
그 바깥의 우주는 '우주론적 사건의 지평선' 밖에 위치하기 때문에
도달할 수가 없게 됩니다. 빛보다 빠른 속도로 팽창하며 멀어지니까요.
이 '우주론적 사건의 지평선' 은 '관측 가능한 우주' 의 크기보다 훨씬 작다고 합니다.
그리고 '우주론적 사건의 지평선' 은 일정하게 유지되지만 '관측 가능한 우주'는 시간에 따라 점점 넓어집니다.
결국 우주는 팽창하니까 우주의 대부분이 '우주론적 사건의 지평선' 너머로 사라지게 되죠.
실제로 현재 '관측 가능한 우주'의 94%는 이미 '우주론적 사건의 지평선' 바깥에 있다고 합니다.
즉 우리가 보는 별빛의 94%는 이미 과거에 '우주론적 사건의 지평선'을 벗어난 별의 과거의 모습인 것이죠.
현재의 모습은 우리가 알 수 없게 됩니다.
결론적으로 우주의 경계를 얘기할때 전체 우주는 무한하여 경계가 없을수도 있고,
유한하지만 경계가 없을수도 있고 아니면 유한하며 경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가 물리적으로는 '우주론적 사건의 지평선' 바깥으로는 도달할수 없기 때문에
일종의 물리적 경계선이라고 생각할 순 있을 것 같습니다.
저도 그런데 차라리 무한하거나 유한해도 공간이 휘어져서 경계가 존재하지 않는 건 상상이 되는데
오히려 유한하고 경계가 있는 경우 공간과 비공간(무)의 경계가 어떻게 나타날지 상상은 안가네요.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유투브를 참고하세요
https://www.youtube.com/watch?v=uzkD5SeuwzM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한만전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는 아직도 빛보다 빠른 속도로 계속 팽창하고 있다고 합니다. 하여 우주의 끝은 없다고 합니다. 1929년, 허블은 우주에 있는 은하들은 모두 우리 은하로부터 멀어지고 있으며, 그 속도는 거리에 비례한다는 사실을 알아냈습니다. 멀리 떨어진 은하일수록 더 빠르게 멀어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우주가 계속 팽창하고 있다는 증거라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는 계속해서 팽창하고있고, 빛의 속도보다 빠르게 가속팽창하기 때문에
그 끝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감사합니다.우주는 끝이 없습니다.
우주는 (아마도) 빅뱅에 의해 대폭발 이후 계속해서 팽창해나가고 있습니다.
따라서 우주의 끝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