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머스크가 쏘아 올린 위성 재앙이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환경을 고려해서 위성 잔해물의 수거를 위해 현재도 우주산업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습니다. 우주의 쓰레기가 지구로 떨어져 위협을 줄 가능성 또한 있습니다. 하지만, 애초에 쏘아올릴 때 시뮬레이션과 계산을 통해 지구에게 위협을 줄만한 요소를 고려하여 쏘아올린것이므로 큰 걱정은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물론, 계산과 시뮬레이션을 했다치더라도 완전히 안전한것이다라고는 말씀드릴 수가 없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08
0
0
비교실험 _ 대조군 설정 다들 알려주세요 제발 플리즈 제발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온도에 초점을 맞추고 세운 가설이기 때문에 온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서 조건을 똑같이 맞춰야 정확한 가설 검증을 하실 수 있습니다.화장품의 양, 습도, 빛의 조도, 담을 용기의 크기, 재질 등 온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서 똑같이 맞추셔야합니다. 만약 다른 조건을 똑같이 맞추기 힘드시다면, 가설을 변경하거나 실험을 포기하셔야 할거같습니다.
학문 /
화학공학
22.08.08
0
1
태양보다 더 뜨겁고 빛을 세게 내는 행성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은 별 중의 하나입니다. 태양은 우주에 존재하는 수많은 별들 중에 하나죠. 물론 우주에는 태양보다 작은 별들도 존재하지만 태양보다 큰 별들도 존재합니다. 현재까지 밝혀진 바로는 태양보다 큰 별들이 훨씬 많이 존재하는것을 밝혀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08
0
0
번개가 치고 난뒤에 바로 천둥소리가 나는게 아니라 조금뒤에 천둥소리가 나는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소리와 빛의 속력의 차이때문입니다.소리의 속력은 대략 330m/s --- 1초에 330m 이동합니다.빛의 속력은 대략 300000000m/s --- 1초에 300000000m 이동합니다.그래서 번개를 보는것이 소리를 듣는것보다 먼저인 이유는 빛이 우리눈에 도달하는 속력이 훨씬 빠르기 때문이고, 그 뒤에 소리가 뒤늦게 따라오기 때문에 한참 뒤에 소리가 들리는 이유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08
0
0
우주관련 질문입니다 궁금하네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먼저 광년이라는것은 빛의 속력으로 1년을 이동한 거리입니다.대략 30만 km/s 의 속력으로 1년동안 이동한 거리입니다.3광년 떨어진 거리다 라고한다면, 빛의 속력으로 3년동안 이동해야 도달하는 거리입니다. 사람의 달리기로 3년동안 간다한들 도달할수는 없겠죠?우주는 우리 지구에 비해 아주 아주 거대하기 때문에 거리의 단위를 광년으로 사용합니다.광년으로 사용하는 이유는 우주에서 가장빠른 속력을 가진 존재는 빛이고 빛이 1년동안 이동한 거리는 그 무엇이 1년동안 이동한 거리보다도 크기 때문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08
0
0
이산화탄소는 어디로 사라지나요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이산화탄소는 식물의 광합성에 의해 사라집니다. 이산화탄소와 물을 원료로 빛 에너지를 받아 포도당과 산소로 변화시킵니다. 원자와 분자의 개념을 이해하시면됩니다. CO2 이산화탄소의 분자구조를 깨 분해시킨다고 생각하시면됩니다.이산화 탄소의 양은 없어지면 지구 환경에 큰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질문자님께서 질문하신거처럼 광합성 하면 이산화탄소는 없어집니다. 하지만 원자단위로 본다면 원자가 사라지거나 하진 않습니다. 단지 구성되는 원자의 배열이 변하는 것입니다.
학문 /
화학
22.08.08
0
0
우주는 어떤 모양으로 되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가 어떤 모양을 이루고있는지는 질문자님과 마찬가지로 많은 과학자들이 궁금해하고 있는 부분입니다. 그래서 과학자들이 우주를 탐사하고 연구하는 이유중에 하나입니다. 과학자들이 추측하기에 우주는 크게 구형, 타원형으로 생겼을 것이라고 추측합니다. 빅뱅 이론에 의해 한점에서 폭발이 일어나 우주가 생겨났다면, 초기 우주부터 현재까지 모든방향으로 골고루 퍼져나갔을것이기 때문에 구형이나 타원형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08
0
0
바다에 파도는 바람때문에 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파도는 달이나 태양의 인력에 의해 생기는 조석에 의해 발생합니다. 바람의 영향도 있습니다. 또한 넓이가 넓고 깊이도 깊어야 파도가 형성되기에 알맞은 환경입니다. 하지만 강이나 호수는 좁은 지역에다가 깊이도 깊지가 않아 파도를 볼일이 많지 않습니다. 그렇지만, 잔잔하게 물결을 치는 것을 볼 수 있을것입니다. 이를 파도라고하기엔 작지만, 같은 원리로 발생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08
0
0
집중호우를 피하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여름과 같은 계절에는 직장이나 자차에 비상용으로 우산이나 우비를 꼭 두고 다니는게 집중호우를 피할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8.08
0
0
소행성이 충돌할 때 주변을 넘어선 부분까지 화염으로 휩싸이는 이유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소행성이 충돌하게 되면 소행성과 지구사이에 마찰에 의해 열이 생기고, 강한 충돌로 인해 지구 내부의 용융상태인 멘틀도 튀어나올 수 있습니다. 화염에 휩싸이는 정도는 소행성과 충돌의 강도를 보고 판단해야겠지만, 만약 강한 충돌이라면 화염이 퍼지는데 꽤 순식간이라고 생각하시면됩니다. 충돌의 강도가 강하지않다면, 화염이 천천히 퍼지며 완전히 화염으로 뒤덮히지는 않을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08
0
1
568
569
570
571
572
573
574